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의 배합방법 및 양생일에 따른 거동 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ement Bentonite Impervious Walls Related to Mixing Methods and Curing Time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7 no.12, 2016년, pp.45 - 54  

황정순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  김승욱 (Daejin SCB, Research Institute) ,  정준기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  이승주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  오병삼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  백승철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로 굴착 트렌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혼합물을 불투수벽체의 재료로 사용하여 지중차수벽체를 구성하는 새로운 시공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굴착된 구역을 균질하게 차수재료로 치환하므로 일반적인 그라우팅공법에 비해 차수효과의 예측과 시공성과의 검증이 보다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시공 장비가 단순하고 시공 순서가 간단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실험을 통해 배합재료와 배합방법의 변화에 따른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의 공학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본 공법의 실무 적용 시 시공비용 결정과 벽체의 설계를 위해 가장 중요한 표준 배합비와 배합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차수벽체를 구성하는 재료들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일반포틀랜드 시멘트와 고로슬레그 시멘트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method of new underground continuos impervious wall that the bentonite slurry keeps the stability of excavated trench and the mixture of cement and bentonite plays a role as a constituent of impervious wall in the trench. The merit of homogeneity of the method so c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벤토나이트 혼합물의 거동특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배합비 변화에 따른 재료특성 변화와 관련해서는 미약하나마 일부 성과가 축척되어 있는 실정이나, 물-벤토나이트 혼합물의 양생시간에 대한 연구 성과나 고로슬래그 시멘트 첨가에 따른 혼합물의 강도와 투수계수의 변화 거동에 대한 연구성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현장에 적용되는 표준배합비를 적용하여 배합방법의 변화에 따른 혼합물의 공학적 특성 변화에 대해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 또한 제체나 제방의 공용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보강재료와 원지반의 이질거동이 최소화되고 기존 토구조물과 일체화되어 거동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재료의 하중-변형 특성이 제체를 구성하고 있는 흙재료의 거동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여부와 더불어 배합방법 및 투입재료의 특성에 따른 강도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 일반적으로 강화벤토나이트 벽체의 구성원리는 벤토나이트의 점토광물 특성인 저투수성과 시멘트의 결합특성을 이용한 혼합물을 지상에서 배합한 후 지중 굴착구역의 투입을 통해 적당한 강성을 지니는 불투수성 지중연속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벤토나이트를 구성하는 물, 벤토나이트 및 시멘트의 배합방법이 강화벤토나이트 벽체의 강도와 차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혼합재료의 양생일별로 고찰하였으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첨가재로 사용한 경우와 고로 슬래그 시멘트를 첨가재로 사용한 경우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첨가제별 강도 및 투수특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배합재료를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공법을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제안된 기법의 설계와 공사비 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사용재료의 공학적 특성과 이질재료(물-시멘트-벤토나이트)의 배합비를 결정했으며, 현장에 적용 품질관리를 위해 배합순서 및 배합비 등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차수공법들의 공법적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합리적이며 예측 가능하고 경제적인 새로운 차수공법을 제안하고, 현장 적용 시 품질관리를 위한 배합방법 및 절차를 실내실험을 통해 제시하였다. 또한 벤토나이트 수화 기간이 강화벤토나이트 벽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시멘트를 첨가한 경우와 고로슬래그 첨가한 경우의 강화벤토나이트 슬러리의 비교를 통해 최적의 배합재료를 찾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차수 그라우팅 공법은 공용 중인 저수지 제체에 천공 후 약액 등을 주입하므로, 제체 자체에 가해지는 손상이 미소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이나 공법의 내구성 문제와 지반의 공극을 통해 충진되는 그라우팅 공법의 특성상 차수영역의 균질성 및 차수범위의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제방 등의 차수성능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지반 굴착 후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혼합재료로 즉시 치환하는 지중차수 벽체 조성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 혼합물의 배합조건 및 배합비에 따른 거동특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조건에 대해 일축압축강도 및 투수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벤토 나이트 혼합물은 먼저 물과 벤토나이트를 혼합하여 일정시간 벤토나이트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것을 허용한 후, 시멘트를 첨가하여 시멘트-벤토나이트 혼합물의 경화를 유도한다.
  • 먼저 실험에 적용된 혼합물의 표준배합비는 일반적인 값으로 Table 3과 같이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물과 벤토나이트가 혼합된 후 시멘트가 투입되기 이전 벤토나이트의 수화시간에 따른 강화벤토나이트 공시체의 강도 및 투수특성을 평가하였다. 벤토나이트의 수화시간은 물과 벤토나이트가 혼합된 후 시멘트가 투입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시간이 길수록 혼합물의 공학적 특성은 양호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본 절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로 배합된 강화벤토나이트 차수재의 투수계수를 평가하기 위해 변수위 투수시험을 수행하였다. 투수계수시험은 물과 벤토나이트를 배합한 후 수화시간 4시간과 24시간의 차이를 두고 보통포틀랜드 시멘트가 배합된 경우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벤토나이트 수화시간이 각각 다른 두 개의 투수 몰드를 설치하여 30일간 연속적으로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 이 현상은 유동이 없는 안정된 상태에서는 겔(gel)상태가 되고, 급격한 이동이 일어날때는 액상의 졸(sol) 상태로 변하게 되는 것으로 몬모릴로나 이트 현탁액은 이 현상의 상태 변화가 특히 예민하다. 본연구에서는 강화벤토나이트 벽체의 혼합재료 변경에 따른 강도 및 투수특성 변화를 고찰하고자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고화재료를 보통포틀랜드 시멘트(Ordinary Portland Cement, OPC)와 고로슬래그 시멘트(Blast Furnace Slag Cement, BSC)로 바꾸어가며 강화벤토나이트 혼합물의 재료변화와 재령 일수에 따른 강도특성 및 투수특성의 변화를 고찰해보았다. Table 2는 본 연구에 사용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화학구성 및 재료 특성값이다.
  • 투수실험의 목적은 시멘트-벤토나이트의 배합조건에 따라 투수계수 특성을 파악한 후 일반적인 차수재의 품질관리 기준인 1×10–5cm/sec 이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의 장점은?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로 굴착 트렌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혼합물을 불투수벽체의 재료로 사용하여 지중차수벽체를 구성하는 새로운 시공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굴착된 구역을 균질하게 차수재료로 치환하므로 일반적인 그라우팅공법에 비해 차수효과의 예측과 시공성과의 검증이 보다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시공 장비가 단순하고 시공 순서가 간단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강화벤토나이트 벽체란? 강화벤토나이트 벽체는 시멘트, 벤토나이트 및 물로 배합된 슬러리를 굴착 트렌치 안에 채워 넣어 시공되는 지중 연직벽체의 일종이다. 강화벤토나이트 벽체는 지중에 투수 성이 매우 작은 일종의 차수벽체를 구성하여 지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거나 때로는 적절한 강성을 지니는 벽체로 저수지 제체나 제방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의 오염물질 차단, 지하수위 저하방지, 제체 내부의 지하수 흐름 차단 등을 위해 적용한다.
강화벤토나이트 벽체가 국내의 경우 적용사례가 전무한 이유는? 강화벤토나이트 벽체의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적용사례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산악지형의 특성상 농업용수의 확보를 위해 수많은 소류지와 중소규모 농업용 댐이 전국적으로 산재하고 있으며 많은 수의 수리용 댐들이 노후화되어 기능수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에 존재하는 댐을 시공연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2011년 기준으로 총 17,505개소가 존재하며, 1945년 이전에 준공된 저수지가 9,082개소로서 전체의 5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S. W., Park, H. G., Woo, J. K. and Kim, H. T. (2014), SCB (Soil-Cement-Bentonite) slurry cutoff wall method for the waterproof and reinforcement of dam body, Publication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0, No. 5, pp. 8-14 (in Korean). 

