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Factors Affecting Shared Hous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3, 2014년, pp.63 - 72  

오정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최정민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주거환경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al features and domestic status of the shared-house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also studied demand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house targeti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Moreover, it found affecting factors of residential inclin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인가구 증가와 맞물려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국내 쉐어하우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잠재수요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20~30대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요인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수요에 부응하는 쉐어하우스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자료 제공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흐름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세부 조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본 절에서는 이항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쉐어하우스 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모형의 설명 변수로는 설문조사 항목 중에서 쉐어하우스 거주의향과 관련이 클 것으로 생각되는 변수를 선정, 동시 투입하고, 최대우도법으로 모형을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쉐어하우스의 시설계획적인 측면에서 여성 거주자를 중심으로 하는 시설에서는 안전, 보안시설이 중요하며, 남성을 주로 하는 시설에서는 거실을 중심으로 한 만남의 공유공간이 중요하다. 둘째, 아직 쉐어하우스에 대한 국내 인식은 그다지 높지 않다. 그러나 필요성에 대한 잠재수요자의 사회적 공감대와 실제 거주 참여의향이 높은 만큼 적극적인 홍보와 더불어 거주자의 다양한 필요를 반영한 특색있는 쉐어하우스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정의한 쉐어하우스란? Kobayashi(小林, 2007)는 “가족이 아닌 복수의 거주자가 부엌 등을 함께 사용하면서 하나의 집에 사는 형태”로 정의하였으며, Niwa(丹羽 외, 2005)는 쉐어거주라는 용어 대신 ‘공주주거(共住住居)’를 사용하여 “혈연 또는 혼인관계를 갖지 않는 사람들의 동거가 행해지는 주거”로 정의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쉐어하우스를, “특별한 인연이 없는 다수의 입주자가 한 집에 살면서 거실, 주방,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이나 설비를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써 주거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거유형으로, 주거의 형태보다는 거주의 방식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2012년 기준 1인가구의 비중은 어떻게 되나요? 최근 우리나라의 가구 유형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1인가구의 급증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2년 기준 국내 전체 가구의 25.4%가 1인가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목할 것은 청년 1인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진다는 점인데, 이 같은 변화는 단순히 인구사회학적 현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주택시장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연구와 관련한 선행연구에는 무엇이 있나요?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쉐어하우스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연구로는 쉐어하우스와 거주 형태가 비슷한 코하우징(Cohousing)에 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코하우징은 19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연구(Kwak, Choi & Kwak, 2005; Han & Lee, 2007; Cho, 2011)되어 왔다. 쉐어하우스를 직접적 대상으로 다룬 것으로는 일본의 쉐어하우스를 소개한 문헌(김진모, 2010), 1인가구의 주거문제 대안으로 공용공간의 제안에 의한 쉐어하우스 연구(Woo & Nam, 2012; Im, 2013) 등이 눈에 띈다. 쉐어하우스의 급증에 비해 여전히 학술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특히 본 연구와 같이 쉐어하우스 잠재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쉐어하우스 모형 개발과 연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도된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진모 (2010). '현대'에 대처하는 일본의 주거, 쉐어하우스. 주거, 10, 14-19. 

  2. 홍세희 (2005).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3. Cho, J. (2011). A Study on Workshop Proces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of the Cohousing Pla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7), 81-95. 

  4. Cho, Y., & Choi, J. (2013). Constructing a database of Japanese Share-House and Extracting Interesting Information of Attribute and Spatial Pattern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5(2), 343-348. 

  5. Han, M., & Lee, S. (2007). Preference of Suburban Residents on the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pplied the Concept of Co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6), 69-81. 

  6. Im, Y. (2013). Study to enable the planning of community space in the urban share house: based on the concept of time sha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7. Jeong, D., & Mo, J. (2013). A Study on preference and space planning of share house.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5(2), 337-342. 

  8. Kwak, Y., Choi, J., & Kwak, I. (2007). Preference of Cohousing according to Sense of Community in Housing Life.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4), 37-48. 

  9. Seo, J., Park, K., Lee, Y., & Jo, D. (2013). Single Undergraduate Students Needs For Remodeling Detached Houses to Shared Houses.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5(2), 183-188. 

  10. Shin, Y. (2001). A Study on the Harmony of Privacy and Community in Co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2(1), 45-46. 

  11. Woo, S., & Nam, K.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Urban-life-housing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Focused on the Share Hous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Association. 14(3), 65-68. 

  12. 丹羽哲也 (2005). 共住住居(シェアハウス)の設計手法に關する硏究, 住宅總合硏究財?硏究論文集, 32, 189-200. 

  13. 小林英樹 (2007). 今, なぜ, シェア居住か, すまいろん, 住宅總合硏究財?.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