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근비대증이 있는 사람의 이갈이 여부에 따라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과정에서 심리 변화의 차이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nges after Botulinum Toxin A Administration for Bruxism with Masseter Hypertroph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6, 2016년, pp.458 - 463  

김영임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  이경진 (전주비전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근비대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독소 치료 과정에 이갈이 여부에 따른 최대 교합력 변화 차이와 심리 변화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교근비대증을 주소로 내원한 2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갈이가 있는 이갈이군 10명과 이갈이가 없는 비이갈이군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는 보툴리눔 독소 A를 주입하였다. 주입하기 전, 주입 후 2주, 4주, 8주, 12주 동안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고 심리요인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SCL-90-R을 이용하여 우울과 불안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갈이군과 비이갈이군은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에 있어 좌, 우 각각 4주째 교합력의 최대 감소 효과가 있었고 8주째부터는 원래의 교합력을 회복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갈이군은 우울과 불안에서 기간의 변화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우울과 불안이 가장 악화되는 8주째에 교합력도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는 변화를 보여 우울과 불안으로 인한 근수축이 이악물기를 유발하여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비이갈이군에서 우울은 기간에 따른 변화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최대 교합력의 변화도 8주째부터 회복은 하였으나 그 변화의 크기가 이갈이 집단과 달리 긴 시간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우울과 불안은 이갈이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 A의 치료 과정에 심리 요인의 변화로 인하여 약물 치료 기간을 단축시키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에는 기능적 요소들과 함께 다면적인 심리 요인도 함께 반영하여 치료계획을 세운다면 약물에만 의존하여 무분별하게 남용되는 약물을 최소화하고 정신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ssess changes in maximum bite force and psychological elements in patients with bruxism treated with botulinum toxin who visited the hospital with a chief complaint of masseter hypertrophy. From among the subjects with masseter hypertrophy as the chief complaint, 10 patients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갈이가 있는 대상자에게 보툴리눔 독소 A의 주입 후 치료 기간 동안의 최대 교합력 변화를 측정하여 이갈이의 치료 변화를 확인하고 대상자들의 심리 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SCL-90-R을 이용하여 우울과 불안의 변화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이갈이가 없는 대상자들과의 차이가 관찰된다면 심리적 문제 요인으로 인지하고 이갈이의 기능적 치료 방법과 심리적 치료 방법을 통합하여 다룸으로써 효율적인 치료계획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갈이란? 이갈이는 기능적인 목적과 무관하게 치아를 악물거나 비비 =거나 가는 것으로 교근 및 기타 저작근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축에 의해 유발되는 무의식적인 구강악습관이다1). 이갈이는 확실한 원인이 정의되어 있지 않고 교합론적 요소, 구강해부학적 요소, 심리적 요소, 수면 요소, 신경 화학적 요소, 유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갈이의 원인은? 이갈이는 기능적인 목적과 무관하게 치아를 악물거나 비비 =거나 가는 것으로 교근 및 기타 저작근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축에 의해 유발되는 무의식적인 구강악습관이다1). 이갈이는 확실한 원인이 정의되어 있지 않고 교합론적 요소, 구강해부학적 요소, 심리적 요소, 수면 요소, 신경 화학적 요소, 유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넓게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갈이의 원인이 현재까지 정확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der G, Lavigne G: Sleep bruxism: an overview of anoromandibular sleep movement disorder. Sleep Med Rev 4: 27-43, 2000. 

  2. Dawson PE: Temoporomandibular joint pain-dysfunction problems can be solved. J Prosthet Dent 29: 100-112, 1973. 

  3. Ramfiord SP, Ash MM Jr: Occlusion. 3rd ed. W.B. Saunders, Philadelphia, pp.244-245, 1983. 

  4. Solberg WK, Clark GT, Rugh JD: Nocturnal electromyographic evaluation of bruxism atients undergoing short term splint therapy. J Oral Rehabil 2: 215-223, 1975. 

  5. Molina OF, dos-Santos J: Hostility in TMD/bruxism patients and controls: a clinical comparison study and preliminary results. Cranio 20: 282-288, 2002. 

  6. Manfredini D, Landi N, Romagnoil M, Bosco M: Psychic and occlusal factors in bruxers. Aus Dent J 49: 84-89, 2004. 

  7. Moore AP, Wood GD: The medical management of masseteric hypertrophy with botulinum toxin type A. Br J Oral Maxillofac Surg 32: 26-28, 1994. 

  8. Clark GT: The management of oromandibular motor disorders and facial spasms with injections of botulinum toxin. Phys Med Rehabil Clin Nam 14: 727-748, 2003. 

  9. Kim JH, Kim KI, Won HT: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Central Institute of Aptitude, Seoul, pp.7-39, 1984. 

  10. Kim JH, Kim KI, Lee HR: The code patterns of korean version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ion. Ment Health Res 3: 173-217, 1985. 

  11. Macaluso GM, Guerra P, Di Giovanni G, Boselli M, Parrino L, Terzano MG: Sleep bruxism is a disorder related to periodic arousals during sleep. J Dent Res 77: 565-573, 1998. 

  12. Jung SC: Standard of car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al Med Pain 1: 37-60, 1989. 

  13. Kim MW, Kim MJ, Kim JS,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tomatognathic habi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J Korean Phys Ther 7: 295-310, 2000. 

  14. Byun YS, Song JH, Choi YC, Kim ST: Muscle weakness after repeated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type A evaluated by dental prescale. J Dent Rehabil Appl Sci 26: 69-75, 2010. 

  15. Ivanhoe CB, Lai JM, Francisco GE: Bruxism after brain injury: successful treatment with botulinum toxin-A. Arch Phys Med Rehabil 78: 1272-1273, 1997. 

  16. Lee SJ, McCall WD, Kim YK, Chung SC, Chung JW: Effect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on nocturnal bruxis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Phys Med Rehabil 89: 16-23, 2010. 

  17. Rugh JD, Woods BJ, Dahlstrom 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ssess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Adv Dent Res 7: 127-136, 1993. 

  18. Celic R, Panduric J, Dulcic N: Psychologic statu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t J Prosthodont 19: 28-29, 2006. 

  19. Calson CR, Okeson JP, Flace DA, Nitz AJ, Curran SL, Anderson D: Comparison of psychologic and physiologic functioning between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and matched controls. J Orofac Pain 7: 15-22, 1993. 

  20. Madland G, Feinmann C, Newman S: Factor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in facial arthromyalgia. Pain 84: 225-232, 2000. 

  21. Quinn JH: Mandibular exercises to control bruxism and deviation problems. Cranio 13: 30-34, 1995. 

  22. Tversky J, Reade PC, Gerschman JA, Holwill BJ, Wright J: Role of depressive illness in the outcome of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in-dysfunction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1: 696-699,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