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영연안 표층퇴적물에서의 유기물과 미량금속 분포 특성 및 생태위해성 평가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the Tongyeong Coast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1 no.4, 2016년, pp.125 - 133  

양원호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이효진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  김기범 (경상대학교 해양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통영연안의 오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분포 특성, 미량금속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과 오염도 및 생태계 위해성평가를 하였다.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와 산 휘발성 황화물(Acid volatile sulfide, AVS)은 협수로에 위치한 정점 35-38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Cd, Cr, Ni, Co, Hg, Zn의 공간적 분포양상은 유사하였으며, 이와 달리 Cu는 협수로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미량금속 원소의 오염도를 농축계수(Enrichment Factor, EF)로 평가한 결과, Cd이 모든 정점에서 오염되지 않은 상태(No enrichment), Pb, Cr, Ni, Co, Zn, Hg이 약간 오염상태(Minor enrichment), Cu가 약간~중간 오염상태(minor-moderate enrichment)의 오염도를 나타냈다. 미량금속에 의한 생태위해성 수준은 오비도와 미륵도 사이의 협수로 정점에서 국지적으로 생태계에 잠재적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 from Tonyeong coast. To determine the status of trace metal pollution, we also conducted an ecological risk assessment.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TN (total nitrogen), TOC (total organic carbon), and AVS (a...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 mL 유리 vial을 60 °C에서 24시간 유지하여 수분과 잔류염소를 제거한 후, 105 °C에서 2시간 건조한 시료의 3-5 mg을 주석박막에 싼 후 원소분석기(Carlo Erba Elemental Analyzer 1108, CE Instruments, Wigan, UK)로 분석하였다(Choi et al., 2015a).
  • 이후 산을 완전히 휘발시킨 뒤 2% HNO3 용액으로 희석하여 추출 및 분석하였다. 구리 (Cu), 카드뮴(Cd), 납(Pb), 크롬(Cr), 니켈(Ni), 코발트 (Co), 아연 (Zn) 리튬 (Li)의 농도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NexION 300D, PerkinElmer Inc.,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은 (Hg)은 금아말감법 (Gold amalgam)을 이용한 수은 분석기 (Direct Mercury Analyzer-80, Milestone,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해안의 대표적 어류양식지인 통영해역의 표층퇴적물 내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와 산휘발성 황화물(Acid Volatile Sulfide, AVS), 미량금속(Cu, Cd, Pb, Cr, Ni, Zn, Li, Mn, Hg)을 조사한 자료와 기존 문헌에서 제시 되어진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양식장의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또한 해상가두리 양식어장이 밀집되어 어장으로부터의 유기물에 의한 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영연안의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퇴적물 내 유기물 축적을 나타내는 지표인 AVS, TOC, TN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 미량금속에 의한 저서생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금속의 독성계수(Cu=5, Cd=30, Pb=5, Cr=2, Ni=2, Zn=1, Hg=40)를 이용하여 Ei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ERI(Ecological risk index) 값을 계산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 각 미량금속에서 계산되어진 Ei 값은 Cu 5~24.
  • 퇴적물 기준(SQGs)을 이용한 평가는 해양환경기준(해양수산부 고시 제 2013-186호)의 As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Cu, Cd, Pb, Cr, Ni, Zn, Hg)에 대해서 주의기준(Threshold Effects Level, TEL)과 관리기준(Probable Effects Level, PEL)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Cu와 Zn은 Li을 이용하여 입도를 보정한 값을 이용하였고, 그 외 미량금속은 실측된 농도를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과 직접 비교하였다.
  • (2007)에 의하면 EF<1은 오염되지 않은 상태(no enrichment), EF=1~3은 약간 오염상태(minor enrichment), EF=3~5은 중간 오염상태(moderate enrichment), EF=5~10은 심한 오염상태(moderately severe enrichment), EF=10~25은 심한 오염상태(severe enrichment), EF=25~50은 매우 심한 오염상태(very severe enrichment), EF>50은 최악의 오염상태(extremely severe enrichment)로 EF값을 세분화하여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두 기준을 이용하여 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1 g을 산분해용 가압용기에 넣고 혼합산(HNO3:HF:HClO4=2:1:2)을 10 mL 첨가한 후 뚜껑을 닫아 밀폐한 뒤 120 °C로 8시간이상 가열하여 완전히 분해하였다. 이후 산을 완전히 휘발시킨 뒤 2% HNO3 용액으로 희석하여 추출 및 분석하였다. 구리 (Cu), 카드뮴(Cd), 납(Pb), 크롬(Cr), 니켈(Ni), 코발트 (Co), 아연 (Zn) 리튬 (Li)의 농도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NexION 300D, PerkinElmer Inc.
  • 통영연안 표층퇴적물 내 산휘발성 황화물(AVS),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의 분포와 완전산분해법을 이용하여 미량금속의 농도 분포특성 및 생태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영연안 표층퇴적물 내 유기물(AVS, TOC, TN)은 해수의 유동이 적거나 협수로에 위치한 정점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미량금속의 농도는 Zn>Cr>Li>Cu>Ni>Pb>Co>Cd>Hg 순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 통영연안 표층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개별 혹은 전체 중금속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검출되어진 값을 이용하여 농축계수(Enrichment Factor, EF)를 구하였다. 보존성 원소인 Li을 제외한 나머지 금속들의 EF를 계산하여, Zhang and Liu(2002)가 제시한 기준으로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연구지역 내 Cd, Pb, Ni, Co, Zn은 1.
  • 퇴적물시료는 60 °C에서 1일 이상 건조시킨 후 아게이트 모르타르(Agate mortar)로 분말화 하였다.
  • 이는 유기물 유입이 많고, 좁은 수로에 의해 해수의 순환이 적어 저산소 조건이 조성되어 황화가스 발생량이 높아 상대적으로 높은 AVS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해양환경기준에는 AVS의 기준값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우리나라와 수산양식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해저퇴적물 기준(AVS 0.2 mg S/g dry wt, Yokoyama, 2000)을 적용하여 오염현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8개의 정점(8, 24, 32, 35, 36, 37, 38, 47)에서 일본의 AVS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대상 데이터

