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금융회사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 of the Organization During a Pandemic Outbreak (Focusing on the finance correspond case)원문보기
최근 들어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9년 신종플루(H1N1),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6~7년 주기를 두고 유행병이 창궐하고 있다. 이러한 유행병 발병 시 첫 조치사항은 감염자 및 발병 장소의 격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유행병의 특성상 일정 잠복기를 보유 한 후 나타나기 때문에 감염자(감염원인(原因))와 함께 활동한 인력 및 장소는 유행병의 전염 위기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만약 사업장에서 유행병이 발병 하였다면, 사업장이 폐쇄되더라도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방안과 조직의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계획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회사의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유행병 발병 시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와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대응방안과 BCP 수립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9년 신종플루(H1N1),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6~7년 주기를 두고 유행병이 창궐하고 있다. 이러한 유행병 발병 시 첫 조치사항은 감염자 및 발병 장소의 격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유행병의 특성상 일정 잠복기를 보유 한 후 나타나기 때문에 감염자(감염원인(原因))와 함께 활동한 인력 및 장소는 유행병의 전염 위기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만약 사업장에서 유행병이 발병 하였다면, 사업장이 폐쇄되더라도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방안과 조직의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계획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회사의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유행병 발병 시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와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대응방안과 BCP 수립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epidemics have raged with a 6-7 years period such as SARS (2002), Swine Flu (2009), MERS (2015). When an epidemic arises, the first advice is the isolation of infected patients and disease areas. Because it appears after a certain incubation period, the peoples worked with Infected ...
In recent years, epidemics have raged with a 6-7 years period such as SARS (2002), Swine Flu (2009), MERS (2015). When an epidemic arises, the first advice is the isolation of infected patients and disease areas. Because it appears after a certain incubation period, the peoples worked with Infected (infection cause) staff and the place are largely exposed to the epidemic Risk. If you have an epidemic in the workplace, even if you close it, the business plan should be ready to continue the safety and protection measures for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s core busines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orresponding measure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employees and to continue the core business during a pandemic outbreak and the introduction of BCP mainly corresponding practices of financial companies.
In recent years, epidemics have raged with a 6-7 years period such as SARS (2002), Swine Flu (2009), MERS (2015). When an epidemic arises, the first advice is the isolation of infected patients and disease areas. Because it appears after a certain incubation period, the peoples worked with Infected (infection cause) staff and the place are largely exposed to the epidemic Risk. If you have an epidemic in the workplace, even if you close it, the business plan should be ready to continue the safety and protection measures for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s core busines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orresponding measure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employees and to continue the core business during a pandemic outbreak and the introduction of BCP mainly corresponding practices of financial compan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에는 금융회사의 대응사례 연구를 통하여 비즈니스연속성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유행병 발병시 조직의 핵심 업무 지속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재난 발생 시 위기경보단계와 각 단계별 조치사항 및 대응사례, 인사정책, 인명안전을 위한 방안, BCP구축 시 고려사항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일반 기업이나 조직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실무중심으로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어떠한 조직이라도 글로벌사회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위기관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수단이 바로 BCMS(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구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행병발병 시 BCP 도입을 위한 BCP의 개념과 필요성, 적용범위 등에 대하여 정리 해 보았다. 다음은 유행병 및 경고단계의 정의와 금융회사의 대응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S은행 사례와 같이 유행병 발생 시 2)비즈니스연속성관리 체계에 따라 위기관리조직을 가동하고 각 경고단계에 따라 사전 예방조치 및 대응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다음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행병 발병 시 인명을 안전하게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조직이나 회사의 핵심업무수행을 위한 BCP구축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례연구를 기초로 하여 유행병 경보수준(관심-주의-경계-심각)에 따라 BCP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을 5단계로 체계화하였다. 또한 유행병뿐만 아니라 자연재난, 사회적재난 등 업무중단 사고 전반에 관하여 대응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ISO 22301을 기반으로 하는 BCMS(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을 구축방안에 대하여도 간략하게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이 표준의 구축은 조직의 니즈에 적합하고 조직의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BCMS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니즈는 법적, 규제적, 조직 및 산업의 요구사항, 제품 및 서비스, 채택된 프로세스, 조직의 규모 및 구조 그리고 조직의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에 의해서 형성되며, 모든 형태 및 규모의 조직에 적용 가능하다.