  2.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3. Demars, B., Pledger, C. and Barrett, B. (2009), A. V. Watkins dam modification : cement bentonite slurry cutoff wall, 29th Annual USSD Conference, Nashville, Tennessee, pp. 1073-1084. 

  4. Evans, J. C., Costa M. J. and Cooley, B. (1995), The state-of-stress in soil-bentonite slurry trench cutoff walls, ASCE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46, New Orleans, Louisiana, pp. 1173-1191. 

  5. Fratalochi, E. and Pasqualini, E. (1998), Permeability over time of cement-bentonite slurry walls, Environmental Geotechnics, P.S. Secoe Pinto, ed., pp. 509-514. 

  6. Jefferis, S. A. (1981), Bentonite-cement slurries for hydraulic cut-offs, Int. Conf.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Stockholm, June, Vol. 1, pp. 435-440. 

  7. Ryan, C. R. (1985), Slurry cutoff walls: applications in the control of hazardous wastes, Hydraulic Barriers in Soil and Rock, ASTM STP 874, A. I. Johnsojhkn, R. K. Frobel, N. J. Cavalli, and C. B. Pettersson, eds., ASTM, Philadelphia, pp. 9-23. 

  8. Sharma, H. D. and Lewis, S. P. (1994), Chapter 7. Vertical barriers : slurry walls, waste containment systems, waste stabilization, and landfill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 6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