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통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atistical Analysis of Chemical Substance Transporting Accident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6, 2016년, pp.23 - 30  

이태형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 ,  이상재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 ,  신창현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를 대상으로 각 연도별 사고현황, 사고유형, 사고원인 등의 화학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77건의 운송 화학사고 중 74건이 유 누출 유형에 의한 사고였으며, 사고 원인으로는 41건이 교통사고에 의한 화학사고였다. 또한, 사고다발 화학물질 조사에서는 46건의 사고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사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유 누출과 화학물질의 운송 교통사고에 의한 화학사고에 대한 예방책의 보완이 필요하며, 운송 화학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방재가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국가적이고 체계적인 화학물질 운송안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화학물질 운송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accidents, including the accidents occurring each year according to status, type of accident, accident cause for chemical substance transporting accidents. The major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emical accidents that occur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6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운송사고에 의한 화학사고를 대상으로 사고의 현황, 유형, 원인, 물질 등을 분석하고 사고특성을 고찰하여 향후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사고에대한 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송 화학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필요한 것은? 또한, 사고다발 화학물질 조사에서는 46건의 사고가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사고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학물질 운송 화학사고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해서는 화학물질 유 누출과 화학물질의 운송 교통사고에 의한 화학사고에 대한 예방책의 보완이 필요하며, 운송 화학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방재가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범국가적이고 체계적인 화학물질 운송안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화학물질 운송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험물제조소 설치허가증이 운행허가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게 된 이유는? 위험물 운송에 국한해서는 법이나제도가 따로 없이 자동차운수사업법, 도로교통법, 교통안전법 등에서 관리가 되고 있다. 다만, 위험물의 공로운송에 대해서는 소방기본법에 의해 위험물운송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과거의 1995년 12월 소방법 시행규칙에서 명시한 운반경로 등에 관한 사항이 규제완화차원에서 전면 삭제되었다. 이로 인해 위험물제조소 설치허가증이 운행허가증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esearch of amount of Chemical Materials", Korea (2010). 

  2.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Global Chemicals Outlook, "Towards Sound Management of Chemicals" (2012). 

  3. Deputy director general of safety environment in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ccidents of Harmful Substance's Crisis Management and Direction of Policy" (2013). 

  4. S. B. Chung, Y. W. Kim and M. K. Park, "Development of HAZ-RAM for Reducing HAZMAT Transportation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4, pp. 87-94 (2011). 

  5.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csc.me.go.kr). 

  6.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angerous Goods Statistics Data" (2015). 

  7. B. W. Lee, S. B. Chung, S. Y. Kim and D. H. Choi, "A Study for Safety Management on Road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oo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7, No. 6, pp. 73-82 (2013). 

  8. Y. W. Kim and S. G. Kim, "Development of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cident Prevention by Hazard Material Transport",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7, No. 3, pp. 105-113 (2015). 

  9. J. S. Park, S. B. Chung, C. K. Ahn and Y. W. Kim, "A Development of Convevance Incident Response Manual by Standardizing Hazardous Materials", Conference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2012 Apr. 21, pp. 447-460 (2012). 

  10. S. G. Kim, S. B. Chung, K. K. Lim and M. J. Park, "Developing Incident Response Manuals Standardized for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1, pp. 235-241 (2013). 

  11. T. H. Lee, J. D. Park, S. J. Lee, B. S. Bang, K. P. Kim, M. S. Kim and J. S. Park, "Characteristics of Chemical Substance Accident in Korea", Korea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Vol. 3, No. 1, pp. 35-39 (2015). 

  12. T. H. Lee, D. J. Lee, J. D. Park and C. H. Shin, "Study fo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Laboratory Chemical Accidents",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3, pp. 110-116 (2016). 

  13. Chemicals Control Act,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