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현황 및 개발방안에 대한 연구
The Study about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Alternative Formats for Bibliotherapy of the Disabled Peopl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4, 2016년, pp.165 - 184  

백재은 (덕성여자대학교 정보연구소)

초록

감정적, 심리적 상처와 문제를 독자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독서치료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책(치유서)을 이용하여 진행되는 자가치료법이다. 일반인과 다르게 장애인은 책이 아닌 대체자료를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실시한다.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소외감, 불안감 등 여러 심리적인 상처를 받거나 정신건강 문제를 가지게 된다. 장애인의 독서치료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여 장애인도서관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활성화 단계라고 볼 수 없다. 독서치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독서치료를 위한 자료에의 접근을 도와주는 독서치료 목록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대부분 일반인을 위한 것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 대체자료 목록, 혹은 병리증상 혹은 상황에 따라 카테고리화된 대체자료 목록은 별도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일환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와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 그리고 앞으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ly, Bibliotherapy is aimed to cure the emotional or psychological wounds by using books for common users as self-treatment. But, Bibliotherapy for disabled people is carried out by alternative formats instead of a book. In library for the disabled, it is developing various bibliotherapy pr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조사의 일환으로,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 내의 치유서와 장애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대체자료를 조사 및 비교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독서치료 관련 대체자료의 현황과 함께 일차적으로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을 제안하였다.
  • 그리고 각 도서관의 사서와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대체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인의 독서치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 개발방안을 제안하였다.
  •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은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과는 다르게 대체자료의 고유성을 고려하여 대체자료의 소장도서관, 자료의 유형, 자료의 유형에 따른 서지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대체자료별로 제공되는 이들 정보들을 이용함으로 장애인 이용자는 다양한 방면에서 원하는 정보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대체자료 목록을 제안한 것이다.
  •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는 국가대체 종합 목록을 통해서 소장자료뿐만 아니라 검색자료에 대한 타도서관의 소장여부 및 자료유형을 제공하고 있다. 독서치료 관련 대체자료의 제작여부를 좀 더 넓게 살펴보기 위해 국가대체종합목록을 이용하여 타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독서치료 관련 대체자료를 살펴보았다. 총 248권의 치유서 가운데 120점/권(114점/권포함)이 국내의 각 도서관에서 이용 및 소장되어 있었다.
  • 그러나, 장애인 역시 정신건강 치료를 필요로 하는 만큼, 대체자료를 이용한 독서치료가 실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독서치료 대체자료는 물론 대체자료 목록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에 대해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 독서치료에 대한 연구는 문헌정보학뿐 아니라 심리학, 교육학, 정신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고, 장애인에 관련된 연구 역시 다양한 관점에서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시각에서 독서치료와 대체자료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 있는 연구들을 나열하여 기술하였다.
  • 본 연구에서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 목록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을 구성 및 작성하여 제안하였다.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은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에의 접근을 도와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고 있어서 아직 많이 미흡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 많은 양의 치유서로 인하여 각각의 목록별로 나눠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자료로 번안 및 제작된 치유서는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양이었고, 일반 치유서에 비하면 매우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의 작성과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앞서 치유서 검색과 비교를 통해서 수집한 대체자료를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의 일부분을 예시로 제안하였다.
  • 이는 2장과 3장에서 실시한 선행연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현황조사의 일환으로, 기존의 독서치료 독서목록 내의 치유서와 장애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대체자료를 조사 및 비교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독서치료 관련 대체자료의 현황과 함께 일차적으로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독서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8개관의 장애인 도서관 가운데 지속적인 발전을 꾀하고 있는 대표적인 장애인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과 한국점자도서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서와 인터뷰 및 설문지 그리고 도서관의 웹사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4.1장에서 실시한 독서치료 관련 대체자료 현장조사와 국내 독서치료 독서목록을 이용하여,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 목록을 간단히 제안하고자 한다.
  • 연구목적을 위해서 국립장애인도서관과 한국점자도서관을 대상으로 각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체자료를 수집하여, 현 독서치료 독서목록의 치유서와 비교를 실시,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 도서관의 사서와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대체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인의 독서치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 논문을 통해서 독서장애인에 대한 개념과 함께 전자출판물에 대한 조사, 전자책에 대한 독서 장애인의 직접적인 요구사항을 통해서 독서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의 개념과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독서장애인이라고 하는 넓은 범주 내에서 전자책이라고 하는 대체자료를 분석했다는 점이 본 연구와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 다만, 지식측면의 사회적 거리감에서는 장애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장애 학생들이 가지는 심리적인 문제들로 인해 저하된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독서치료가 필요하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장애인의 심리적인 문제와 직접적인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자아존중감 증진효과를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에게 있어 독서치료의 필요성 또한 재확인할 수 있었다.
  • 특히, 신체장애인을 중심으로 장애유형별 이용형태와 독서장애인의 전자책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여, 청각 및 시각 장애인들에게 있어 전자책에 대한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 콘텐츠의 다양성, 접근성과 최신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나열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서 독서장애인에 대한 개념과 함께 전자출판물에 대한 조사, 전자책에 대한 독서 장애인의 직접적인 요구사항을 통해서 독서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사항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의 개념과 분석결과를 본 연구에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독서장애인이라고 하는 넓은 범주 내에서 전자책이라고 하는 대체자료를 분석했다는 점이 본 연구와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 그러나 현재 각종 기관 혹은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대부분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성된 것으로, 장애인을 위한 독서치료 독서목록은 별도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심리적, 정신건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원인 독서치료를 위한 대체자료와 대체자료 목록에 대해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국립장애인도서관. 2016. 국립장애인도서관 홈페이지.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 [online] [cited 2016. 10. 16.]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2016.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Homepage. Seoul: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online] [cited 2016. 10. 16.] ) 

