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평가가 초등과학영재의 개방적 탐구 개선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er Review to the Improvement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Open Inqui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6, 2016년, pp.969 - 978  

김수연 (서울교육대학교) ,  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 후에 개방적 탐구를 수행할 때 어떠한 양상으로 개선이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시 강서교육지원청 영재원 과학분야 소속 학생들은 총 3회에 걸쳐 개방적 탐구와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탐구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는 초등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 평가 준거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후 동료평가 활동 모습과 비교하여 세 번에 걸친 개방적 탐구가 개선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동료평가 활동 시 피드백이 빈번하거나 하나의 피드백에 대하여 오랜 시간 여러 의견이 오고갔던 평가 준거의 경우 평가 점수가 향상하였지만 피드백이 활발히 오고가지 않았던 평가 영역의 점수는 대부분 비슷하거나 소폭 향상하였다. 둘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통해 개방적 탐구 수행을 개선하는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유형은 자신의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수용하고 적용하는 유형이었고, 두 번째 유형은 다른 모둠이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본인의 탐구를 반성하여 개선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으며, 마지막 유형은 별다른 피드백 없이도 다른 모둠의 개방적 탐구 발표를 듣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반성이 이루어지는 유형이었다. 셋째, 초등과학영재가 동료평가를 할 때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에는 5가지 유형이 있었다. 즉, 탐구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피드백, 깊이 생각하지 않고도 동료의 탐구에서 부족한 점을 지적하는 피드백, 탐구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탐구의 과학적 논리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피드백,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피드백 등이었다. 이 중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피드백 유형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동료평가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다섯번째 피드백 유형은 드물게 나타나 교사의 지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improvement in performing open inquiry after peer review. In this study, gifted fifth-grade students performed open inquiry and review of each other as peers after the inquiry. Students' inquiries were evaluated and the 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탐구는 어떤 활동인가? 과학 탐구는 과학 교과를 다른 교과와 구분해주는, 가장 특징 적이며 핵심적인 활동이다(Lunetta, 1997; Roth, 1995). 과학 탐구는 과학자들이 자연 세계를 이해하는 연구 과정과, 그 결과 알아낸 과학 지식을 다른 이들에게 증거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설명을 하는 과정을 말한다.
과학적 탐구를 학생 주도성 정도에 따라 어떻게 분류 되는가? 이들은 모두 학생의 주도성이 가장 큰 탐구를 수준이 높다고 평가하였으며, 특히 Bell et al.(2005)은 과학적 탐구를 학생 주도성 정도에 따라 확인 탐구, 구조화된 탐구, 안내된 탐구, 개방적 탐구로 분류하였다.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는 탐구 문제와 방법, 해결 답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학생들이 스스로 이러한 정보를 찾도록 한다.
동료평가 활동을 통해 보다 많은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 개선시킬 구체적인 방법을 떠올릴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하는 이유는? 확산적 사고는 창의적 사고력의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탐구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하는 것은 그 자체로 과학적 탐구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료평가 활동을 통해 보다 많은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이 동료의 탐구에서 부족한 점을 지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개선시킬 구체적인 방법을 떠올릴 수 있도록 격려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usubel, D. P. (1963). The Psychology of Meaningful Verbal Learning: An Introduction to School Learning. New York: New York Grune & Stratton. 

  2. Bang, J., Choi, C., Choi, W., & Jeong, D. (2006). The Effects of Inquiry Learning Applying Open-Ended Hypothesis-Testing Learning Model: On the 'Metals and Their Applications' Unit in Chemistry I.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0(5), 385-393. 

  3. Bell, L. R., Smetana, L., & Binns, I. (2005). Simplifying inquiry instruction: assessing the inquiry level of classroom activities. Science Teacher, 72(2), 30-33. 

  4. Cavagnetto, A., Hand B. M., & Lori Norton-Meier (2010). The nature of elementary student science discourse in the context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4), 427-449. 

  5. Center of Science, Mathmatics and Engineering Education(CSMEE)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6. Chaudron, C. (1984). The effects of feedback on students' composition revisions. RELC Journal, 15, 1-14. 

  7. Hedgecock, J., & Lefkowitz, N. (1992). Collaborative oral/aural revision in foreign language writing instruction.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1, 255-276. 

  8.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9(2), 171-212. 

  9. Kastra, J. (1987). Effects of peer evaluation on attitudes toward writing fluency of 9th grad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0, 168-172. 

  10. Kim, H., & Song, J.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11. Kim, S., Jeoung, J., & Chun, J.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Free Inquiry Activity Repor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1), 69-85. 

  12. Lee, E., & Kang, S. (2008). The Effect of SWH Application on Problem-Solving Type Inquiry Modules Through Student-Student Verbal Interaction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2), 130-138. 

  13. Lee, H., & Lee, J. (2010). The Effect of the Specific Open-Inquiry Lesson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Instructing Teachers' Cognition about Open-Inquiry.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405-420. 

  14. Lee, J., & Kim, S. (2012). Effects of the Peer Review Activities on the Inquiry Experiments Regarding Plant Transpiration. Biology Education, 40(4), 494-510. 

  15. Lee, Y., & Kim, D. (2010). The Effects of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3(3), 239-247. 

  16. Leki, I. (1990). Coaching from the margins: Issues in written response. In Kroll, B.(Ed.), Second Language Writing: Research Insights for the Classroo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Lunetta, V. N. (1997). The role of laboratory in school science. In Tobin, D. & Fraser, B. J.(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lands: Kluwer. 

  18. Mangelsdorf, K. (1992). Peer reviews in the ESL composition classroom: What do the students think? ELT Journal, 46, 274-284. 

  19. Nancy, M. T. (2009). Interactive learning through web-mediated peer review. Education Tech Research, 57, 685-704. 

  20.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 

  21. Park, J., Kim, J., & Bae, J. (2001). The Effect of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2), 271-280. 

  22. Park, S., Kang, S., & Jang, E. (2010). The Effect of Peer Review Activities on Qualitative Changes in Lab Repor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988-1001. 

  23. Roth, W. M.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24. Schwab, J. J. (1960). Inquiry - the science teacher and the educator. The Science Teacher, 27(10), 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