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스크린 기법을 이용한 연강수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Data Screeening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3 no.3, 2020년, pp.15 - 28  

정세진 (강원대학교 강원종합기술연구원) ,  임가균 ((주)경보기술단 방재부) ,  김병식 (강원대학교 도시환경방재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0개의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갈수량과 평균저수량,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유역특성인자 18개와 기상특성인자 3개와의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역면적, 유역 평균 표고, 유역 평균 경사, 수계 밀도, 유출곡선지수, 연증발산량, 연강수량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갈수지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0개의 검증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균갈수량 산정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의 미계측 유역의 평균 갈수량 회귀모형과 비교·분석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의 회귀모형보다 다양한 유역 특성인자와 수문특성인자를 고려하여 회귀모형을 개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ological data is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hydrological process and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to protect human life and property from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hydrological analysis are often performed assuming that hydrological data are stationary. However, recently clim...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수문 시계열 자료에 대한 정상성 분석을 수행할 시 경향성뿐만 아니라 지속성, 안정성에 관한 분석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연강수량 자료에 대하여 통계적 특성인 정상성에 대하여 정상성을 이루는 요소들인 지속성, 경향성, 안정성에 대해 데이터스크리닝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정상성에 판단하고자 하며 정상성을 이루는 요소들인 경향성, 안정성, 지속성에 대한 각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연강수량 자료의 정상성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성, 경향성, 안정성은 무엇을 나타내는 지표인가? 수문자료의 정상성을 확인 하는 방법에는 지속성, 경향성, 안정성의 유무를 파악하여 판단한다. 지속성은 수문자료의 통계적 특성이 얼마의 기간 동안 유지 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며, 경향성은 수문 자료의 통계적 특성이 어떠한 추세를 가지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안정성은 시계열의 평균과 분산 등의 통계적 특성이 바뀌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지표이다. 시계열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수문자료의 정상성을 확인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수문자료의 정상성을 확인 하는 방법에는 지속성, 경향성, 안정성의 유무를 파악하여 판단한다. 지속성은 수문자료의 통계적 특성이 얼마의 기간 동안 유지 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며, 경향성은 수문 자료의 통계적 특성이 어떠한 추세를 가지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형태는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기후변화로 인하여 최근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수형태는 과거보다 호우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고 장마기간 후인 8월의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Je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ahmen, E. R. and Hall, M. J. (1990). Screening of Hydrological Data: Tests for Stationarity and Relative Consistenc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nd Reclamation and Improvement. 

  2. Jeung, S. J., Park, J. Y., Yang, D. M., and Kim, B. S. (2019). The Future of Extreme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ETCCDI Index. J. Korean Soc. Hazard Mitig. 19(7): 105-115. 

  3. Kang, B. S., Lee, S. H., and Kwon, J. W. (2009). Properties Analysis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 Variance in Korea Using Stationarity and Homogeneity Test.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34-2637. 

  4. Kim, B. S., Kang, K. S., and Seo, B. H. (1997). The Time Series Analysis of Annual Rainfall in Korea.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80-285. 

  5. Kim, T. R., Shin, H. J., Joo, K. W., and Heo, J. H. (2013). Trend Analysis of Extreme Hydrological Data Considering Skewness Degree.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771-1773. 

  6. Lee, J. J., Jang, J. Y., and Kwak, C. J. (2010). An Analysis of Temporal Characteristic Change for Various Hydrologic Weather Parameters (I) - On the Basic Statistic, Tren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4): 409-419. 

  7. Park, C. S. and Lee, G. R. (2018). Analysis on Abnormal Trend in Climate Change of Weather Stations in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13(3): 179-195. 

  8. Park, J. H., Lee, G. S., Yang, J. S., and Kim, S. W. (2012). A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nalysis of Geum River Watershed with GIS Data Considering Climate Change.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20(3): 39-50. 

  9. Ryu, Y. J., Shin, H. J., Kim, S. Y., and Heo, J. H. (2013). Power Test of Trend Analysis Using Simulation Experi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3): 219-227. 

  10. Song, H. K., Kim, S. H, Om, M. J., and Heo, J. H. (2015). Assessment of Spatial Trend and Stationary of Observed Rainfall by Considering Duration.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2. 

  11. Yu, J. S., Kang, I. S., Park, J. I., and Shin, H. W. (1999). The Properties Analysis of Hydrology Time Series by the Use of Annual Rainfall Data.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15: 191-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