  • 미량금속을 분석하기 위해 산 분해용 시약으로 HNO3 (Supra-pure grade, Merck, Germany), HClO4 (Supra-pure grade, Merck, Germany) 및 HF (Supra-pure grade, Merck, Germany)을 사용하였고, 시험에 사용되는 증류수는 초순수여과장치(Direct-Q 3, Millipore, France)를 이용하여 18.2 MΩ 이상 수준으로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SQGs)은 주의기준(Threshold Effects Level, TEL)과 관리기준(Probable Effects Level, PEL)으로 구분되며, 부정적인 생태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 농도를 주의기준이라 하고, 부정적인 생태 영향이 발현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농도를 관리기준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미량금속 농도를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과 비교하기 위해 해양환경기준에 존재하는 총 7가지 미량금속(Cu, Cd, Pb, Cr, Ni, Zn, Hg)을 이용하였고, Cu와 Zn 농도는 Li으로 입도보정한 값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관리 기준을 초과하는 정점은 없었으며, 총 47개 표층퇴적물 시료 중 Cd, Cr, Ni, Hg은 전체 정점이 주의기준 이하였지만, Cu, Pb 그리고 Zn의 경우 전체 정점의 13%(n=6), 4%(n=2), 2%(n=1)가 주의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 분말화된 시료는 나일론 재질의 스크린망(<63 ㎛)을 이용하여 체질 후 통과된 시료만을 사용하였다(Tam and Wong, 2000).
  • 어류양식장 주변의 해저퇴적물 내 유기물 및 미량금속 분석을 위하여 2015년 4월에 47개 정점에서 채니기(van Veen grab sampler)를 이용하여 표층퇴적물(<2 cm)을 교란되지 않도록 채취하였고(Fig. 1), 분석시까지 냉동보관(-20 °C)하였다.
  • 2 MΩ 이상 수준으로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희석용 시약으로는 HNO3(Ultra-pure grade, Merck, Germany)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는 모든 산분해용 가압용기는 HNO3(HNO3:H2O=1:1)에 6시간 이상 가열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나머지 초자기구들은 1N HNO3 용액에 24시간 이상 정치시킨 후 증류수로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분석된 퇴적물 미량금속 자료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인증물질 (MESS-3)을 시료와 함께 처리하여 분석하였으며, 회수율은 시료 내 미량금속의 모든 항목에서 96.7~104%로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Table 1).

