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역학적/광열치료 응용을 위한 광증감제가 결합한 골드 나노로드의 합성 및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sensitizer-conjugated Gold Nanorods for Photodynamic/Photothermal Therapy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6, 2016년, pp.599 - 605  

최종선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김소연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효과적인 암 치료 방법으로 광역학치료(photodynamic therapy)와 광열치료(photothermal therapy)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열치료에 필요한 광열인자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골드 나노로드(AuNR)를 합성하고, 그 표면에 광역학치료를 위한 광증감제(photosensitizer)를 결합하였다. 즉, 골드 나노로드를 체내에 오래 머무르도록 하기 위해 PEG(polyethylene glycol) 및 효과적인 암 표적지향성을 위해 FA (folic acid) 리간드를 도입하였고, FA-PEG와 poly-${\beta}$-benzyl-L-aspartate (PBLA)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3,4-dihydroxy hydrocinnamic acid (HCA) linker를 사용하여 골드 나노로드의 표면개질을 하였다. 또한 $AgNO_3$의 feeding ratio 변화를 통해 다양한 aspect ratio를 갖는 골드 나노로드를 합성하였고, UV-visible spectrophotometer, $^1H$-NMR, XPS, TEM 분석을 통해 FA-PEG-$P(Asp)_{50}$-HCA-AuNR100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morphology를 분석하였고, 성공적인 표면 개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드 나노로드의 표면 개질을 통한 생체 적합성 약물전달체의 합성은 효과적인 암 진단 및 다양한 광역학/광열치료 분야에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hotodynamic and photothermal therapies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cancer treatment. In this study, a gold nanorod (AuNR) colloidal solution was synthesized as a hyperthermia agent for photothermal therapy and also modified with photosensitizer (PS) for photodyna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PR효과에 의해 수동적 표적화(passive targeting)를, 특정 조건에 반응하는 리간드를 도입해 능동적 표적화(active targeting)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aspect ratio를 갖는 골드 나노로드를 합성하여, 그에 따른 물리 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표면에 광역학치료를 위한 광증감제 및 효과적인 암 표적지향성을 위한 FA 리간드와 PEG를 도입하여 효과적인 암치료를 위한 약물전달체로의 응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골드 나노로드의 제조 및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를 통해 광역학/광열치료 분야에 응용가능한 FA-PEGP(Asp)50-HCA 공중합체 및 광증감제가 결합된 골드 나노로드의 합성을 제시하였다. Growth solution에 첨가되는 seed solution 대비 AgNO3의 feed ratio를 달리하면서 합성한 다양한 aspect ratio를 갖는 골드 나노로드의 합성조건을 확립하였고 FA-PEG-P(Asp)50-HCA 공중합체를 이용한 AuNR100 샘플의 표면개질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기술이란 무엇인가? 나노기술이란 물질의 특성을 나노미터 수준에서 규명하고 제어하는 기술이다. 나노의학이란 이런 나노기술이 의학에 적용된 것을 의미하며, 나노물질은 의약품뿐만 아니라 이들을 이용한 생체분자영상, 바이오센서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1].
골드 나노로드는 어떠한 플라즈마 공명을 가지고 있는가? 골드 나노로드(gold nanorod, AuNR)는 transverse mode와 longitudinal mode에 해당하는 2가지의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surface plasmon resonance)을 가지고 있다[14].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란 금속의 표면에 존재하던 전자들이 외부의 빛에 의해 자극이 되면 서로 간섭을 통해 진동을 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나노입자는 인체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시장에 출시되는 약물 중 10%, 개발 신약 중 40%가 난용성 약물이라는 보고가 있다. 이들은 수 마이크로 미터 크기로 물에서의 낮은 용해도를 보이며, 경구 투여 시 생체 흡수율이 감소하고, 정맥 주사투여 시에 여러 가지 부작용 및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나노 크기로 약물을 입자화 시키면 여러 방법으로 인체에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나노 크기의 약물은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용해도가 증가되어 약물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고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4]. 특히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약물의 전달 즉, 약물 운반체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 Youn, K. W. Kang, J. K. Chung, and D. S. Lee, Nanomedicine: Drug delivery systems and nanoparticle targeting, Nucl. Med. Mol. Imaging., 42, 337-346 (2008). 

  2. P. Couvreur and C. Vauthier, Polyalkylcyanoacrylate nanoparticles as drug carrier: present state and perspectives, J. Control. Release, 17, 187-198 (1991). 

  3. Y. Tabata, Y. Murakami, and Y. Ikada, Tumor accumulation of poly(vinyl alcohol) of different siz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J. Control. Release, 50, 123-133 (1998). 

  4. E. M. Liversidege, G. G. Liversidege, and E. R. Cooper, Nanosizing: a formulation approach for poorly-water-soluvle compounds, Eur. J. Pharm. Sci., 18, 113-120 (2003). 

  5. W. M. Sharman, C. M. Allen, and J. E. van Lier, Photodynamic therapeutics: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applications, Drug Discov. Today, 4, 507-517 (1999). 

  6. T. J. Dougherty, C. J. Gomer, B. W. Henderson, G. Jori, D. Kessel, M. Korbelik, J. Moan, and Q. Peng, Photodynamic therapy, J. Natl. Cancer Inst., 90, 889-905 (1998). 

