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공유 주택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Composition of Shared Housing for On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Analysis of Shared Ho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5, 2016년, pp.1 - 10  

최준환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박서준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  이도훈 (건국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composition of shared housing for one-person household through an examination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o examine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planning of shared space,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hared housing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개념을 정립하고 사례를 통해 공유 공간구성 방식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공유 공간 유형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추후,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공유 주택 유형 개발에 있어서 공유 공간계획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공유 주택과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주요소인 공유 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구성 특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 공유 공간의 분류 기준을 정립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공유 공간에 대해 분석해 구성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정부나 민간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유 주택에서 공유 공간에 대한 계획은 아직까지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간 계획 및 사적, 공적 공간의 구성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해 이용자 특성에 따른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개념을 정립하고 사례를 통해 공유 공간구성 방식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공유 공간 유형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추후, 1인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공유 주택 유형 개발에 있어서 공유 공간계획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또한, 공유 공간의 분류 및 구성에 대한 기준을 세워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공유 공간 구성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 사례의 공유 공간구성을 통해 그 특성을 도출하여 정리하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1인 가구 공유 주택 개념에 따라 국내·외 1인 가구 공유 주택 중에 다 인실이 아닌 개인실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공유 공간이 존재하여 개인 공간과 구분되어 있는 사례들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개념 및 현황 분석을 통해 공유 공간에 대한 계획과 인식이 미비함을 파악하고 공유 공간에 관한 선행 연구와 1인 가구 공유 주택 현황을 통해 공유 공간의 개념과 분류 기준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유 공간의 분류 및 구성에 대한 기준을 세워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공유 공간 구성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는 거주자들이 함께 공간을 소유하는 개념의 용어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공용 공간과 공유 공간은 의미상 큰 차이 없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공유 공간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율은? 이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2010년 기준 전체 가구의 23.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2030년에는 709만 가구로 32.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2)
전통적 가족의 형태가 해체되는 이유는? 최근 우리 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및 혼인율 감소, 이혼율 증가 등으로 인해 전통적 가족의 형태가 해체되어 가족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저성장 선진 경제 구조로의 전환과 여성 참여,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화 등과 맞물려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다.1)
1인 가구를 위한 정부의 공유 공간계획에 대한 현실은? 하지만 정부나 민간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유 주택에서 공유 공간에 대한 계획은 아직까지 미흡하다고 판단되며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간 계획 및 사적, 공적 공간의 구성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해 이용자 특성에 따른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유형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공유 주택의 공유 공간 개념을 정립하고 사례를 통해 공유 공간구성 방식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다양한 공유 공간 유형에 대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tman, I. (1975).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Monterey: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2. Choi, I. J., & Kim, Y. K. (2007).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ublic spaces in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9(2), 81-89. 

  3. Dobkin, L. (1983). Shared housing for older people. Philadelphia: National Shared Housing Resource Center. 

  4. Heo, S. W., Hong, G. S., & Hong, Y. K. (2009). A study on the plan of housing complex for one person household.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9, No.1 (pp. 185-188), Seoul, Korea. 

  5. Jang, Y. S. (2012). Minimum housing standard from foreign case : HMO, SRO. Seoul: City and Poverty. 

  6. Ki, N. C. (2014). Seoul support planing for shared housing. Retrieved from http://listen.seoul.go.kr/down/60 

  7. Kim, D. Y. (2014). Spatial planning and standards in share house.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16, No.1 (pp. 156-160), Seoul, Korea. 

  8. Kim, D. Y., & Yoon, C. S. (2010). A study on basic research setting standards for shared housing for one person household.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1, No. 4 (pp. 302-307), Seoul, Korea. 

  9.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LH). (2012). Study on development of housing type with characteristics of housing demand of single-person households. Daejeon: Land & Housing Institute. 

  10.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LH). (2014). Development of LH share-type housing. Daejeon: Land & Housing Institute. 

  11. Lee, H. W., Sung, M. H., Ryu, J. W., Lee, J.B., & Lee, K. S. (2014). Architectur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share house for single-househol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3), 1-8. 

  12. Lee, J. H., Ministry of Land, &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08). Research on future hous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change of housing environments in future. Gwacheon: Ministry of Land. 

  13. Ministry of Land (2011). 2010 Housing survey report. Anya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4. Oak House (2016). Retrieved form http://www.oakhouse.jp 

  15. Oh, C. O. (2008). A study for developing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elderly focused on group home and shared housing for aging in plac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3), 59-70. 

  16. Park, J. E., & Lee, H. W. (2006). A study of common spa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and the specific use in the multiple dwelling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10), 157-165. 

  17. Sakura House (2016). Retrieved form http://www.sakura-house. com 

  18. Share Place (2016). Retrieved form http://www.share-place. com 

  19. Son, J. H., & Lee, J. K. (2013).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features of Japanese share hou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9(1), 213-222. 

  20. Statistics Korea. (2014). A household projections. Retrieved from http://kosis.kr 

  21. Woo, S. Y., & Nam, K. S.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public space of the urban-life-housing by japanese share housing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2(2), 307-321. 

  22. Yoon, J. H. (2001). Comparative analysis on case study of the world collective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