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잔류 농약의 무 흡수양상 및 토양 안전관리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Safe Management Guideline Based on Uptake Pattern of Pesticide Residue from Soil by Radish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5 no.4, 2016년, pp.278 - 285  

황정인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곽세연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상협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강민수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류준상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강자군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정혜현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홍성현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장억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에 잔류된 엔도설판(ED) 살충제의 ${\alpha}$, ${\beta}$ 이성질체 및 sulfate 대사체의 무 흡수이행 양상을 조사하고 무 재배지 토양에 대한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생물농축계수(BCF)를 산출하였다. 토양은 2 및 10 mg/kg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으며 각각의 처리구에 파종한 무를 40일부터 70일까지 재배 후 10일 간격으로 수확하고 수확된 무는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ED의 잔류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으로부터 무 한 개체로 흡수된 total ED (이성질체와 대사체의 합) 잔류량에 대해 ED-sulfate가 48.5-100.0%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그 다음으로 ${\alpha}$- (0.0-35.2%) 및 ${\beta}$-ED (0.0-16.4%) 순이었다. ED 잔류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무와 토양사이에 total ED의 잔류량 비로써 BCF를 산출하였으며 그 값은 무 지상부에 대해 0.0002-0.0429, 지하부에 대해 0.0077-0.2345로 지하부의 BCF 값들이 더 컸다. 이 값들로부터 얻어진 회귀방정식( $R^2$ >0.86)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BCF 값들을 예측하고 무에 대한 ED의 MRL 값인 0.1 mg/kg과 비교하여 무 재배지 토양 중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산출하고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한 결과, 무와 무청 둘 다에 대해 2.0 mg/kg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Uptake patterns of ${\alpha}$-, ${\beta}$-isomers and sulfate metabolite of endosulfan (ED) by radishes grown in treated soils with ED concentrations of 2 and 10 mg/kg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soil management guidelines for ensuring the safety of radishes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토양잔류 ED의 근채류 작물로의 흡수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를 시험작물로 사용하였으며 무의 부위별 잔류분석을 통하여 흡수된 ED 이성질체 및 sulfate 대사체의 시간경과에 따른 분포양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들로부터 토양-작물 BCF 값을 산출하여 무 재배지 토양 중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토양잔류 ED의 근채류 작물로의 흡수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를 시험작물로 사용하였으며 무의 부위별 잔류분석을 통하여 흡수된 ED 이성질체 및 sulfate 대사체의 시간경과에 따른 분포양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험결과들로부터 토양-작물 BCF 값을 산출하여 무 재배지 토양 중 ED의 안전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는 어떤 작물인가? 무는 토양과 밀접히 재배되는 근채류 작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지하부(뿌리)와 지상부(무청) 둘 다를 가식부로 하는 다소비 채소이다. 무는 재배기간 중 비대성장을 하기 때문에 수확시기에 따라 농약의 흡수 정도가 다를 수 있고 증체와 함께 그 농도가 희석될 수도 있으므로 무의 수확시기별 흡수양상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유기계 염소 살충제 endosulfan이 사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에서 검출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이후부터 ED 사용을 금지하였지만, 2007-2011년 사이 ED의 생산 및 출하량이 연간 100톤 가량인 것을 감안하면(KCPA, 2009; 2013), 금지 이전 사용된 ED의 잔류물들이 여전히 농업환경에 잔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2013-2015년까지 조사된 식품의약품안전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ED는 부적합 농산물 중 검출빈도가 높은 농약그룹에 속하며(MFDS, 2016), 이러한 결과는 재배지 토양에 잔류하던 ED가 작물체 뿌리를 통해 흡수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농산물 중 잔류농약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농약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MRL)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이 기준은 재배지 토양 중 잔류하는 농약의 작물흡수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생물농축계수(bioconcentration factor, BCF)는 토양 중 잔류하는 농약의 작물 흡수이행능을 평가하기 위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Arnot and Gobas, 2006), 미국, 영국, 네덜란드와 같은 나라에서는 토양잔류 농약의 작물흡수 규모를 예측하고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BCF에 근거한 경험적인 수학 모델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EPA, 1992; RIVM, 2001;EA,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derson, J. J., Bookhart, S. W., Clark, J. M., Jernberg, K. M., Kingston, C. K., Snyder, N., Wallick, K., & Watson, L. J. (2013). Uptake of cyantraniliprole into tomato fruit and foliage under hydroponic conditions:Application to calibration of a plant/soil uptake mode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1(38), 9027-9035. 

