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에머지 방법론을 이용한 갯벌생태계의 가치 평가: I. 에머지 유입 특성
Emergy Valuation of Tidal Flat Ecosystems in Korea: I.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mergy Input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1 no.4, 2016년, pp.134 - 143  

남정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강대석 (부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 및 지역별 갯벌을 대상으로 갯벌생태계의 생태적 과정을 유지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본 토대인 자연환경에너지(태양, 바람, 파도, 강수, 조석 등)를 통한 에머지 유입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갯벌생태계로 유입하는 자연환경에너지가 공급한 에머지 총량은 $4.98{\times}10^{21}sej/yr$이었는데, 이는 갯벌생태계의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 조건이 제공하는 에머지량에 해당한다. 갯벌생태계로 유입하는 에머지량을 화폐 단위로 환산하면 1조1,412억 원/yr으로, 이것은 갯벌생태계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토대가 되는 환경적 조건의 가치에 해당한다. 지역별 갯벌의 면적 차이를 고려하여 단위면적당으로 나타낼 경우 우리나라 연안의 일반적인 조차 분포를 따라 인천-경기 지역에서 부산 지역으로 갈수록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이 감소하였다. 지역별 갯벌의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과 단위면적당 수산물 생산의 에머지량을 이용하여 갯벌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연환경에너지의 에머지 유입 특성과 생태계서비스 사이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결과 지역별 갯벌로 유입한 에머지량과 수산물 생산의 에머지량 사이에는 아주 명확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이 더 많은 서해안 갯벌에서 생산한 수산물의 에머지량이 남해안 갯벌에서 생산한 수산물의 에머지량보다 더 많아 개별 갯벌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잠재력을 나타내는데 자연환경에너지를 통한 에머지 유입량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mergy inputs from environmental sources that are essential in maintaining ecological processes and providing ecosystems services of the tidal flat ecosystems in Korea. Environmental sources provided a total of $4.98{\times}10^{21}sej/yr$ of em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환경에너지가 공급하는 에머지량은 갯벌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기본 토대이며, 유입한 에머지와 갯벌생태계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함으로써 생태계서비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에머지 유입 특성에 대한 분석은 갯벌생태계의 생산력과 상태 등 시스템 분석과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수산물 생산은 자연의 일과 사람들이 투입하는 어획 노력의 두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에머지 유입 특성만으로 에머지 유입량과 생태계서비스 사이의 명확한 관계를 찾기는 쉽지 않지만, 갯벌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유지에 기본이 되는 에너지원의 영향을 개괄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갯벌생태계(전국 및 지역별)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에서 첫 번째 단계로, 갯벌생태계의 생태적 과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와 물질을 제공하는 자연환경에너지(태양, 바람, 파도, 강수, 조석 등)를 통한 에머지 유입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연환경에너지가 공급하는 에머지량은 갯벌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기본 토대이며, 유입한 에머지와 갯벌생태계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함으로써 생태계서비스가 발생한다.

