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대규모 지진과 최근 발생한 국내지진에 의한 이온층 총 전자수 변화
Changes of Ionospheric Total Electron Content Caused by Large-scale Earthquakes and Recent Earthquakes Occurr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9 no.4, 2016년, pp.228 - 235  

김병훈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서기원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규모 지진 전/후에 이온층에서 발생하는 총 전자수(TEC)의 이상 변화를 재 확인하고,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에서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발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최근 지진관련 이온층 변화가 보고되었던 국외 대규모 지진들과, 근래에 발생한 규모 7.8 에콰도르 강진에 대해 TEC를 계산하고, 지진 발생 전 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TEC 계산 결과, 선행 연구들과 유사한 TEC 변화 시계열을 얻을 수 있었으나, 시계열들이 후처리되는 방법에 따라 전조현상 또는 후지진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들에 대하여 지진에 의한 TEC 변화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나, 2016년 경주지진을 포함한 가장 높은 규모의 국내지진들과 관련하여 지진 전/후에 TEC의 이상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국외의 대규모 지진들에 비해, 국내 지진이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탄성파(음파) 에너지가 작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pre- and post- seismic total electron content (TEC) anomalies in ionosphere caused by recent large-scale earthquakes around the globe and additionally examined whether the similar phenomena are detected in connection with the earthquakes around the Korean Penisula. TEC anomalies as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발생 지진에 대한 TEC 변화를 계산하고, 지진 발생과의 상관관계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해상지진에서는 전조현상 뿐만 아니라 쓰나미성 이온 홀과 음파 전달에 의한 이온층 교란 등의 후지진 현상이 모두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지진에 대한 이온층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좀 더 적합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일본 미야기 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도호쿠 지진의 규모는? 지진 관련 연구는 주로 지진계를 이용한 관측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근래에는 GPS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이온층 총 전자수(Total Electron Content, TEC) 변화와 지진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들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11년 일본 미야기 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도호쿠 지진(규모 9.0)에서는 지진 발생 약 20분 전, TEC가 갑자기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지진 전조(pre-seismic) 현상이 관측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Heki, 2011). 이는 선행 연구(Calais and Minster, 1995; Rolland et al.
Heki and Enomoto (2015)는 Kamogawa and Kakinami(2013)와 Masci et al. (2015)에 대한 반론으로 제시한 지진 전조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는? (2015)에 대한 반론으로서 지진 전조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들을 내놓았다. 그 중 몇 가지를 나열하면, ① 지진 전조현상은 수직 총 전자수(Vertical Total Electron Content, VTEC)에서 더 부각되어 나타나고, ② 육상 지진과 해상지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③ 전조현상은 규모가 클수록 더 이른 시간에 발생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의 연구는 여전히 전조현상에 대해 근본적인 물리적 기작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Masci et al.
지진 관련 연구는 주로 무엇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가? 최근 국내외 잇따른 지진 발생으로 인해 지진의 관측 및 예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진 관련 연구는 주로 지진계를 이용한 관측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근래에는 GPS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이온층 총 전자수(Total Electron Content, TEC) 변화와 지진 발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들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11년 일본 미야기 현 동쪽 해역에서 발생한 도호쿠 지진(규모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ikan, F., Nayir, H., Sezen, U., and Arikan, O., 2008, Estimation of single station interfrequency receiver bias using GPS-TEC, Radio Science, 43, RS4004. 

  2. Astafyeva, E., Lognonne, P., and Rolland, L., 2011, First ionospheric images of the seismic fault slip on the example of the Tohoku-oki earthquake, Geophys. Res. Lett., 38, L22104. 

  3. Cahyadi, M. and Heki, K., 2015, Coseismic ionospheric disturbance of the large strike-slip earthquakes in North Sumatra in 2012: Mw dependence of the disturbance amplitudes, Geophys. J. Int., 207, 116-129. 

  4. Calais, E. and Minster, J. B., 1995, GPS detection of ionospheric perturbations following the January 17, 1994, Northridge Earthquake, Geophys. Res. Lett., 22, 1045-1048. 

  5. Choi, B. K., Park, J. U., and Lee, S. J., 2012, Ionospheric anomalies observed over South Korea preceding the Great Tohoku earthquake of 2011, Adv. Space Res., 50, 311-317. 

