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향장치 설계
Development of Scent Display Device using Micro-pore Piezo Actuator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5 no.6, 2016년, pp.399 - 405  

이영준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임승주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민구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이해룡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 ,  김정도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ent diffuser using micro-pore piezo actuator achieved a commercial success because of its cheap production cost, but it is easy to be use for IT-based contents due to difficulty of scent intensity control. To solve this problem, we control the emission amount of scent diffuser by changing ampli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향 장치에서 발향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리적 요소와 제어 요소 등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통해 최적의 발향 모듈을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향장치의 최대 단점인 농도 제어능력을 부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향 장치의 향 분사량 변화 요소를 물리적 측면과 전기적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측면에서 바라본 요소를 고려하여 농도제어가 가능한 발향장치를 개발하였다. 실험은 핵심적인 요소인 Mesh 구멍크기, 향 액의 점성, 진폭의 변화, 주파수에 변화에 따른 분사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발향장치 제작 시 농도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의 분사량 변화 요소를 파악하여 이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진동자의 제원은 Table 2와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농도제어가 가능한 발향장치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어떤 감각에 의존하는가? 인간은 보통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어 약 80%를 시각에 의존하고, 11%를 청각에 의존하며 3.5%를 후각, 그리고 1~1.5%를 촉각과 미각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의 오감 미디어를 함께 융합한다면 지식 전달과 지식의 흡수 능력이 더 높아질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증강현실 산업에서 후각 활용의 장점은? 그러므로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의 오감 미디어를 함께 융합한다면 지식 전달과 지식의 흡수 능력이 더 높아질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후각의 경우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기존의 시청각 미디어와 상호작용할 경우, 매우 강력한 기억과 연상 메카니즘을 제공하고, 기존 감각의 극적인 증강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방송이나 인터넷에서 미디어의 실감효과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실제 현실처럼 느끼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후각의 이러한 장점 때문에 향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발향장치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1].
향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 연구 예는? Papin은 2003년 후각 피드백(Feedback)이 가능한 DIODE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는데, 사용자는 HMD의 영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 주변 환경에 설치된 3개의 발향장치에서 냄새를 발향한다[2]. Cater는 에어펌프를 이용한 표준 소방훈련용 발향시스템을개발한바있다[3]. 일본의 NICT는 Aroma Shooter 라는 독자적인 발향장치를 개발하여 유물을 소개할 때 유물의 촉감과 함께 향을 느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4,5]. 최근에는 Smell-O-Phone과 Smell-O-Grams 및 Smell-O-Vision 등의 발향장치가 개발되어 후각 디스플레이 기술이 iPhone에 적용되었을뿐만아니라 e-book과영상시스템에적용되기시작하였다. 2011년 동경대학의 연구자들이 가상 및 증강현실에서 시각과 후각에 의해 사람의 미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7개의 병에 들어 있는 과자 냄새향이 에어 펌프와 밸브를 통해 사용자의 코에 냄새를 전달할 수 있는 발향장치를 개발하였다[6]. 동경공업대의 Nakamoto 교수는 잉크젯 펌프와 QMB 센서를 이용한 향의 미세농도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향을 조합 하는 향 브렌딩 기술을 제시한 바 있으며, 최근 삼투압 펌프를 이용한 발향장치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7-10]. 최근 CJ는 에어 콤프레셔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대규모 극장용 발향장치를 개발하여 4D 극장에서의 향 서비스를 상용화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eong Do Kim, Ji Hoon Choi, Seung Ju Lim, Sung Dae Park, Jung Ju Kim, and Chung Hyun Ahn, "Development of Scent Display and Its Authoring Tool", ETRI Journal, vol.37, No.1, pp. 88-96, 2015.. 

  2. Papin, J.-P., Bouallagui, M., Ouali, A., Richard, P., Tijou, A., Poisson, P. and Bartoli, W., DIODE: Smell-diffusion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Proc. 5th Int. Conf. on virtual reality (VRIC''03). Laval, France, May, pp. 113-117, 2003. 

  3. Cater, J., Approximating the senses. Smell/taste: odors in virtual reality. Proc. IEEE Int. conf. systems, man and cybernetics, San Antonio 2, 1781, 1994. 

  4. NICT press release: Successful development of a multisensory interaction system combining four senses -Interactive experiences using 3D video, audio, touch and aroma, 2009. http://www.nict.go.jp/press/2009/11/04-1.html 

  5. D. Kim and H. Ando, Development of Directional Olfactory Display, VRCAI (Virtual Reality Continuum and is Applications in Industry), ACM SIGGRAPH, ,2010. 

  6. Takuji Narumi, Takashi Kajinami, Tomohiro Tanikawa, Michitaka Hirose, Meta Cookie, SIGGRAPH 2010, Los Angeles, California, 2010. 

  7. T. Nakamoto, M. Kinoshita, K. Murakami and A. Yossiri, "Demonstration of Improved Olfactory Display using Rapidly-Switching Solenoid Valves", IEEE Virtual Reality Conference, VR, pp.301-302, Lafayette, LA, 2009. 

  8. T. Nakamoto and H. P. D. Minh, "Improvement of olfactory display using solenoid valves", IEEE Virtual Reality Conference, VR, Charlotte, NC, pp.179-186, 2007. 

  9. Yossiri Ariyakul and Takamichi Nakamoto, Improvement of Olfactory Display Using Electroosmotic Pumps and a SAW Device for VR Application,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Reality and Telexistence, Osaka, Japan, 2011. 

  10. Y. Ariyakul, Y. Hosoda and T. Nakamoto, "Improvement of odor blender using electroosmotic pumps and SAW atomizer for low-volatile scents", IEEE Sensors, Taipei, 2012. 

  11. Saad Hameed Abid, Zhiyong Li, Renfa Li and Jumana Waleed, A Novel Olfactory Displays' Scent Dispersing Module, International Journal of Hybrid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1, pp.435-44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