가설 설정

  • 이 연구에서는 엄밀하게 갯벌에서만 생산된 수산물 통계를 이용할 수 없어 갯벌에서 주로 양식하는 패류와 마을어장의 생산량을 갯벌 수산물 생산량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마을어업 생산량과 생산금액은 갯벌 이외의 해역(1년 중 해수면이 가장 낮은 때의 평균수심이 5m 이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별로 총 생산량과 생산금액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단위면적당(마을어업과 갯벌 패류양식 면적 기준) 생산량을 이용해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생태계는 어떠한 위치이며 어떤 이점이 있는가? 갯벌생태계는 우리나라 연안의 가장 특징적이며 중요한 생태계에 해당하고, 우리 경제는 갯벌로부터 여러 가지 생태계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Koh, 2001; MLTM, 2008; MOF, 2013a; Koh and Khim, 2014). 1990년대 중반이후 갯벌생태계가 제공하는 다양한 편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바탕으로 「습지보전법」 제정, 습지보호지역 지정 등 다양한 관리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위해 극복해야하는 어려운 과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평가할 필요가 있는가? 연안․ 해양 자원의 과도한 이용·개발로 대표되는 국가적 여건과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지구적 규모의 환경 변화는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해 극복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해양생태계의 체계적·장기적 연구·조사, 다양한 관리정책 수단 개발이외에도 해양생태계가 우리 삶에 기여하는 역할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증진하고 해양생태계 관리 의사결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해양생태계가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해양생태계가 제공하는 재화를 포함)의 가치를 과학적·객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Beaumont et al.
Beaumont et al.은 생태계서비스 관점의 생태계 평가가 무엇을 돕는다고 주장하였는가? Beaumont et al.(2007)은 해양생물종다양성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에 대해 다루면서 생태계서비스 관점의 생태계 평가는 “생태계의 복잡한 현상을 정책결정자나 일반인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며, “생태계의 이용과 개발 과정에서 얻는 손실과 편익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주장하였다. UNEP-WCMC (2011)는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변화가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한 주요 수단의 하나로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를 들고 있는데, 해양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해야 하는 주요 이유로 “해양생태계 관리에 필요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관리 행위 또는 정책의 비용과 편익을 평가”하고 “한 생태계 또는 일련의 연결된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편익의 가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들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eaumont, N.J., M.C. Austen, J.P. Atkins, D. Burdon, S. Degraer, T.P. Dentinho, S. Derous, P. Holm, T. Horton, E. van Ierland, A.H. Marboe, D.J. Starkey, M. Townsend and T. Zarzycki, 2007. Identification, definition and quantification of goods and services provided by marine biodiversity: implications for the ecosystem approach. Marine Pollution Bulletin, 54: 253-265. 

  2. Brown, M.T., R.D. Woithe, H.T. Odum, C.L. Montague and E.C. Odum, 1993. Emergy analysis perspectives of the Exxon Valdez oil spill in Prince William Sound, Alaska. Center for Wetlands and 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orida, 122 pp. 

  3. Eom, K.-H., D.-I. Lee, Y.-T. Kim and G.-Y. Kim, 2012. Characteristics and reasonable management approaches of coastal reclam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5(3): 227-237. 

  4. Eum, K.-H., J.-H. Son, E.-I. Cho, S.-M. Lee and C.-K. Park, 1996.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Deukryang Bay by EMERGY analysis. J. Korean Fish. Soc., 29(5): 629-636. 

  5. JICEISRP (Joint Investigation Commission for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2000. Report on the joint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 Economic assessment. Joint investigation commission for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Seoul, 707 pp. 

  6. Kang, D. and J. Nam, 2003. Emergy-based valu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resource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Maritime Institute, Seoul, 127 pp. 

  7. Kang, D. and J. Nam, 2014. Emergy methodology and marine spatial planning. In: Proceedings of 2014 Joint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BEXCO, Busan, Korea, 2309 p. 

  8. Kang, D., 2001. Emergy evaluation of the Kangwha tidal fl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6(2): 51-58. 

  9. Kang, D., 2010. Emergy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an uninhabited islan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3(1): 60-67. 

  10. Kang, D., 2013. Emergy-based value of the contributions of the Youngsan River estuary ecosystem to the Korean economy. The Sea, 18(1): 13-20. 

  11. Kang, D., 2015. Emergy evaluation of the Korean economy and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the valuation of marine ecosystem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18(2): 102-115. 

  12. Kang, D., J. Nam, H.-W. Choi and K. Son, 2015. Spatial valuation map for Gyeonggi Bay in Korea based on emergy methodology. 8th International Ecosystem Services Partnership Conference 2015. Stellenbosch, South Africa. 

  13. Kang, D.-S., J.-H. Nam and S.-M. Lee, 2006. Emergy valuation of a tidal flat ecosystem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valuations using economic methodologi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3): 243-252. 

  14. KHOA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2012. Harmonic constants for tide and tidal current of the Korean coas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Busan, 592 pp. 

  15. Kim, W.S., 200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o the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by the environmental accounting.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61 pp. 