  2. 국립장애인도서관. 2015.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이론과 실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2015. Theory and Practice of Library Disability Services.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국립중앙도서관. 2014.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4. Abroad Case Research of Library Services for the IntellectualAutistic Disabled and Domestic Applied Model Development. Seoul: National Library ofKorea.) 

  4. 국립중앙도서관. 2012. 2011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Abroad Case Research of Library Services for the IntellectualAutistic Disabled and Domestic Applied Model Development. Seoul: National Library ofKorea.) 

  5. 김선호. 2011. 문헌정보학 분야의 신체장애 및 독서 치료 관련 연구 동향. 사회과학연구, 22(1): 133-150. (Kim, Seon-Ho. 2011. "The Research Trend on Physical Disability and Bibliotheraphy in LIS."Journal of Social Science, 22(1): 133-150.) 

  6. 김용수. 2012. 독서치료를 활용한 사회통합 인성 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1-23. (Kim, Yong Soo. 2012. "The Effects of Reading Therapy-based Social Integration PersonalityProgram o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 Sense of Distance." Journal of Special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1(1): 1-23.) 

  7. 김정근. 2004. 김정근의 독서치료 이야기. 출판저널, 342: 148-149. (Kim, Jung-Gun. 2004. "Bibliotherathpy Story of Kim Jung-Gun." The Korean PubishingJournal, 342: 148-149.) 

  8. 김정심, 남영준, 서만덕. 2015. 전자출판물 활용을 위한 독서장애인 요구에 관한 연구: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75-97. (Kim, Jung-Sim, Nam, Young-Joon and Seo, Man-Deok. 2015. "A Study on the Needs ofthe Print-Disabled for Utilization of the Electronic Publication: Focused on the VisuallyDisabled and the Dea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9(4): 75-97.) 

  9. 백록담, 김유승. 2016.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대체자료 연구: 정책 및 법령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135-155. (Baek, Rokdam and Kim, You-Seung. 2016. "A Study on the Materials at Libraries for theDisabled: Focu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Policies and Legislations." Journal of the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1): 135-155.) 

  10. 백재은. 2015.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217-239. (Baek, Jae Eun. 2015. "A Study on Relation Analysis between Book and Category inBibliotherapy Catalo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26(2): 217-239.) 

  11.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online] [cited 2016. 10.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14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disabled.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line] [cited 2016. 10. 16.] ) 

  12. 원동연, 유혜숙, 유동준. 2013. 5차원 독서치료. 파주: 김영사. (Won, Dong-Yeon, Yoo, Hae-Sook and Yoo, Dong-Jun. 2013. Bibliotherapy. Paju: Gimmyoung.) 

  13. 이현주, 강상경. 2009. 장애인의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 및 우울의 관계: 한국복지패널 장애인 부가조사를 이용하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3: 193-217. (Lee, Hyun-Joo and Kahng, Sang-Kyoung.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ors,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ntal Health& Social Work, 33: 193-217.) 

  14. 장보성, 김규환, 이현정. 2009.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95-315. (Jang, Bo-Seong, Kim, Gyu-Hwan and Yi, Hyun-Jung. 2009. "A Study on Revitalizationand Development of Digital Talking Book Based on the DAISY Format."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95-315.) 

  15. 표윤희. 2014.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 사서의 인식 조사. 특수교육, 13(2): 239-268. (Pyo, Yun Hui. 2014. "A Survey of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Library Servicesand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ibrarians forPerson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3(2): 239-268.) 

  16. 한국도서관협회.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 Library Association. 2004. Bibliographic Tool for the Bibliotherapy. Seoul: KoreaLibrary Association.) 

  17. 한국점자도서관. 2016. 한국점자도서관 홈페이지. 서울: 청송교육문화진흥회. [online] [cited 2016. 10. 16.] (Korean Braille Library. 2016. Korean Braille Library Homepage. Seoul: Korean Braille Library.[online] [cited 2016. 10. 16.] ) 

  18. 황룽씬, 공순구. 2015.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운영체계 및 시설기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년 4월 24일, 서울: 명지대학교: 153-156. (Huang, long-xin and Kong, Soon-Ku. 2015.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BlindOperating System and Facilities Standards." In Proceedings of the Spring Annual Conference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pril 24th, 2015, Seoul: Myungji University: 15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