  6. Coster, A., Williams, J., Weatherwax, A., Rideout, W., and Herne, D., 2013, Accuracy of GPS total electron content: GPS receiver bias temperature dependence, Radio Science, 48, 190-196. 

  7. Ekstrom, G., Nettles, M., and Dziewonski, A. M., 2012, The global CMT project 2004-2010: Centroid-moment tensors for 13,017 earthquakes,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00, 1-9. 

  8. Garner, T., Gaussiran, T., Tolman, B., Harris, R., Calfas, R., and Gallagher, H., 2008, Total electron content measurments in ionospheric physics, Adv. Space Res., 46, 94. 

  9. Gurtner, W. and Mader, G., 1990, Receiver independent exchange format version 2, Bulletin of theInternational Coordination of Space Techniquesfor Geodesy and Geodynamics, CSTG GPSSubcommission and U.S. Department of Commerce, 3, 1-8. 

  10. Heki, K., 2011, Ionospheric electron enhancement preceding the 211 Tohoku-Oki earthquake, Geophys. Res. Lett., 38, L17312. 

  11. Heki, K. and Enomoto, Y., 2015, Mw dependence of the preseismic ionospheric electron enhancements, J. Geophys. Res., 120, 7006-7020. 

  12. Heki, K. and Ping, J. S., 2005, Directivity and apparent velocity of the coseismic ionospheric disturbances observed with a dense GPS array, Earth Planet. Sc. Lett., 236, 845-855. 

  13. Kakinami, Y., Kamogawa, M., Tanioka, Y., Watanabe, S., Gusman, A. R., Liu, J.-Y., Watanabe, Y., and Mogi, T., 2012, Tsunamigenic ionospheric hole, Geophys. Res. Lett., 39, n/an/a. 

  14. Kamogawa, M. and Kakinami, Y., 2013, Is an ionospheric electron enhancement preceding the 2011 Tohoku-Oki earthquake a precursor?, J. Geophys. Res., 118, 1751-1754. 

  15. Leick, A., 2004, GPS Satellite Surveying, 3r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Jersy. 

  16. Masci, F., Thomas, J. N., Villani, F., Secan, J. A., and Rivera, N., 2015, On the onset of ionospheric precursors 40 min before strong earthquak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pace Physics, 120, 1383-1393. 

  17.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World Data Service (NGDC/WDS): Global Historical Tsunami Database.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OAA. doi:10.7289/V5PN93H 

  18. Nayir, H., Arikan, F., Arikan, O., and Erol, C. B., 2007,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ion with Reg-Es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pace Physics, 112, A11313. 

  19. Perevalova, N. P., Sankov, V. A., Astafyeva, E. I., and Zhupityaeva, A. S., 2014, Threshold magnitude for Ionospheric TEC response to earthquakes,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108, 77-90. 

  20. Rhie, J. and Kim, S., 2010, Regional moment tensor determination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sciences Journal, 14, 329-333. 

  21. Rolland, L. M., Lognonne, P., and Munekane, H., 2011, Detection and modeling of Rayleigh wave induced patterns in the ionosphe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pace Physics, 116, A05320. 

  22. Schaer, S. and Gurtner, W. F. J., 1998, IONEX: The IONosphere Map EXchange Format Version 1. ftp:// igscb.jpl.nasa.gov/igscb/data/format/ionex1.ps. 

  23. Shinagawa, H., Tsugawa, T., Matsumura, M., Iyemori, T., Saito, A., Maruyama, T., Jin, H., Nishioka, M., and Otsuka, Y., 2013, Two-dimensional simulation of ionospheric variations in the vicinity of the epicenter of the Tohoku-oki earthquake on 11 March 2011, Geophys. Res. Lett., 40, 5009-5013. 

  24. Tsugawa, T., Saito, A., Otsuka, Y., Nishioka, M., Maruyama, T., Kato, H., Nagatsuma, T., and Murata, K. T., 2011, Ionospheric disturbances detected by GPS total electron content observation after the 2011 off the Pacific coast of Tohoku Earthquake, Earth Planets and Space, 63, 875-879. 

  25. Zhang, D. H., Zhang, W., Li, Q., Shi, L. Q., Hao, Y. Q., and Xiao, Z., 2010, Accuracy analysis of the GPS instrumental bias estimated from observations in middle and low latitudes, Annales Geophysicae, 28, 1571-1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