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향장치를 이용한 가상현실에서의 향 미디어 서비스
Study on Scent Media Service in Virtual Reality 원문보기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센서학회지, v.27 no.6, 2018년, pp.414 - 420  

유옥환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민구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정도 (호서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ugment emotion and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cal research based on scent display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results of extensive studies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interface head mounted displays (HMDs) with scent devices, and the possibility of VR ap...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상공간에서 인간의 상상력을 구현하는 가상현실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안에 있음을 잊을 정도의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러 기술적 진보에 의해 가상공간에서의 몰입감과 현실감이 점점 좋아지고 있으나, 대부분 시각 및 음향 기술의 진보에 의존하고 있다.
  • 즉, 사용자와 발향을 원하는 사물과의 위치가 가깝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물을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다면 향의 발향이 제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발향을 위한 세 가지의 방법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발향 장치를 효과적으로 가상현실 콘텐츠에 적용하기 위하여 가상현실 내 위치를 기준으로 한 발향 방법, 사용자와 발향을 원하는 사물과의 거리와 방향을 고려한 발향 방법, 가상환경에서의 시간 설정을 통한 발향방법, 마지막으로 외부 입력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발향 방법을 제안하였다. 발향 장치의 기구적 설계를 통하여 향의 농도조절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다공성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테이블 설치형 발향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HMD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압전 펌프와 팬, 히터를 이용한 HMD 부착형 발향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의 목표는? 가상공간에서 인간의 상상력을 구현하는 가상현실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안에 있음을 잊을 정도의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러 기술적 진보에 의해 가상공간에서의 몰입감과 현실감이 점점 좋아지고 있으나, 대부분 시각 및 음향 기술의 진보에 의존하고 있다.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발향을 위한 3가지의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발향을 위한 3가지의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가상환경에서 절대위치를 기준으로 한 발향 방법, 두 번째는 사용자와 발향을 원하는 사물과의 거리와 방향을 고려한 발향 방법, 세 번째는 가상환경에서의 시간 설정을 통한 발향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상환경에서의 발향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Unity 엔진을 이용한 실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자체 제작한 발향장치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환경에서 향을 발향하기 위한 조건은? 가상현실 환경에서 향을 발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사물간의 거리와 방향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 등, 다양한 조건들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와 발향을 원하는 사물과의 위치가 가깝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물을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다면 향의 발향이 제한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Y. Ariyakul and T. Nakamoto, "Improvement of Miniaturized Olfactory Display Using Electroosmotic Pumps and SAW Device", TENCON 2014 - 2014 IEEE Reg. 10 Conf., Bangkok, Thailand, pp. 1-5, 2014. 

  2. H. Kim, J. Kim, S. Jin, J. Park, J. Noh, and C. J. Gardner, "An X-Y Addressable Matrix Odor-releasing System Using an On-Off Switchable Device", Angew. Chem., Vol. 50, No. 30, pp. 6771-6775, 2011. 

  3. T. Nakamoto and K. Yoshikawa, "Movie with Scents Generated by Olfactory Display Using Solenoid Valves", IEICE Transactions on Fundamentals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s, Vol. E89-A, pp. 3327- 3332, 2006. 

  4. T. Nakamoto, S. Otaguro, M. Kinoshita, M. Nagahama, K. Ohinishi, and T. Ishida, "Cooking Up an Interactive Olfactory Game Display", IEEE Comput. Graph. Appl., Vol. l, No. 28, pp. 75-78, 2008. 

  5. Y. Ariyakul, Y. Hosoda, and T. Nakamoto, "Improvement of Odor Blender Using Electroosmotic Pumps and SAW Atomizer for Low-volatile Scents", IEEE Sens. J., Vol. 13, No. 12, pp. 4918-4923, 2013. 

  6. Y. Ariyakul and T. Nakamoto, "Olfactory display using a miniaturized pump and a SAW atomizer for presenting low volatile scents", IEEE Virtual Real. Conf., pp.193-194, Singapore, 2011. 

  7. S.-J. Lim, "A Study on Scent Devices and SDK for Scent Display of Realistic Media",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 2016. 

  8. J.-P. Papin, M. Bouallagui, A. Ouali, P. Richard, A. Tijou, P. Poisson and W. Bartoli, "DIODE: Smell-diffusion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 Proc. 5th Int. Conf. on virtual reality (VRIC''03), Laval, France, pp. 113-117, 2003. 

  9. J. P. Cater, "Smell/Taste: Odors in Virtual Reality,"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p. 1781, 1994 

  10. NICT, press release: Successful development of a multisensory interaction system combining four senses - Interactive experiences using 3D video, audio, touch and aroma, 4 November 2009. 

  11. T. Narumi, "Pseudo-Gustatory Display System Based on Cross-Modal Integration of Vision, Olfaction and Gustation", IEEE Virtual Real. Conf. pp. 127-130, Singapore, Singapore, 2011. 

  12. ISO/IEC 23005-2:2016, Information technology - Media context and control - Part 2: Control information, Mar. 2016.. 

  13. ISO/IEC 23005-6:2016, Information technology - Media context and control - Part 6: Common types and tools, Mar. 2016. 

  14. ISO/IEC 23005-5:2016, Information technology - Media context and control - Part 5: Data formats for interaction devices, Mar.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