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M콩과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Soybean Hybrid Seeds Resulted from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LM Soybean and Wild Soybean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4, 2016년, pp.196 - 202  

박해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식물생산과학부) ,  육민정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식물생산과학부) ,  김도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생명과학연구소 &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는 야생콩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LM콩으로부터의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한 교잡후대종에 관한 연구는 국내 콩 다양성 보전과 LMO 안전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과 일년생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형태적 및 발아 휴면특성을 평가하여 교잡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잡 1세대의 경우 형태적으로 돌콩과 매우 유사하며, 발아휴면특성 또한 모본인 돌콩과 유사하여 휴면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교잡 2세대 종자는 형태적 특성과 발아휴면특성이 부모종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니며 모본인 돌콩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F2의 휴면율은 65.5%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아 잡초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농업환경에서 교잡후대종이 잡초화 되려면 11월 이후에 탈립된 종자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여 종자 활력을 유지하고, 휴면이 타파된 후 발아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다른 재배종 및 야생종들과 경합하여 생존 및 세대진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increasing LM soybean import, the concern about unintentional gene flow from LM soybean to wild soybean and consequential weedy risk has been growing.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characterize seed traits including germination of hybrids resulted from gene flow from LM soybean to wil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는 야생콩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LM콩으로부터의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한 교잡 후대종에 관한 연구는 국내 콩 다양성 보전과 LMO 안전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과 일년생 야생콩인 돌콩의 교잡후대종 종자의 형태적 및 발아 휴면특성을 평가하여 교잡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잡 1세대의 경우 형태적으로 돌콩과 매우 유사하며, 발아휴면특성 또한 모본인 돌콩과 유사하여 휴면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LM콩으로부터 야생콩으로 유전자 이동으로 인해 생산된 교잡 후대종의 잡초화 가능성 평가를 위해 LM콩과 돌콩 간 자연교잡종의 종자특성과 발아휴면 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 , 2010) 그러나 일단 한 번 LM콩의 도입유전자가 야생콩으로 침투하면, 자식에 의해 도입 유전자가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타식성 식물에 비해 생태계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LM콩과 돌콩 간 교잡후대종의 높은 휴면성은 이들의 잡초화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물론 이들이 잡초화될 지 여부는 종자의 휴면특성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입유전자가 포함된 종자의 생산량 등과 같은 종자 생산특성이나 자연 생태계에서 교잡종 식물체의 적응력 및 경합력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다각도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전자 변형 콩의 특징은? 유전자 변형 콩은 세계 4대 유전자변형 작물 중 하나이며, LM작물 재배면적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재배콩 (Glycine max L.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아 잡초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내 농업환경에서 교잡후대종이 잡초화 되려면 11월 이후에 탈립된 종자가 토양 중에서 월동하여 종자 활력을 유지하고, 휴면이 타파된 후 발아하여 자연 생태계에서 다른 재배종 및 야생종들과 경합하여 생존 및 세대진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L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종의 명확한 잡초화 가능성은 종자의 월동성,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성 평가 등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면밀히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교잡후대종의 발아 및 휴면특성은?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교잡후대종의 발아 및 휴면특성은 부본인 LM콩과 모본인 돌콩의 중간적인 특성을 보이나, 발아율 및 휴면율, 최대 발아율의 50%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 등이 화분공여자인 LM콩보다 화분 수용체인 돌콩의 특성에 보다 근접한 특성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LM작물과 야생종 간 교잡후대종의 발아휴면특성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 와도 일치한다(Kub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ud, S., De Souza, P.I.M., Vianna, G.R., Leonardecz, E., Moreira, C.T., et al. 2007. Gene flow from transgenic to nontransgenic soybean plants in the Cerrado region of Brazil. Genetics and Molecular Research, 6(2):445-52. 

