$\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Smart Farm System for Minimizing Carbon Emission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1 no.12, 2016년, pp.1231 - 1236  

유남현 (경남대학교 조선해양IT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1월에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은 기존의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규약으로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부문은 국가 에너지 소비량의 1.8%에 불과하지만, 농산물 생산비에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너지 절감 시설과 함께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급률이 높지 않은 편이며, 외산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외 제품이 대부분인 스마트 팜을 국내 환경에 적합한 환경 분석을 통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하게 개발하고, 이 시설을 활용하는 경우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is Agreement signed in January 2015 is a new rule that will replace the existing Kyoto Protocol. The new agreement needs new demands and challenges to minimize carbon emissions. Especially, even though agricultural sector occupies only 1.8% in the national energy consumption, the portion of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추천 시스템을 포함한 스마트 팜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여 S시의 망고 농가를 대상으로 실증을 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분석하면, 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에는 13%의 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초기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성을 가지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환경 분석을 통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하게 요구사항을 도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신재생 에너지 분석 장비, 에너지 사용량 분석 시스템, 에너지 사용량 진단 시스템, 통계 분석 시스템, 농가별 최적 에너지 조합 추천 시스템 등의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 믹스 하이브리드 소형 복합 스마트팜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교토의정서를 대신할 새로운 환경 규약은 무엇입니까? 농업분야에서 각종 ICT (Informatiu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여 노동력을 절감하고, 적절한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1-3]. 그러나 2015년 1월에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은 기존의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규약으로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부문은 국가 에너지 소비량의 1.
농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과 농산물 생산비에 대한 설명은 무엇인가? 그러나 2015년 1월에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은 기존의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규약으로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부문은 국가 에너지 소비량의 1.8%에 불과하지만, 농산물 생산비에서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한 시설원예 확대와 자동화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 투입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망고 농장을 스마트팜 시스템 실험의 테스트 베드로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개발하기 위한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치 및 실험하기 위하여 S시에 있는 망고 농장을 선정하였으며, 성능 비교를 위하여 동일한 지역에 위치한 망고 농장을 선정하였다. 망고 농장을 테스트 베드로 선정한 이유는 망고가 열대성 과일로써 적정한 생육 환경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온풍기의 사용이 요구되고, 이는 에너지 사용량이 많기 때문이다. 테스트 베드 면적은 약 1965㎡이며, 2~3년생 망고나무 170주가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 환경은 지하공 열교환식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난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K. Jeong and W. Kim, "The Implementation of Smart Raising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and 3G Telecommunication,"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6, no. 4, 2011, pp. 595-601. 

  2. Y. Lee,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7, no. 11, 2013, pp. 2686-2692. 

  3. K. Kim, K. Park, J. Kim, M. Jang, and E. Kim, "Establishment of Web-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Greenhouse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6, no. 1, 2011, pp. 77-83. 

  4. F. Culibrina and E. Dadios, "Smart Far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for Data Acqusition and Power Control Distribution," In Proc. IEEE Intl. Conf. Humanoid, Nan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and Control, Environmental and Management (HNICEM), Cebu, Philippine, Dec. 2015, pp. 1-6. 

  5. C. Dwarkani, G. Ram, S. Jagannathan, and R. Priyatharshini, "Smart Farming System Using Sensors for Agricultural Task Automation," In Proc. IEEE Intl. Conf.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ICT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IAR), Chennai, India, July 2015, pp. 49-53. 

  6. E. Apostol, C. Leordeanu, M. Mocanu, and V. Cristea, "Towards a Hybrid Local-Cloud Framework for Smart Farms," Intl. Conf. on Control Systems and Computer Science(CSCS), Bucharest, Romania, Sep., 2015, pp. 820-8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