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부 림프절염로 발현된 가와사키병과 급성 편측 경부 림프절염의 비교
Comparison of Cervical Lymphadenitis as First Presentation of Kawasaki Disease and Acute Unilateral Cervical Lymphadenitis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3 no.3, 2016년, pp.217 - 222  

이훈상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지용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송보경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용우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박수은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경부 림프절 비대로 시작된 가와사키병과 급성 편측 경부 림프절염 환자에서 임상 양상, 혈액검사 소견, 경부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발열과 경부 림프절 비대로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하여 경부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총 372명 중에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된 28명의 환자군과 편측 경부 림프절염 환자군 28명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경부 림프절염으로 발현된 가와사키병과 급성 편측 경부 림프절염에서 발열 기간, 항생제 사용, 경부 림프절 크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혈액검사 소견에서 CLKD 환자에서 AUCL 환자와 비교해서 총 백혈구 수, 호중구 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단백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경부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에서 후인두부 부종 소견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P=0.686). 결론: CLKD와 AUCL을 조기에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적인 소견은 없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발열과 경부 림프절 비대가 있는 환자에서 항생제 치료에도 증상 개선이 없다면 가와사키병을 고려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tial clinical, laboratory, and imaging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cervical lymphadenitis as first presentation of Kawasaki disease (CLKD) and those with acute unilateral cervical lymphadenitis (AUCL). Methods: We surveyed 372 patients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주로 급성 경부 림프절 비대와 발열로 병원을 방문한 소아가 나타내는 검사 소견 중 조기에 가와사키병과 감염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되는 요소가 있다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가와사키병의 진단이 지연되어 관상동맥류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급성 편측 경부 림프절 비대와 발열을 주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최종적으로 각각 가와사키병과 감염 경부 림프절염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발병 초기에 시행한 혈액검사와 경부 컴퓨터단층촬영 사진을 비교하여 두 질환의 발병을 초기에 감별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와사키병의 우리나라 5세 이하 소아 유병률은 얼마인가? 가와사키병은 우리나라 5세 이하 소아의 유병률이 134.4/100,000로 높은 편이기 때문에, 5세 이하 어린이가 급성 열성 질환을 보일 때 감별이 필요한 주요 질환이다2) . 가와사키병의 특징적인 증상 중에서 경부 림프절 비대는 약 42%–65%에서 발생하며 그 빈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급성 경부 림프절염이 동반하는 증상은? 급성 경부 림프절염은 소아의 약 38%–45%가 경험하 는 비교적 흔한 임상 질환군으로 1–4세에 호발한다1). 발열, 인후통, 기침과 같은 상기도 감염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흔히 호흡기 감염 이후에 경부 림프절염 이 발생하게 되고, 대부분 경험적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 급성 경부 림프절염의 감 염 외 원인으로는 키쿠치병, 가와사키병, 결합조직병, 주기적 발열, 아프타 구내염, 인두염, 경부 림프절염 증후군periodic fever with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enitis syndrome [PFAPA syndrome]) 등이 있으나 감염이 원인인 경우보다 비교적 드물다.
소아 급성 경부 림프절염의 감염원인은 무엇인가? 발열, 인후통, 기침과 같은 상기도 감염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흔히 호흡기 감염 이후에 경부 림프절염 이 발생하게 되고, 대부분 경험적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 급성 경부 림프절염의 감 염 외 원인으로는 키쿠치병, 가와사키병, 결합조직병, 주기적 발열, 아프타 구내염, 인두염, 경부 림프절염 증후군periodic fever with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enitis syndrome [PFAPA syndrome]) 등이 있으나 감염이 원인인 경우보다 비교적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eung AK, Davies HD. Cervical lymphadenitis: et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Curr Infect Dis Rep 2009;11:183-9. 

  2. Kim GB, Han JW, Park YW, Song MS, Hong YM, Cha SH, et al. Epidemiologic features of Kawasaki disease in South Korea: data from nationwide survey, 2009-2011. Pediatr Infect Dis J 2014;33:24-7. 

  3. Ayusawa M, Sonobe T, Uemura S, Ogawa S, Nakamura Y, Kiyosawa N, et al. Revision of diagnostic guidelines for Kawasaki disease (the 5th revised edition). Pediatr Int 2005;47:232-4. 

  4. Burns JC, Mason WH, Glode MP, Shulman ST, Melish ME, Meissner C, et al. Clinical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ferred for evaluation of possible Kawasaki disease. United States Multicenter Kawasaki Disease Study Group. J Pediatr 1991;118:680-6. 

  5. Kao HT, Huang YC, Lin TY. Kawasaki disease presenting as cervical lymphadenitis or deep neck infec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4:468-70. 

  6. Park AH, Batchra N, Rowley A, Hotaling A. Patterns of Kawasaki syndrome presentation.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1997;40:41-50. 

  7. Kanegaye JT, Van Cott E, Tremoulet AH, Salgado A, Shimizu C, Kruk P, et al. Lymph-node-first presentation of Kawasaki disease compared with bacterial cervical adenitis and typical Kawasaki disease. J Pediatr 2013;162:1259-63. 

  8. Waggoner-Fountain LA, Hayden GF, Hendley JO. Kawasaki syndrome masquerading as bacterial lymphadenitis. Clin Pediatr (Phila) 1995;34:185-9. 

  9. Stamos JK, Corydon K, Donaldson J, Shulman ST. Lymphadenitis as the dominant manifestation of Kawasaki disease. Pediatrics 1994;93:525-8. 

  10. Yanagi S, Nomura Y, Masuda K, Koriyama C, Sameshima K, Eguchi T, et al. Early diagnosis of Kawasaki disease in patients with cervical lymphadenopathy. Pediatr Int 2008;50:179-83. 

  11. Kim JO, Kim YH, Hyun MC. Comparison between Kawasaki disease with lymph-node-first presentation and Kawasaki disease without cervical lymphadenopathy. Korean J Pediatr 2016;59:54-8. 

  12. Kubota M, Usami I, Yamakawa M, Tomita Y, Haruta T. Kawasaki disease with lymphadenopathy and fever as sole initial manifestations. J Paediatr Child Health 2008;44:359-62. 

  13. Yun HW, Lee JY, Yang SI, Yu HJ, Kang MJ, Lee SY, et al. Comparison of cervical-lymph-node-first presentation of Kawasaki disease and typical Kawasaki disease. Pediatr Infect Vaccine 2016;23:10-7. 

  14. Roh K, Lee SW, Yoo J. CT analysis of retropharyngeal abnormality in Kawasaki disease. Korean J Radiol 2011;12:700-7. 

  15. Nozaki T, Morita Y, Hasegawa D, Makidono A, Yoshimoto Y, Starkey J, et al. Cervical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of Kawasaki disease: comparison with lymphadenitis. Pediatr Int 2016;58:1146-52. 

  16. Nomura Y, Arata M, Koriyama C, Masuda K, Morita Y, Hazeki D, et al. A severe form of Kawasaki disease presenting with only fever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at admission. J Pediatr 2010;156:786-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