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속내구성 조건에 따른 건축용 유기계 단열재의 단열성능 변화
Changes in Insulation Performance of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for Building Construction by Accelerated Durability Test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6 no.6, 2016년, pp.595 - 601  

임순현 (Building Environmental Test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  이건철 (Dept. of Architectural E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초기성능을 기준으로 설계 시에만 반영하고 있으며, 장기 내구성 저하에 따른 단열성능 감소는 반영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속내구성 시험을 통해 단열재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 비드법의 경우 표준환경 조건 및 실험실 가속 시험 조건에서는 경시변화에 따른 성능저하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동결 융해 시험 조건에는 성능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압출법의 경우 동결 융해 시험 조건에서는 단열성능 저하가 작았지만, 경시변화 초기에 내부 가스의 방출로 급격한 성능저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의 경우 다른 단열재에 비해 초기 단열성능이 매우 뛰어났으나, 실험실 가속 시험조건 및 동결 융해 시험 조건에서는 성능이 다소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insulation currently used in building structures is reflected only during design based on initial performance and the reduction in heat insulation performance due to the degradation of long-term durability is not reflected. This study reviewed the degradation of h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기계 단열재 중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EPS 1종 1호, EPS 2종 1호, XPS 1호)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 단열재 (PUR 2종 2호)로 동결융해 조건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단열성능저하 변화를 검토하여,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별 사용수명, 기간별 단열성능 저하량 평가 조건에 맞는 단열재 선택 등의 하나의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속내구성 시험을 통해 단열재의 내구성 저하에 따른 단열성능 저하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용 유기계 단열재를 대상으로 가속내 구성 조건에서의 단열성능 변화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단열재 종류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실험계획은 Table 1과 같다. 즉, 사용 단열재 종류로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발포 폴리스틸렌 단열재(비드법 1종 1호, 비드법 2종 1호, 압출법 1호)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 단열재 (2종 2호) 4종류를 선정하였다.
가속 내구성 시험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표준 환경 조건은 온도 23±2℃, 상대 습도 50±5%의 항온 항습실에 4개월 거치 후 시험에 가정된 환경조건을 진행 하였다. 실험실 가속 조건의 경우 KS L 9016 규정에 따라 열전도율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간은 0, 5, 10, 20, 40, 60, 80, 100일 측정을 실시하였다[4]. 또한, 동결융해에 가정된 환경조건은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수중조건으로 하였으며, KS M ISO 20394의 규정에 따라 동결 융해 조건 시험을 진행하였다[5]. 실험사항으로는 동결융해 조건일 때의 열전도율 변화, 압축강도 변화, 흡수율 변화를 측정하였 으며, 측정 사이클은 0, 25, 50, 100, 200, 300, 400, 500 사이클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현재 구조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어떠한가? 최근 기존 건축물 및 신규 건축물의 에너지기준 강화로 인해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키기 위한 방법 으로 건축용 단열재에 대한 관심과 규제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1]. 현재 구조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초기성능을 기준으로 설계 시에만 반영되고 있으며, 건축물에 시공된 뒤 장시간 사용 후의 단열성능의 변화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단열재의 수명기간 동안 건축 구조물에서 단열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다양한 환경영향에 따른 단열재의 성능저하를 고려해야 하나 현재 국내에서는 장기적인 단열재의 성능변화에 대한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Han MC, Cho BY, Lee GC, Noh SG, Jeon KN. Engineering properties of cement composite panel for outer wall depending on the types and combinations of isulation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1 Apr.;11(2):127-35. 

  2. Lee SE, Kang JS, Jeong YS, Choi HJ.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change of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with environmental condition and long-time elapse.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2003 Dec.;19(12):235-41. 

  3. Choi BH, Kang JS.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according to long-term aging.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013 Nov.;25(11):617-23. 

  4. KS L 9016, Test Methods for Thermal Transmission Properties of Thermal Insulation.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12. 

  5. KS M ISO 20394, Thermal Insulating Materials - Determination of Freeze-thaw.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12. 

  6. KS L ISO 8301, Thermal Insulation-Determination of Steady-State Thermal Resistance and Related Properties-Heat Flow Meter Apparatus.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11. 

  7. KS M ISO 11561, Aging of thermal insulation materialsmaterials-Determination of the long-term change in thermal resistance of closed-cell plastics(accelerated laboratory test methods).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09. 

  8. KS M 3808, Cellular Polystyrene for Thermal Insulation. Korea Industrial Standards, Seoul(Korea):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 Information Center;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