이론/모형

  • AVS는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MLTM, 2010)의 황검지관법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측정하였고, TOC 및 TN는 건조한 퇴적물 시료 약 0.3 g을 20 mL 유리 vial에 넣고 1 N HCl 10 mL를 첨가하여 탄산염을 제거한다. 탄산염을 제거한 퇴적물을 침전시킨 후, 상등액을 버리고 증류수 10 mL를 첨가하고 퇴적물을 침전시키는 과정을 3회 반복한다.
  • 본 연구지역의 미량금속에 의한 독성영향 및 위해성 평가는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SQGs) 및 생태학적 위험지수(ERI)를 이용하였다.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SQGs)은 주의기준(Threshold Effects Level, TEL)과 관리기준(Probable Effects Level, PEL)으로 구분되며, 부정적인 생태영향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되는 농도를 주의기준이라 하고, 부정적인 생태 영향이 발현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농도를 관리기준이라 한다.
  • ,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은 (Hg)은 금아말감법 (Gold amalgam)을 이용한 수은 분석기 (Direct Mercury Analyzer-80, Milestone,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통영연안 표층퇴적물에서 미량금속의 개별 혹은 전체 미량금속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농축계수(Enrichment Factor, EF)를 이용하였고 퇴적물 내 종합적인 미량금속의 독성영향 및 잠재적 위해성 평가를 위해 퇴적물 기준(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을 이용한 평가와 생태학적 위험지수(Ecological Risk Index, ERI)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의 수질환경 내에서 미량금속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 2010). 해양의 수질환경 내에서 미량금속은 자유이온의 용존 상태로 미량으로 존재하며, 유기물과 흡착되어 퇴적되거나 해양생물에 섭취되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단기간에 큰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지속적인 환경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연구들이 요구된다(Youn et al., 2004).
미량금속은 어떤 경로를 통해 해양으로 유입되는가? 미량금속은 자연적 기원 및 인위적인 기원에 의해 발생하며 강이나 하천 혹은 대기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해양으로 유입된다(Khlifi and Hamza-Chaffai, 2010; Won et al., 2010; Guo et al.
해양퇴적물 내 미량금속 함량이 저서 생태계의 건강도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4). 그에 반하여 퇴적물 내 미량금속은 산화-환원과정에 의해 수질환경으로 용출되므로 잠재적 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Singh et al., 1997), 쉽게 분해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저서생물의 서식 환경에 영향을 주며, 먹이사슬을 통해 상위영양단계로 농축되어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해양퇴적물 내 미량금속 함량은 저서 생태계의 건강도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해양수산부 고시 제 2013-186호, 2013. 해양환경관리법 제 8조. 

  2. 해양수산부령 제90호, 2014. 어장관리법 시행규칙. http://www.law.go.kr. 

  3. Chen, C.W. C.M. Kao, C.F. Chen and C.D. Dong, 2007.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of Kaohsiung Harbor, Taiwan. Chemosphere, 66(8): 1431-1440. 

  4. Cho, Y.G. and C.B. Lee, 2012.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Masan and Jinhae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5(4): 302-313. 

  5. Choi, M., H.C. Kim, D.W. Hwang, I.S. Lee, Y.S. Kim, Y.J. Kim and H.G. Choi, 2013.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wic Sciences, 46(4): 424-436. 

  6. Choi, M., I.S. Lee, C.S. Kim, H.C. Kim and D.W. Hwang, 2015a. Distribu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around a manila clam ruditapes phillippinarum farming area in Gomso Bay,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8(4): 555-563. 

  7. Choi, M., I.S. Lee, H.C. Kim and D.W. Hwang, 2015b.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status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shellfish farming areas in Yeoja and Gangjin Bays,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8(5): 789-797. 

  8. Choi, Y.S., K.J. Park, J.H. Song, S.P. Yoon, S.O. Chung and K.H. An, 2012. Contents of inorganic elements in shellfish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8(3): 225-232. 

  9. Gnandi, K. and H.J. Tobschall, 1999. The pollution of marine sediments by trace elements in the coastal region of Togo caused by dumping of cadmium-rich phosphorite tailing into the sea. Environmental geology, 38(1): 13-24. 

  10. Guo, W., X. Liu, Z. Liu and G. Li, 2010. Pollution and potential ecological risk evalu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around Dongjiang Harbor, Tianjin.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2: 729-736. 

  11. Hakanson, L., 1980. An ecological risk index for aquatic pollution control. A sedimentological approach. Water research, 14(8): 975-1001. 

  12. Hwang, D.W., I.S. Lee, M. Choi, C.S. Kim and H.C. Kim, 2015a.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for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ediments around Taehwa river estuary, Ulsan.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8(4): 542-554. 

  13. Hwang, D.W., I.S. Lee, M. Choi and J.H. Shim, 2015b.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Hansan-Geoje Bay. Journal fo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 Analysis, 18(3): 131-143. 

  14. Hyun, S., C.H. Lee, T. Lee and J.W. Choi, 2007. Anthropogenic contributions to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54(7): 1059-1068. 

  15. Jang, Y.L., H.J. Lee, H.B. Moon, W.C. Lee, H.C. Kim and G.B. Kim, 2015.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area surrounding Tongyeong cage-fish fa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8(2): 74-80. 

  16. Jung, R.H., M.K. Choi, S.P. Yoon, W.C. Lee, and H.G. Choi, 2012.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from Inshore and offshore of Lake Shihwa (Korea) in March, 2008.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5(1): 56-64. 

  17. Jung, R.H., S.P. Yoon, J.N. Kwon, J.S. Lee, W.C. Lee, J.H. Koo and S.E. Park, 2007. Impact of fish farming on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The Sea, 12(3): 159-169. 

  18. Khlifi, R. and A. Hamza-Chaffai, 2010. Head and neck cancer due to heavy metal exposure via tobacco smoking and professional exposure: a review.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248(2): 71-88. 

