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 중 잔류하는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 이행과 잔류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장상 내 실내시험과 시설재배 포장에서의 실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및 실외시험 기간에 토양 중 chlorpyrifos의 분해 반감기는 각각 25.8~73.0일과 32.4~42.3일로 비슷하였다. 실내시험 오이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정식 후 1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뿌리로부터 흡수된 농약의 양은 초기 처리된 절대량의 1.0~1.3% 수준이었다. 흡수된 농약의 대부분은 뿌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줄기와 잎 순이었다. 반면에 실외시험 중 수확된 오이열매에서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LOQ (0.02 mg/kg)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오이 부위별 시료 분석결과, 실내시험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대부분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실외시험에서 오이 한 개체에 흡수된 chlorpyrifos는 초기 토양에 살포된 양의 0.03~0.04%로 실내시험에서의 흡수율에 비해 30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실제 토양환경 중 chlorpyrifos의 잔류수준은 본 시험에서 시험된 고농도(40 mg/kg) 처리구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nsfer pattern of chlorpyrifos present in soil to cucumber plants were assessed and reported with plant growth, concentration dependency, and duration. Cucumber seedlings cultivated in a growth chamber for 30 days and a greenhouse for 120 days. Weight and length of cucumbers cultivated 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작물재배 토양에 잔류된 농약의 작물에 대한 흡수 이행 정도와 작물 내에서의 분포양상을 파악하여 작물에 대한 안전성 유무를 평가함으로써 토양내 유해오염물질의 작물 재배 기준 설정에 참고하고자 농약으로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비교적 잔류가 많이 되는 chlorpyrifos를 선정하였으며 작물로는 흡수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오이를 선정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에 직접 혼화 또는 관주 처리되는 농약에는 무엇이 있는가? 안전한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지상부에서 살포되는 농약은 안전사용기준이나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나(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토양으로부터 흡수되는 농약에 대한 안전성 유무는 토양에 잔류된 농약이 정확히 얼마나 흡수되어 작물의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토양에 직접 혼화 또는 관주 처리되는 농약에는 chlorpyrifos, cadusafos, tolclofos-mehtyl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의 함량은 2~50%로 상당히 고농도의 약제도 있어 토양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현재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에서는 중금속 8종을 포함한 총 21종의 물질을 토양오염물질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Ministry of Environment 2014), 유기인화합물을 제외한 농약은 조사항목에 포함하지 않는다.
토양 중 잔류하는 농약이 작물체내로 흡수되는 과정은 무엇인가? 2012), 이는 토양 중 잔류하는 농약이 작물체내로 흡수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작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된 농약은 물관과 체관을 따라 작물체 전역으로 이행되며 가식부로 이동한 농약은 의도하지 않은 부적합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작물, 토양 및 농약의 특성을 고려한 토양 잔류농약의 작물 흡수·이행성 평가를 통해 토양 중 잔류농약의 안전관리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에서는 몇 종의 물질을 토양오염물질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는가? 토양에 직접 혼화 또는 관주 처리되는 농약에는 chlorpyrifos, cadusafos, tolclofos-mehtyl 등이 있으며 이들 제품의 함량은 2~50%로 상당히 고농도의 약제도 있어 토양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현재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에서는 중금속 8종을 포함한 총 21종의 물질을 토양오염물질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으며(Ministry of Environment 2014), 유기인화합물을 제외한 농약은 조사항목에 포함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J. W., Y. H. Jeon, J. I. Hwang, H. Y. Kim, J. H. Kim, D. H. Jeong and J. E. Kim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and risk assessment for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Kor. J. Environ. Agric. 31(2):164-169. 

  2. Alvarez, M., C. D. Mortier and A. F. Cirelli (2013) Behavior of Insecticide Chlorpyrifos on Soils and Sediments with Different Organic Matter Content from Provincial De Buenos Aires, Republica Argentina. Water Air Soil Pollut. 224:1453. 

  3. Andreu, V. and Y. Poco (2004) Determination of Pesticide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in Soil: Critical Review and Comparison of Methods. Trend. Anal. Chem. 23:10-11. 

  4. Bovin A., R. Cherrier and M. Schiavon (2005) A Comparison of Five Pesticides Adsorption and Desorption Processes in Thirteen Contrasting Field Soils. Chemosphere 61:668-676. 

  5. Collins C., M. Fryer and A. Grosso (2006) Plant Uptake of Non-Ionic Organic Chemicals. Environ. Sci. Technol. 40(1): 45-52. 