  7. M. H. Gold, Introduction to photodynamic therapy: early experience, Dermatol. Clin., 25, 1-4 (2007). 

  8. D. E. Dolmans, D. Fukumura, and R. K. Jain, Photodynamic therapy for cancer, Nat. Rev. Cancer, 3, 380-387 (2003). 

  9. A. J. Gormley, K. Greish, A. Ray et al., Gold nanorod mediated plasmonic photothermal therapy: a tool to enhance macromolecular delivery, Int. J. Pharm., 30, 315-318 (2011). 

  10. G. V. Maltzahn, J. H. Park, A. Agrawal, N. K. Bandaru, S. K. Das, M. J. Sailor, and S. N. Bhatia, Computationally guided photothermal tumor therapy using long-circulating gold nanorod antennas, Cance Res., 69, 3892-3900 (2009). 

  11. A. P. Castano, P. Mroz, and M. R. Hamblin, Photodynamic therapy and anti-tumour immunity, Nat. Rev. Cancer, 6, 535-545 (2006). 

  12. R. Ackroyd, C. Kelty, N. Brown, and M. Reed, The history of photodetection and photodynamic therapy, Photochem., 74, 656-669 (2001). 

  13. S. K. Baek, Clinical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54, 185-191 (2011). 

  14. H. Ma, P. M. Bendix, and L. B. Oddershede, Large-scale orientation dependent Heating from a single irradiated gold nanorod, Nano Lett., 12, 3954-3960 (2012). 

  15. S. E. Lohse and C. J. Murphy, The quest for shape control: A history of gold nanorod synthesis, Chem. Mater., 25, 1250-1261 (2013). 

  16. B. S. Jang, J. Y. Park, C. H. Tung, I.-H. Kim, and Y. Choi, Gold nanorod-photosensitizer complex for near-infrared fluorescence imaging and photodynamic/photothermal therapy in vivo, ACS Nano., 2, 1086-1094 (2011). 

  17. K. Y. Lin, A. F. Bagley, A. Y. Zhang, D. L. Karl, S. S. Yoon, and S. N. Bhatia, Gold nanorod photothermal therapy in a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model of soft tissue sarcoma, Nano Life, 1, 277-287 (2010). 

  18. G. F. Paciotti, L. Myer, D. Weinreich et al., Colloidal gold: a novel nanoparticle vector for tumor directed drug delivery. Drug Deliv., 11, 169-183 (2004). 

  19. Q. L. Li and Y. H. Cao,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old nanorods. In: Dr. Orhan Yalci (eds.). Nanorods, 159-178, Rijeka, Croatia (2012). 

  20. T. K. Sau and C. J. Murphy, Seeded high yield synthesis of short Au nanorods in aqueous solution, Langmuir, 20, 6414-6420 (2004). 

  21. L. Zhao, T. H. Kim, J. C. Ahn, H. W. Kim, and S. Y. Kim, Highly efficient "theranostics" system based on surface-modified gold nanocarriers for 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of cancer, J. Mater. Chem. B., 1, 5806-5817 (2013). 

  22. X. Huang, S. Neretina, and M. A. El-sayed, Gold nanorods: from synthesis and properties to biolog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Adv. Mater., 21, 4880-4910 (2009). 

  23. C. J. Murphy, L. B. Thompson, D. J. Chernak, J. A. Yang, S. T. Sivapalan, S. P. Boulos, J. Huang, A. M. Alkilany, and P. N. Sisco, Gold nanorod crystal growth: from seed-mediated synthesis to nanoscale sculpting, Curr. Opin. Colloid Interface Sci., 16, 128-134 (2011). 

  24. B. Nikoobakht and M. A. El-sayed, Preparation and growth mechanism of gold nanorods (NRs) using seed-mediated growth method, Chem. Mater., 15, 1957-1962 (2003). 

  25. M. A. Liu, P. Guyot-Sionnest, Mechanism of silver(I)-assisted growth of gold nanorods and bipyramids. J. Phys. Chem. B., 109, 22192-22200 (2005). 

  26. M. R. Langille, M. L. Personick, J. Zhang, and C. A. Mirkin, Defining rules for the shape evolution of gold nanoparticles, J. Am. Chem. Soc., 134, 14542-14554 (2012). 

  27. X. Huang, I. H. El-sayed, W. Qian, and M. A. El-Sayed, Cancer cell imaging and phtothermal therapy in the near-infrared region by using gold nanorods, Langmuir, 26, 6066-6070 (2010). 

  28. B. Isomaa, J. Reuter, and B. M. Diupsund, The sub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cetyltrimethylammounium bromide (CTAB), a cationic surfactant, in the rat, Arch. Toxicol., 35, 91-96 (1979). 

  29. P. C. Ray, H. T. Yu, and P. P. Fu, Toxicity and environmental risks of nanomaterials: challenges and future needs, J. Environ. Sci. Health C, 27, 1-35 (2009). 

  30. Z. Huang, A review of progress in clinical photodynamic therapy, Technol. Cancer Res. Treat., 4, 283-293 (2005). 

  31. J. P. Celli, B. Q. Spring, L. Rizvi, C. L. Evans, K. S. Samkoe, S. Verma, B. W. Pogue, and T. Hasan, Imaging and photodynamic therapy: mechanisms, monitoring, and optimization, Chem. Rev., 110, 2795-2838 (2010). 

  32. K. Fujiwara and T. Watanabe, Effects of hyperthermia, radiotherapy and thermoradiotherapy on tumor microvascular permeability, Pathol. Int., 40, 79-84 (2008). 

  33. D. P. O'Neal, L. R. Hirsch, N. J. Halas, J. D. Payne, and J. L. West, Photo-thermal tumor ablation in mice using near infrared- absorbing nanoparticles, Cancer Lett., 209, 171-17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