본 절에서는 유행병 발병 시 인명보호 및 핵심 업무의 연속성을 지속하기 위하여, 유행병 BCP계획 수립과 조직 전체의 BCMS구축 체계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조직의 크기, 업종, 구축방법론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될 수 있으며, 방법론(절차) 및 산출물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유행병과 같은 사회적 재난(자연재난 포함) 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다시 발생 할 수 있음을 전제로 미리 대비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에 관하여 금융회사 사례중심으로 Study하고, 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에는 금융회사의 대응사례 연구를 통하여 비즈니스연속성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유행병 발병시 조직의 핵심 업무 지속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재난 발생 시 위기경보단계와 각 단계별 조치사항 및 대응사례, 인사정책, 인명안전을 위한 방안, BCP구축 시 고려사항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일반 기업이나 조직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실무중심으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행병들의 일반적인 특징, 정부/민간의 유행병 대응, 방역체계, 의료분야 등에 관한 분야는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본인 또는 동거가족이 감염 확진환자, 의심환자, 격리대상자 등으로 분류될 경우, 완치 또는 격리 해제 시까지 출근하지 않고 공가 또는 인병휴가처리(공무원 복무관리 지침 준용)한다. 인력공백에 따른 고객 불편 최소화 조치와 해당 점포(부서) 타직원에 대하여는 부서(점)장 책임 하에 직원 체온을 1일 3회 측정실시 하고 직원행동지침 등 교육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동거가족 감염 시에도 유급휴가를 부여(보통 5∼7일)하였으며, 국내 경보수준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하였다.
회의는 대면회의를 제한하고, 화상회의로 진행하도록 권고하였다. 휴가정책은 경계레벨이 선포되면 감염국가 방문 후 귀국 시 7일간 격리하고 유행병 증상이 보인 직원은 증상이 나타난 이후부터 최소7일간, 증상이 사라진 후 최소 7일간 격리하고, 도록 하는 휴가정책을 시행하였다. 동거가족 감염 시에도 유급휴가를 부여(보통 5∼7일)하였으며, 국내 경보수준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하였다.
S은행 사례와 같이 유행병 대응계획을 각 경보 단계에 따라 미리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은 실제 대응에 있어 높은 실효성과 효과성을 가질 수 있었다(저자의 실제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례연구를 기초로 하여 유행병 경보수준(관심-주의-경계-심각)에 따라 BCP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을 5단계로 체계화하였다. 또한 유행병뿐만 아니라 자연재난, 사회적재난 등 업무중단 사고 전반에 관하여 대응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ISO 22301을 기반으로 하는 BCMS(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을 구축방안에 대하여도 간략하게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즉, 유행병 각 단계별 통제전략을 수립하고, 개인및조직의 위생관리, 내·외부 커뮤니케이션전략 수립, 휴가정책, 업무연속성 지속방안 등 유행병대비 BCP계획을 수립한다.
본 연구의 Case 산출물과 제안은 2009년도 신종플루(H1N1)와 2015년도 메르스사태 때 S은행에서 실제 적용하였고, 감독 기관 및 경영진으로부터 양호한 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기업재난관리표준 및 ISO 22301등의 Study 결과를 추가하여 방법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론/모형
이러한 니즈는 법적, 규제적, 조직 및 산업의 요구사항, 제품 및 서비스, 채택된 프로세스, 조직의 규모 및 구조 그리고 조직의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에 의해서 형성되며, 모든 형태 및 규모의 조직에 적용 가능하다. 이 표준은 조직의 BCMS의 효과성에 대한 기획, 수립, 실행, 운영, 모니터링, 검토, 유지관리 및 지속 적 개선에 PDCA(Plan-Do-Check-Act) 모델을 적용한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13) 조직은 BCMS구축을 통하여 예상하지 못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능력을 갖춤으로서 재난(또는 업무중단사고) 발생 시 인명 및 기업의 자산을 보호하고, 핵심 업무에 대한 연속성을 유지 할 수 있다.
