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 현황과 전망 - 학회지를 중심으로 -
Present and Prospect of Clothing Construction Research - Focus on academic associations' publication -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0 no.5, 2016년, pp.102 - 114  

김선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a scientific and rational approach for future research agenda setting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papers on clothing construc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decade, the research trend of clo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복구성학 연구의 역사를 연도별로 구분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최근의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전망을 예견하기 위하여 국내 학회지에 7종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의복구성학 분야를 학회지별, 연구주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는 최근 10년간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구성학이란 무엇인가? 입었을 때 편안하고 아름다운 의복을 만들기 위해서는 의복의 기능적인 측면과 디자인적인 측면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한다. 여기서 의복구성학은 인체와 의복 관계에서 필요한 의복의 기능적인 측면을 만족시키기 위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의복의 디자인적 측면이 변화하는 사회와 인간의 감각에 대응하는 새로운 복식미를 창조하고 표현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의복구성학은 이것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학문으로 의복과 인체의 적합성을 연구하고 의복 제작 과정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체계화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학문이라 하겠다.
의복구성학 분야는 첨단 과학의 발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과거와 현재 의복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주제로 한 연구는 1961년~1990년 동안의 Kim(1991)의 연구, 1959년~1999년 동안의 Lee(2001)의 연구, 1996년~2006년 동안의 Nam(2006)의 연구 등 연구 기간별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전망을 예측하기 위해 진행되어 왔다. 의복구성학 분야는 과거 의복을 만드는 기술에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기성복이 일반화되고 작업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하면서 인간공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이 늘어남에 따라 그 연구 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Lee, Rha, & Bae, 2001). 특히 의복구성학 분야는 첨단 과학의 발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학문의 발전뿐만 아니라 의류산업의 발전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의복구성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기서 의복구성학은 인체와 의복 관계에서 필요한 의복의 기능적인 측면을 만족시키기 위한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즉, 의복의 디자인적 측면이 변화하는 사회와 인간의 감각에 대응하는 새로운 복식미를 창조하고 표현하는 학문이라고 한다면, 의복구성학은 이것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학문으로 의복과 인체의 적합성을 연구하고 의복 제작 과정에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체계화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학문이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H. J. (2013).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clothing construction in Korea-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1 through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3), pp. 138-150. doi:10.7233/jksc.2013.63.3.138. 

  2. Do, W. H. (2008). Analysis of body surface change from 3D scan data of men's upper bodies in twenties-Focus on application of motorcycle jacket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pp. 530-541. 

  3. Kim, H. S. (1991). A analysis study on research trends in clothing construction in Korea.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and Art, 14, pp. 103-114. 

  4. Kim, J. S. (1963). The universal costum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 pp. 638-645. 

  5. Kim, S. Y., & Nam, Y. J.(2016). Establishing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mobility test of slack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1), pp. 80-90. doi:10.5805/SFTI.2016.18.1.80 

  6. Kim, Y. S. (2014). A comparison of fit and appearances between real torso length sloper with 3D virtual torso length slope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2(6), pp. 911-929. doi: 10.7741/rjcc.2014.22.6.911 

  7. Lee, J. R.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 jacket with embedded wearable de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3), pp. 395-407. 

  8. Lee, J. S., Rha, S. I., & Bae, J. H. (2001). Study theme and tendency analysis of clothing construc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2), pp. 175-187. 

  9. Lim, J. Y. (2010). A development of the bodice pattern for male sports athletes using by 3D virtual twin & virtual garment simul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3), pp. 347-353. 

  10. Nam, Y. J. (2006). Present and Prospect of Clothing Construction Research. 2006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pp. 107-120. 

  11. Nam, Y. J., Park, S. M., Seo, S. W., Lee, Y., Lee, J. I., Choi, K. M....Kim, D. Y. (2013). IT Fashion.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Kyomunsa. 

  12.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orea Citation Index online. retrieved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main.kci 

  13. Rigby, D. (2011). The future of shopping. Harvard Business Review online. retrieved from https://hbr.org/2011/12/the-future-ofshopping 

  1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Size Korea online. retrieved from http://sizekorea.kats.go.kr/03_report/6th.a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