  2. Arnot, J. A., & Gobas, F. A. P. C. (2006). A review of bioconcentration factor (BCF) and bioaccumulation factor (BAF) assessments for organic chemicals in aquatic organisms. Environmental Reviews, 14(4), 257-297. 

  3. Awasthi, N., Ahuja, R., & Kurmar, A. (2000). Factors influencing the degradation of soil-applied endosulfan isomer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2(11), 1697-1705. 

  4. Bakouri, H. E., Quassini, A., Agudo, J. M., & Garcia, J. U. (2007). Endosulfan sulfate mobility in soil columns and pesticide pollution of groundwater in northwest Morocco. Water Environment Research, 79(13), 2578-2584. 

  5. Briggs, G. G., Bromilow, R. H., & Evans, A. A. (1982). Relationship between lipophilicity and root uptake and translocation of non-ionised chemicals by barley. Pesticide Management Science, 13(5), 495-504. 

  6. Burken, J. G., & Schnoor, J. L. (1998). Predictive relationships for uptake of organic contaminants by hybrid poplar tre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2(21), 3379-3385. 

  7. Burns, M., Crossan, A. N., Kennedy, I. R., & Rose, M. T. (2008). Sorption and desorption of endosulfan sulfate and diuron to composted cotton gin trash.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6(13), 5260-5265. 

  8. Esteve-Turrillas, F. Scott, W. C., Pastor, A., & Dean, J. R. (2005). Uptake and bioavailability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by plants grown contaminated soil.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7(11), 1093-1098. 

  9. Hsu, F. C., Marxmiller, R. L., & Yang, A. Y. S. (1990). Study of root uptake and xylem translocation of cinmethylin and related compounds in detopped soybean roots using a pressure chamber technique. Plant Physiology, 93(4), 1573-1578. 

  10. Hwang, J. I., Lee, S. E., & Kim, J. E. (2014a).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for dynamic mobility of chlorpyrifos in soils containing different organic matters.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y, 37(6), 1017-1027. 

  11. Hwang, J. I., & Kim, J. E. (2014b). Distribution patterns of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chlorpyrifos absorbed from soil into cucumber.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8(3), 148-155. 

  12. Hwang, J. I., Lee, S. E., & Kim, J. E. (2015). Plant uptake and distribution of endosulfan and its sulfate metabolite persisted in soil. Plos One, 10(11), DOI: 10.1371/journal.pone.0141728. 

  13. Kataoka, R., & Takagi, K. (2013). Biodegradability and biodegradation pathways of endosulfan and endosulfan sulfate.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97, 3285-3292. 

  14.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09). Agrochemical Year Book, pp. 146-147, Moonseon, Korea. 

  15. KCPA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3). Agrochemical Year Book, pp. 178-179, Moonseon, Korea. 

  16. Macbean, C. (2012). The Pesticide Manual, pp. 414-415,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17. Park, B. J., Lee, B. M., Kim, C. S., Park, K. H., Kim, J. H., Kwon, H. Y., Park, S. W., Choi, G. H., & Lim, S. J. (2013). Long-term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rable soil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7(4), 283-292. 

  18.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Analytical Method for Soil and Plant, pp. 103-130, Sammi, Korea. 

  19. Sethunathan, N., Megharaj, M., Chen, Z. L., Williams, B. D., Lewis, G., & Naidu, R. (2004). Algal degradation of a known endocrine disrupting insecticide, ${\alpha}$ -Endosulfan, and its metabolite, endosulfan sulfate, in liquid medium and soi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2(10), 3030-30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