성능/효과
BCP의 이행 및 운영(BCM,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은 기업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방법으로 이를 도입할 경우 재난, 재해에 대한 대응력 제고를 통하여 고객, 주주, 시장의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통합적인 위기대응체제를 확보할 수 있는데 과거 단편적으로 존재하던 위기관리, 비상계획, 주요문서/기록관리, 데이터센터 복구계획 등을 비즈니스 전략과 일관 되게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서비스중단 최소화를 통한 주주, 고객, 시장, 투자자 등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내외적 기업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치명적 업무손실로부터 기업의 영업활동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다. 회사의 주요 인력, 업무, 시설/장비 및 정보/기록 등 핵심 업무에 대한 보호 및 복구 체제를 갖춰 치명적 손실로부터 기업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2)비즈니스연속성 관리시스템(BCMS,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를 기업재난관리 표준(2.27)에서는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국제표준에서는 업무연속성관리체계로 동일한 의미로 정의하고있다.
본 연구의 Case 산출물과 제안은 2009년도 신종플루(H1N1)와 2015년도 메르스사태 때 S은행에서 실제 적용하였고, 감독 기관 및 경영진으로부터 양호한 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기업재난관리표준 및 ISO 22301등의 Study 결과를 추가하여 방법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후속연구
이러한 계획들을 수립, 이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활동을 보호하고, 재난 발생 시 영향을 완화, 대응 및 관리하는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한다. 또한, 재난발생 가능성을 축소하고, 재난으로 인한 업무중단기간 단축, 업무중단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안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 운영한다.
금융회사 사례분석을 통한 유행병 대응방안 및 업무연속성 제언들이 조직의 유행병 대응 및 BCP계획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논문의 선행연구 및 제안과 관련하여 한정 된 범위와 자원, 대상 등으로 인하여 각 세부항목들에 대한 연구와 사례, 설문조사, 분석 툴 적용등 일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의 선행연구 및 제안과 관련하여 한정 된 범위와 자원, 대상 등으로 인하여 각 세부항목들에 대한 연구와 사례, 설문조사, 분석 툴 적용등 일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각 산업별, 업종별 분야별로 보다 자세한 유행병과 관련하여 더 많은 연구가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종 유행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신종 유행병은 지구온난화와 국가 간의 이동, 여행, 문화 등의 교류가 자유로워지면서 일단 발생하게 되면 매우 빠른 속도로 전파, 확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행병에 관한 문제를 단순히 의료적 차원이나 특정 지역, 국가의 문제로 여겨서는 안 되며, 국가와 사회전반에서 함께 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유행병 발병 시, 가장 우려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유행병에 관한 문제를 단순히 의료적 차원이나 특정 지역, 국가의 문제로 여겨서는 안 되며, 국가와 사회전반에서 함께 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유행병 발병 시 가장 우려해야 하는 것은 첫째는 인명안전 및 보호에 관한 것이며, 둘째는 이로 인한 조직이나 회사의 업무중단 이슈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인력 및 시설 격리로 인한 핵심 업무 중단은 조직이나 국가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온다는 것을 우리는 SARS, 신종플루(H1N1),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를 통하여 경험하였다.
BCP의 이행 및 운영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이 가능한가?
BCP의 이행 및 운영(BCM,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은 기업의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방법으로 이를 도입할 경우 재난, 재해에 대한 대응력 제고를 통하여 고객, 주주, 시장의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및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통합적인 위기대응체제를 확보할 수 있는데 과거 단편적으로 존재하던 위기관리, 비상계획, 주요문서/기록관리, 데이터센터 복구계획 등을 비즈니스 전략과 일관 되게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서비스중단 최소화를 통한 주주, 고객, 시장, 투자자 등 대내외 이해관계자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대내외적 기업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치명적 업무손실로부터 기업의 영업활동을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다. 회사의 주요 인력, 업무, 시설/장비 및 정보/기록 등 핵심 업무에 대한 보호 및 복구 체제를 갖춰 치명적 손실로부터 기업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