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과류의 인지도와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a Method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7 = no.82, 2016년, pp.58 - 71  

김선경 (서라벌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장순옥 (포항대학교 외식호텔조리산업과)

초록

본 연구는 한과류의 문화적인 가치와 우수성을 제대로 인식시킴과 동시에 현대사회에서의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중화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한과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과류에 대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한과는 남녀 모두에서 약과였으며, 인지도가 가장 낮은 한과류는 차수과가 가장 낮았다.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여자가 남자보다 오색다식, 흑임자다식, 도라지정과, 인삼정과 등에 높은 인지도를 나타내었다(p<0.05~p<0.001). 주로 성장한 지역에 따른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매작과, 오색다식, 쌀다식, 흑임자다식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호두강정은 농어촌지역이 다른 지역(대도시, 중소도시)보다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p<0.001). 한과류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남 여 모두 보편화가 되지 않았으며, 판매가격이 비싼 것이 문제점이었다. 한과류의 이용횟수가 줄어드는 이유로는 남 여 모두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고, 맛이 덜하다, 가격이 비싸서 이용횟수가 줄어든다고 하였다.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로는 남 여 모두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야 하며, 여러 가지 맛을 개발하여 가격을 싸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과류의 산업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에서는 남, 여 모두 제품의 다양화와 마케팅 강화가 시급한 과제라고 높게 응답하였다. 따라서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다고 하였으며,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을 새롭게 개발하여 저렴한 가격과 함께 포장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gaug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cultural value and superiority of Korean traditional sweets. Furthermore, it evaluated the obstacle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sweet industry faces in the modern society, and a method to popularize it. It also analyzed the awareness of Korea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과류의 문화적 가치와 우수성을 인식시킴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음식으로써 성장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한과류의 인지도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전통 한과류가 직면한 문제점과 대중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전통 한과류의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과류의 문화적인 가치와 우수성을 제대로 인식시킴과 동시에 현대사회에서의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중화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한과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 울산, 영남권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과류가 기능적, 영양적 요소가 함께 어우러진 훌륭한 음식이라고 인지될 수 있도록 계속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한과류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함과 동시에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식생활문화와 기호에 맞추어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관심으로부터 점차 멀어져가고 있는 한과류의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지도를 파악하여 한과류가 직면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상품화를 위한 방안과 우리의 전통식품인 한과류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과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과정류를 외래의 양과자와 구분하여 한과류라고 정의하며, 우수한 전통음식 문화의 정신을 바탕으로 전통미, 고유색 및 맛을 지닌 건강식품이다. 쌀이나 밀 등의 곡물가루에 꿀, 엿, 설탕 등을 넣고 반죽하여 기름에 튀기거나, 과일, 열매, 식물의 뿌리 등을 꿀로 조리거나 버무려 굳혀서 만들 과자로서 이것은 일명 조과라고도 불린다(Jung HS 2002). 한과는 전통음식으로써 예로부터 우리 식생활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하여 왔지만,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줄어들어 명절이나 혼인 등의 경조사 때에나 구색을 맞추는 음식으로 겨우 그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는 형편이다(Choi SH・Cho YB 2008).
한국인의 의식구조는 쌀 문화로부터 이루어져 있는데 쌀은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특히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쌀농사에 주력하여 왔으며, 쌀은 우리의 식문화를 주도하여 왔다. 즉, 한국인의 의식구조는 쌀 문화로부터 이루어져 쌀은 식량으로 뿐 만 아니라, 화폐대용, 물물교환의 척도와 저축 수단으로까지 우리의 생활에 밀접하게 쓰여져 왔으며, 우리의 인체생리작용도 쌀밥의 소화흡수에 알맞게 적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손종복 1998).
한과류는 곡류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 곡류 속 탄수화물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한과류는 쌀을 비롯한 곡류식품과 채소류의 뿌리인 구근류, 과일류, 본초학의 기본인 약초류 등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한과류는 곡류를 주로 사용하는데, 곡류 속 탄수화물의 영양소는 유일하게 에너지대사에 관여하며, 뇌세포의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과는 한국 고유의 음식 문화 중 하나로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우리 식생활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하면서 우리 음식의 전통성 및 향토성을 이어주고 있다(Bok HJ・Choi SK 2008), 또한 쌀은 필수아미노산인 리신이 부족하지만, 콩이나 기타 잡곡류를 섞으면 완전식품에 가까우며, 값이 싼 에너지원의 식물성 식품재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손종복 (1998). 쌀 가공식품. 월간 국민영양 9월호 25-26. 

  2. 정길자, 박영미, 장소영, 조은희, 이종민 (2014). 한국의 전통병과. 교문사, 36-44. 

  3. 한복려, 정길자, 한복진 (2000). 쉽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4. Bok HJ, Choi SK (2008). Investigation of requirement and demand toward for functional traditional hangwa(Korean cookies) of traditio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8(5): 692-701. 

  5. Choi SH (2005). The Effects of Well-being Trend on the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cakes selecti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Youngsan University. 3-32. 

  6. Choi SH, Cho YB (2008). Effects of Hanghwa(Koren snack)'s commercializing factors on brand image, awareness and preferen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1): 123-133. 

  7. Choi SH, Lee YJ, Choi YJ (2006). A study on effects of the well-being trend on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y selec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3):32-48. 

  8. Jung HS (2002).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Duk and Hangwa - Based on the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Dept. of Culinary Ssience and Food Service management Major in Culinary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Kyung Hee University. 1-29. 

  9. Jung HS, Shin MJ (2003).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n traditional cooki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3):328-338. 

  10. Kang US, Chun JH (1998). A comparison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r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middle schiil students living urban and rural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3(2):97-105. 

  11. Kim EM, Kim HS (2001). A study on setting the shelf life of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cookies: Rice Yoogwa, Sesame Yoogwa and Yackw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229-230. 

  12. Kim HH (2002).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rovince of Korean cookiess of housewives in Daegu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4):280-288. 

  13.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1):55-69. 

  14. Lee GH, Oh MY (1995). Consciousness, knowledge and food preferences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66. 

  15. Lee JY, Kwon YS, Choe JS, Park YH, Lee HW (2013). Consumer percep toin and purchase behavior of Han-gwa(Traditional Korean confection) - Focus on housewive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Korean J Food Culture 28 (6):594-602. 

  16. Yim KY, Kim SH (1988). A study on the utilization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and the evaluation of their commercial products'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6(3):79-91. 

  17. Yoon SJ, Kim WJ (2004). A survey on the Korea traditional cookies of housewive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19(4):435-446. 

  18. Yoon SS, Loo HG (1986).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1(3):197-210. 

  19. You SY, You MN (2004). A study of consumer behavior associated with han-gwa - Consumer attitude, behavioral intention and expens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0):129-1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