  2. Genstat Committee. 2002. Reference manual (Genstat Release 6.1). VSN International, Oxford, UK. 

  3. Gepts, P. and Papa, R. 2003. Possible effects of (trans) gene flow from crops on the genetic diversity from landraces and wild relatives. Environmental Biosafety Research. 2:89-103. 

  4. Gompertz, B. 1825. On the nature of the functions expressive of the law of human mortality, and on a new mode of determining the value of life contingencies. Philio. Trans. 115:513-585. 

  5. Hymowitz, T. 1970. On the domestication of the soybean. Economic Botany. 24:408-421. 

  6. James, C. 2014.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4, ISAAA Brief No. 49. ISAAA. Ithaca, NY, USA. 

  7. KBCH (Korea Biosafety Clearing House). 2015. Stats of GM crops in Korea. http://www.biosafety.or.kr. (Accessed Nov. 10, 2016). 

  8. Kubo, A., Aono, M., Nakajima, N., Nishizawa, T., Tamaoki, M., et al. 2013. Characterization of hybrids between wild and genetically modified glyphosate-tolerant soybeans. Plant Biotechnology. 30(4):335-45. 

  9. Kim, C.G., Yi, H., Park, S., Yeon, J.E., Kim, D.I., et al. 2006.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aize around cultivated fields and at a grain receiving port in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49(3):218-223. 

  10. Kim, D.S., Kwon, Y.W. and Lee, B.W. 2006.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eedling emergences of rice and Echinochloa species as influenced by soil burial depth. Kor. J. Crop Sci. 51:362-368. 

  11. Lakon, G. 1949. The topographical tetrazolium method for determining the germinating capacity of seeds. Plant Physiol. 24:389-394. 

  12. Lee, B., Kim, C.G., Park, J.Y., Park, K.W., Kim, H.J., et al. 2009.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aize in cultivated fields and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Incheon Port in South Korea. Food Control. 20(3):250-254. 

  13. Lee, J.D., Yu, J.K., Hwang, Y.H., Blake, S., So, Y.S., et al. 2008. Genetic diversity of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and Zucc.) accessions from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Crop Science. 48(2):606-616. 

  14. Lim, Y., Yook, M.J., Zhang, C.J., Nah, G., Park, S., et al. 2015. Dormancy associated weedy risk of the F1 hybrid resulted from gene flow from Oilseed Rape to Mustard. Weed Turf. Sci. 4(1):35-43. (In Korean) 

  15. LU, B.R. 2004. Conserving biodiversity of soybean gene pool in the biotechnology era. Plant Species Biology. 19(2):115-125. 

  16. Mizuguti, A., Ohigashi, K., Yoshimura, Y., Kaga, A., Kuroda, Y., et al. 2010. Hybridization between GM soybean (Glycine max (L.) Merr.) and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and Zucc.) under field conditions in Japan. Environ Biosafety Res. 9(1):13-23. 

  17. Ohara, M. and Shimamoto, Y. 1994. Some ecologic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wo growth forms of wild soybean (Glycine soja). Can. J. Bot. 72:486-492. 

  18. Poehlman, J.M. 1987. Breeding soybeans. Breeding Field Crops. Springer, Netherlands. pp. 421-450. 

  19. Wang, K.J., Li, X.H., Zhang, J.J., Chen, H., Zhang, Z.L., et al. 2010. Natural introgression from cultivated soybean (Glycine max) into wild soybean (Glycine soja) with the implications for origin of populations of semi-wild type and for biosafety of wild species in China. Genet Resour Crop Evol. 57:747-761. 

  20. Yoshimura, Y., Matsuo, K. and Yasuda, K. 2006. Gene flow from GM glyphosate-tolerant to conventional soybeans under field conditions in Japan. Environmental Biosafety Research, 5(3):169-173. 

  21. Yu, H. and Kiang, Y.T. 1993. Genetic variation in South Korean natural populations of wild soybean (Glycine soja). Euphytica. 68(3):213-2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