  16.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2-2011.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17. Koh, C.-H. and J.S. Khim, 2014. The Korean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Physical setting, ecosystem and management.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398-414. 

  18. Koh, C.-H., 2001. The Korean Tidal Flat: Environment, Biology and Huma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1073 pp. 

  19. Koh, C.-H., 2014. The Korean tidal flat ecosystems: Toward transformation from land reclamation to wetland protection. Ocean & Coastal Management, 102: 393-397. 

  20. Kwon, Y.-J., S.-H. Yoo and S.-H. Park, 2013.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Geum-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9(5): 417-429. 

  21. Lee, C., D. Kang and J. Nam, 2001.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for estuarine environment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and Korea Maritime Institute, Seoul, 369 pp. 

  22. Lee, C.H. and D. Kang, 2008. Emergy evaluation of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4(2): 135-143. 

  23. Lee, S.M. and H.T. Odum, 1994. Emergy analysis overivew of Korea.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3: 165-175. 

  24.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Strategies to promote tidal flat fisheries.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365 pp. 

  25.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Tidal flats of Korea, Ministry of Land, Tras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oul, 31 pp. 

  26. MLTM, 2010.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s-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s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oul, 673 pp. 

  27. MLTM, 2011.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s-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s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oul, 791 pp. 

  28. MLTM, 2012.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s-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snsport and Maritime Affairs, Seoul, 792 pp. 

  29.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6. Economic assessment of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idal flats.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113 pp. 

  30.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a. Main results of 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27 pp. 

  31. MOF, 2013b. National survey for the areal extent of tidal flat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372 pp. 

  32. MOF,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Oceans and Fisheri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496 pp. 

  33. Nam, J., W. Chang, and D. Kang, 2010. Carrying capacity of an uninhabited island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Ecological Modelling, 221: 2102-2107. 

  34.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5.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35. NFRDI, 2010.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Busan. 

  36. Odum, H.T., 1994. Ecological and General Systems.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Niwot, 644 pp. 

  37. Odum, H.T., 1996. Environmental Accounting: Emergy and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370 pp. 

  38. Odum, H.T., M.T. Brown, and S. Brandt-Williams, 2000. Folio #1:Introduction and Global Budget. Handbook of Emergy Evalu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Polic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 16 pp. 

  39. Oh, H.-T., S.-M. Lee, W.C. Lee, R.H. Jung, S.J. Hong, N.K. Kim and C. Tilburg, 2008. Sustainability evaluation for shellfish production in Gamak Bay based on the systems ecology. 1. EMERGY evaluation for shellfish production in Gamak Ba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8): 841-856. 

  40. Park, S.-C. and C.-H. Koh, 2001. Depositional process of tidal flat. In: The Korean Tidal Flat: Environment, Biology and Human, edited by Koh, C.-H.,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3-22. 

  41. Sohn, J.-H., S.-K. Shin, E.-I. Cho and S.-M. Lee, 1996. EMERGY analysis of Korean fisheries. J. Korean Fish. Soc., 29(5): 689-700. 

  42. Song, K.W. and Y.M. Je, 2004. Ecological economic evalu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ine area and conservation measures. Busan Development Institute, Busan, 125 pp. 

  43. TEEB (The Economics fo Ecosystems and Biodiversity),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Edited by Pushpam Kumar. Earthscan, London and Washington, 456 pp. 

  44. UNEP-WCMC (UNEP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2011. M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UNEP-WCMC Biodiversity Series, No. 33: 46 pp. 

  45. Yang, G. and D. Kang, 2011. Emergy evaluation of the marine sand extraction for aggregate suppl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usan New Port in Korea.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5(6): 1005-1013. 

  46. Yoo, S.-H. and J.-S. Lee, 2011. Assessment of economic value of Youngsan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8): 629-637. 

  47. Yoo, S.-H., 2007.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Nakdong-river estuary. Ocean and Polar Research, 29(1): 69-80. 

  48. Yoon, S.S., S.J. Park and C.O. Shin, 2012. A study on preservation of value of public water reclamation as common resource. Korean Maritime Institute, Seoul, 167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