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낮은 에너지로 실리콘에 이온 주입된 분포와 열처리된 인듐의 거동에 관한 시뮬레이션과 모델링
Modeling and Simulation on Ion Implanted and Annealed Indium Distribution in Silicon Using Low Energy Bombardment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12, 2016년, pp.750 - 758  

정원채 (경기대학교 전자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channel doping of shallow junction and retrograde well formation in CMOS, indium can be implanted in silicon. The retrograde doping profiles can serve the needs of channel engineering in deep MOS devices for punch-through suppression and threshold voltage control. Indium is heavier elem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SiO2층에서 농도 분포의 끝부분에서 작은 농도 피크가 추가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복잡한 확산 과정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에서 주입된 이온의 분포와 확산 후에 이온들의 거동에 따른 재분포를 해석적인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온 주입된 인듐의 분포는 피어슨 분포에서 다소 가우스분포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난다.
  • 1 nm의 이온 분포를 각각 나타내어서 현재 반도체 소자제작사에서 30∼20 nm 공정기술에서 보다 더 향상된 10 nm의 공정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실제적으로 일차원 및 이차원적인 확산 모델을 본 연구에서 독자적인 계산 및 해석한 결과들을 기술하였고 또한 SIMS 실험 데이터와도 비교 분석하여 본 논문의 실험적인 검증 및 정확성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석적인 방법을 통하여 1D 및 2D의 분포를 정확하게 나타내어서 전기적인 특성연구에 실제로 적용되리라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듐의 특징은? 인듐은 원자번호가 49이고 원자질량이 114.82 amu. 를 나타내는 기존의 붕소, 갈륨, 알루미늄, BF2 분자 이온등과 비교해서 매우 무거운 3족의 p타입 불순물 원소이다. 또한 인듐의 용융점은 156.
인듐의 용융점은? 를 나타내는 기존의 붕소, 갈륨, 알루미늄, BF2 분자 이온등과 비교해서 매우 무거운 3족의 p타입 불순물 원소이다. 또한 인듐의 용융점은 156.6℃로 매우 낮은 편이다. 따라서 실리콘에 이온 주입된 인듐의 확산 모델은 현재까지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다.
인듐이 낮은 에너지에서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실리콘에 이온 주입된 인듐의 확산 모델은 현재까지 자세히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낮은 에너지(10∼50 keV)에서 sputtering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나서 실리콘웨이퍼의 표면에서 부식층 (eroded layer)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puttering 효과는 T-dyn [12-15]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 Noda, J. of Appl. Phys., 93, 1428 (2003). [DOI: https:/doi.org/10.1063/1.1534629] 

  2. S. Scalese, M. Italia, A. La Magna, G. Mannino, V. Privitera, and P. Pichler, J. Appl. Phys., 93, 9773 (2003). [DOI: https:/doi.org/10.1063/1.1572547] 

  3. P. Chena, Z. Anb, M. Zhua, R.K.Y. Fua, and P. K. Chua, Mat. Sci. Eng., B 114, 251 (2004). [DOI: https:/doi.org/10.1016/j.mseb.2004.07.031] 

  4. J. F. Ziegler, Nucl. Inst. Phys. Res., B6, 270 (1985). [DOI: https:/doi.org/10.1016/0168-583X(85)90645-7] 

  5. J. P. Biersack, Nucl. Inst. Phys. Res., B35, 205 (1988). [DOI: https:/doi.org/10.1016/0168-583X(88)90272-8] 

  6. J. P. Biersack, Nucl. Inst. Meth., B18, 344, (1987). 

  7. S. J. Morris, B. Obradovic, S. H. Yang, and A. F. Tasch, IEDM Tech. Digest (1996) p. 721. 

  8. C. Park, K. M. Klein, and A. F. Tasch, Soild State Electonics, 33, 645 (1990). [DOI: https:/doi.org/10.1016/0038-1101(90)90176-F] 

  9. B. E. Kareh, Fundamentals of Semiconductor Processing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USA, 1995) p. 352. [DOI: https:/doi.org/10.1007/978-1-4615-2209-6] 

  10. J. D. Plummer, M. D. Deal, and P. B. Griffin, Silicon VLSI Technology (Prentice Hall, Inc., USA, 2000) p. 451. 

  11. H. Ryssel, J. Lorenz, and W. Kreuger, Nucl. Inst. Phys. Res., B19, 45 (1987). [DOI: https:/doi.org/10.1016/S0168-583X(87)80012-5] 

  12. H. Hofsassa, K. Zhanga, and A. Mutzke, Appl. Surf. Sci., 310, 134 (2014). 

  13. W. Moller, W. Eckstein, and J. P. Biersack, Comp. Phys. Commun., 51, 355 (1988). 

  14. W. Moller and W. Eckstein, Nucl. Inst. Meth., B2, 814 (1984). 

  15. W. Eckstein, Computer Simulation of Ion-Solid Interactions (Springer, Berlin, 1991). [DOI: https:/doi.org/10.1007/978-3-642-73513-4] 

  16. A. Bartel, J. Lorenz, and H. Ryssel, Nucl. Inst. Phys. Res., B6, 121 (1988). 

  17. H. Ryssel, J. Lorenz, and W. Kreuger, J. Appl. Phys., A41, 201 (1986). [DOI: https:/doi.org/10.1007/BF00616841] 

  18. G. F. Cerofolini, G. Ferla, G. U. Pignatel, and F. Riva, Thin Soild Films, 101, 273 (1983). 

  19. S. Gennaro, M. Barozzi, M. Bersani, B. J. Sealy, and R. Gwilliam, Nucl. Inst. Phys. Res., B237, 88 (2005). [DOI: https:/doi.org/10.1016/j.nimb.2005.04.083] 

  20. K. Suzuki, H. Tashiro, and T. Aoyama, Sol. State Elec., 43, 27 (1999). [DOI: https:/doi.org/10.1016/S0038-1101(98)0025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