  6. Fang H., Y. L. Yu, X. Wang, M. Shan, X. M. Wu and J. Q. Yu (2016) Dissipation of Chloryprifos in Pakchoi-Vegetated Soil in a Greenhouse. J. Environ. Sci. 18(4):760-764. 

  7. Fantke P. and R. Juraske (2013) Variability of Pesticide Dissipation Half-Lives in Plants. Environ. Sci. Technol. 47: 3548-3562. 

  8. Garratt J. and A. Kennedy (2007) Modeling Pesticide Leaching and Dissipation in a Mediterranean Littoral Greenhouse. J. Agric. Food Sci. 55:7052-7061. 

  9. Hwang J. I. and J. E. Kim (2013) Residue of Fungicides, Flusilazole and Myclobutanil in Apples. Curr. Res. Agric. Life Sci. 31(4):272-279. 

  10. Hwang J. I. and J. E. Kim (2014) Residual Patterns of Acaricides, Etoxazole and Flufenoxuron in Apples. Kor. J. Pestic. Sci. 18(2):61-68. 

  11. Hwang K. W., T. W. Kim, J. H. Yoo, B. S. Park, J. K. Moon (2012) Dissipation Pattern of Amisulbrom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Kor. J. Pestic. Sci. 16(4):288-293. 

  12.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14) IUPAC agrochemical information. http://sitem.herts.ac.uk/aeru/iupac/154.htm. Accessed 28 September 2014. 

  13. Kim, H. Y., Y. H. Jeon, J. I. Hwang, J. H. Kim, J. W. Ahn, D. H. Jeong and J. E. Kim (2011)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 and risk assessment for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of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Kor. J. Environ. Agric. 30(4):440-445. 

  14.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orea, pp. 676-677. 

  15. Lee K. Y., S. E. Strand and S. L. Doty (2012) Phytoremediation of Chlorpyrifos by Populus and Salix. Int. J. Phytoremediation. 14(1):48-61. 

  16. Lu M. X., W. W. Jiang, J. L. Wang, Q. Jian, Y. Shen, X. J. Liu and X. Y. Yu (2014) Persistence and Dissipation of Chlorpyrifos in Brassica Chinensis, Lettuce, Celery, Asparagus Lettuce, Eggplant, and Pepper in a Greenhouse. Plos One 9(6): doi: 10.1371/journal.pone.0100556. 

  17. Macbean, C. (2012) The pesticide manual, 16th ed.;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Alton, Hampshire, UK, pp. 199-201. 

  18. Marin A., J. Okiva, C. Garcia, S. Navarro and A. Barb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51:4708-411.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3597 #AJAX. Accessed 28 September 2014.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MRLs for Pesticides in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pp. 74, 248. 

  21.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4)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ertification in 2013. http://www.enviagro.go.kr/portal/info/Info_statistic_cond.do#a. Accessed 28 September 2014. 

  22. Park B. J., B. M. Lee, C. S. Kim, K. H. Park, S. W. Park, H. Y. Kwon, J. H. Kim, G. H. Choi and S. J. Lim (2013) Long- Term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rable Soils in Korea. Kor. J. Pestic. Sci. 17(4):283-292. 

  23. Paterson S. and D. Mackay (1994) A Model of Organic Chemical Uptake by Plants from Soil and the Atmosphere. Environ. Sci. Technol. 28:2259-2266. 

  24. Racke K. D., D. D. Fontaine, R. N. Yoder and J. R. Miller (1994) Chlorpyrifos Degradation in Soil at Termiticidal Application Rates. Pest Manag. Sci. 42(1):43-51. 

  25. Ricco R., M. Trevisan and E. Capri (2006) Effect of Surface Waxes on the Persistence of Chlorpyrifos-methyl in Apples, Strawberries and Grape Fruits. Food Addit. Contam. 23(7): 683-692.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Analytical method for soil and plant; Ihm, J.N.; Sam Mi: Suwon, Republic of Korea, pp. 103-130. 

  27. Singh, D. P., J. I. S. Khattar, J. Nadda, Y. Singh, A. Garg, N. Kaur and A. Gulati (2011) Chlorpyrifos degradation by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UPCCC 64. Environ. Sci. Pollu. Res. 18:1351-1359. 

  28. Spark K. M. and R. S, Swift (2002) Effect of Soil Composition and Dissolved Organic Matter on Pesticide Sorption. Sci. Total Environ. 298(7):147-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