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포 및 코팅재 타입에 따른 건축용 막재의 난연성능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Membrane According to Woven Fabrics and Coating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6, 2016년, pp.545 - 551  

김지현 (Eco & Composite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 Technology) ,  송훈 (Eco & Composite Materials Center,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막구조 건축물의 시공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내화 및 방화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고 일반 건축물의 내화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막구조 건축물과 막재료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막구조 건축물의 내화 및 방염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재료가 규정된 난연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막재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막재의 강도특성과 방염 및 난연특성을 기존의 건축용 막재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막재료의 평가기준에 대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무암섬유와 유리섬유 기반의 건축용 막재는 낮은 열방출율총방출열량을 나타내 화재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mbrane structures which can be used large spatial structure are being expanded because of various advantages. However, despite the diverse membrane structure buildings and materials, the standard for membrane material performance that considering fire safety is still inadequate. Therefore,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막재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막재의 강도특성과 방염 및 난연특성을 기존의 건축용 막재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막재료의 평가기준에 대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무암섬유와 유리섬유 기반의 건축용 막재는 낮은 열방출율과 총방출열량을 나타내 화재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막구조 건축물의 내화 및 방염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막재료가 규정된 난연성능을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막재의 고온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막재의 강도특성과 방염 및 난연특성을 기존의 건축용 막재와 비교, 평가함으로써 막재료의 평가기준에 대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화재안전에 유리하다고 알려진 불연성 재료인 유리섬유 및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한 막재의 난연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건축용 막재와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한 막재의 방염 및 난연성능을 평가하여 건축용 막재의 난연성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화재안전에 유리하다고 알려진 불연성 재료인 유리섬유 및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한 막재의 난연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건축용 막재와 현무암섬유를 직포로 적용한 막재의 방염 및 난연성능을 평가하여 건축용 막재의 난연성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용 막재의 단점은? 이러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건축용 막재는 직물을 사용하므로 직물의 종류에 따라 화재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 일본과 달리 국내에는 건축용 막재 및 막구조 건축물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화재안전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반 건축물의 내화기준을 따르고 있다.
건축용 막재의 구성은? 건축용 막재는 직포로 불리는 직물과 직물을 보호하는 코팅재로 구성된다. 막재의 직포는 주로 폴리에스테르섬유나 유리섬유가 사용되며 코팅재로는 PVC(Poly vinyl chloride),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PVF(Poly vinyl fluoride),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TFE를 코팅한 막재 2가지는 무엇인가? BF(Basalt fiber)는 경사, 위사 모두 현무암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을 적용한 시험편이며 GBF(Glass-basalt fiber) 는 위사는 유리섬유, 경사는 현무암섬유로 이루어진 직포를 적용한 시험편이다. BF와 GBF는 PTFE에 함침하여 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o Y. Development of polytetrafluoroethylene(PTFE) coated architectural membrane of more than 3 meters wide and high endurance products membrane[master' thesis].[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5. 40p. 

  2. Jang MH, Sur SY.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cost of spatial structur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2007 Jun;7(3):133-140. 

  3. Kim SD. The present and future of architectural fabric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Oct;49(10):49-56. 

  4. Park KG, Yoon SK. Tearing strength test of architectural membra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2007 Apr;7(6):5-11. 

  5. Sur SY, Jang MH, Park KG, Kim SD. Study for tensile properties of architectural membrane with different yar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2010 Sep;10(3): 41-48. 

  6. KS K 0521 Textiles-Tensile properties of fabrics-Determination of maximum force and elongation at maximum force using the strip method,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11). 

  7. KS F 2819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thin materials for buildings,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5). 

  8. KS F ISO 5660-1 Fire Tests for Combustion (Cone Calorimeter Test),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9). 

  9. Park SY, Kim D, Im HS.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Combustion-Property of Sandwich Panels using ISO 5660 Cone Calorimet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6 Dec;20 (4):33-41. 

  10. Kim JH, Song H.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Glass Fiber and Polyester Fiber Architectural Membran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6 Feb;30(1):17-23 

  11. Kim JH, Song H, Shin HU.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of architectural membranes using basalt woven fabric.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16 Apr;30(2):35-42 

  12. Park KG, Yoon SH, Bae BH. Mechanical characteristic test of architectural ETFE film membran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2009 Jun;9(2):77-82. 

  13. Lee KW, Kim KE, Lee DH.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iber reinforced plastic by cone calorimet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4 Jun;18(2):68-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