  19. Kim, J.G. and H.S. Jang, 2014.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particle composi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for bottom sediments in Cheonsu Bay, Korea-comparison of the sediments environment of farming area and non-farmi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20(4): 358-371. 

  20. Lee, Y.S., W. Lim, C.S. Jung and J.S. Park, 2011. Spatial distributions and monthly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water of Tongyeong,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4(3): 154-162. 

  21. Lim, D.I., H.S. Jung, K.T. Kim, H.H. Shin and S.W. Jung, 2012. Sedimentary records of metal contamination and eutrophication in Jinhae-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64(11): 2542-2548. 

  22. Lim, D.I., J.W. Choi, H.H. Shin, D.H. Jeong and H.S. Jung, 2013. Toxicological impact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southern coastal sediments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73(1): 362-368. 

  23. Lim, D.I., J.Y. Choi, H.S. Jung, H.W. Choi and Y.O. Kim, 2007. Natural background level analysi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Ko6rean coastal sediments. Ocean and Polar Research, 29(4): 379-389. 

  24. MAFRA, 2008. http://mafra.go.kr/list.jsp?&newsid155290102§ion_idb_sec_1&pageNo739&year2015&listcnt10&board_kindC&board_skin_idC3&depth&divisionB&group_id3&menu_id1125&reference&parent_code3&popup_yn&tab_ynN. 

  25. M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1. 어장환경실태조사 4차 보고서 paper 377, 362-366 pp. 

  26.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Acid Volatile Sulfide. 218 pp. 

  27. Morillo, J., J. Usero and I. Gracia, 2004. Heavy metal distribution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southwest coast of Spain. Chemosphere, 55: 431-442. 

  28. Muller, P.J., 1977. CN ratios in Pacific deep-sea sediments: Effect of inorganic ammonium and organic nitrogen compounds sorbed by clay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1(6): 765-776. 

  29. Park, H.S., J.W. Choi and H.G. Lee, 2000.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3(1): 1-8. 

  30. Ra, K., J.K. Kim, E.S. Kim, K.T. Kim, J.M. Lee and E.Y. Kim, 2013a. Vertical profiles and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ediment cores from outer sea of Lake Shihw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6(2): 71-81. 

  31. Ra, K., E.S. Kim, K.T. Kim, J.K. Kim, J.M. Lee and J.Y. Choi, 2013b.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its ecological risk in the surface sediments along the coast of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65): 105. 

  32. Singh, M., A.A. Ansari, G. Muller and I.B. Singh, 1997. Heavy metals in freshly deposited sediments of the Gomati River (a tributary of the Ganga River): effects of human activities. Environmental Geology, 29(3-4): 246-252. 

  33. Statistics Korea, 2014. Survey on the Status of Fish Culture. 132 pp. 

  34. Stein, R., 1991.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in marine sedimen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at Giessen). 

  35. Sun, C.I., D.J. Kim, Y.W. Lee and S.S. Kim, 2015. Poll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Ulsan-Onsan Coa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8(4): 245-253. 

  36. Sun, C.I., Y.J. Lee, J.H. An and Y.W. Lee, 2014.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The Sea, 19(2): 155-163. 

  37. Tam, N.F.Y. and Y.S. Wong, 2000. Spatial variation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Hong Kong mangrove swamps. Environmental Pollution, 110(2): 195-205. 

  38. Won, E.J., K.T. Ra, S.J. Hong, K.T. Kim, J.S. Lee and K.H. Shin, 2010. Effect of trace metal on accumul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polychaete, Perinereis nunt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3(4): 288-295. 

  39. Yongming, H., D. Peixuan, C. Junji and E.S. Posmentier, 2006. Multivariate analysi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urban dusts of Xi'an, Central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55(1): 176-186. 

  40. Yoon, K.T., Y.H. Jung and R.S. Kang, 2010. Discuss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on a sub-tidal benthic community composed to the complicated coastal lines around Tongyeong,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2(2): 123-135. 

  41. Youn, S.T., Y.K. Koh, K.H. Oh, B.C. Moon and H.G. Kim, 2004.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assessment of surface sediments in lower Yeongsan River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3(5): 251-262. 

  42. Yokoyama, H., 2000.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for aquaculture farms in Japanese coastal areas: A new policy and its potential problems. Bulleti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Aquaculture, Japan. 

  43. Zhang, J. and C.L. Liu, 2002. Riverine composition and estuarine geochemistry of particulate metals in China-weathering features, anthropogenic impact and chemical flux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4(6): 1051-1070. 

  44. Zhang, W., X. Liu, H. Cheng, E.Y. Zeng and Y. Hu, 2012. Heavy metal pollution in sediments of a typical mariculture zone in South China. Marine Pollution Bulletin, 64(4): 712-7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