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NF 하지 패턴이 반대측 중둔근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Leg Patterns on Activity of Gluteus Medius at Opposite Side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4 no.3, 2016년, pp.195 - 202  

박인석 (워크재활의학병원) ,  이상열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pply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leg patterns on the activation of three types of mesogluteal fibers at the opposite side. Methods: The targe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healthy men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부분이 직접적으로 중둔근을 수축시키기 위한 운동 방법들이며 PNF 운동패턴의 변화 즉 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선택적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PNF 운동 방향의 변화가 반대측 중둔근의 세 가지 섬유의 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기능적인 활동을 위한 치료에 더욱 발전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NF 패턴 운동 시 저항을 주는 운동측의 패턴변화가 반대측 중둔근의 전부, 중부, 후부섬유의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패턴변화에 따른 근섬유들의 근활성도 변화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PNF의 4가지 하지 패턴의 적용이 반대측 중둔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임상에서 기능적인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PNF 패턴의 적용시 반대측 영향을 이용한 치료에 발전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PNF 운동 방향의 변화가 반대측 중둔근의 세 가지 섬유의 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실시하였다. 편측에 PNF 하지 신전-외전-내회전 패턴 적용 시 반대측 중둔근의 전부 섬유의 근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굴곡-외전-내회전 패턴 적용 시 후부 섬유의 근 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란 무엇인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은 대각선과 운동 방향의 변화에 따른 운동패턴을 사용하여 선택적인 근육들의 협응력과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Adler et al., 2008).
중둔근을 기능 적으로 구분하여 각 섬유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 이러한 이유로 보행 및 일상생활에서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해 임상에서는 손상의 예방, 재활을 위해 중둔근의 활성화에 중점을 둔 많은 치료적 운동들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 중둔근을 기능 적으로 구분하여 각 섬유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고관절 들기(hip clams), 옆으로 두발 뛰기 운동(sideways hop exercise), 벽 누르기 운동(wall press exercise), 골반 떨어뜨리기 운동(pelvic drop exercise) 등 여러 운동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Bolgla & Uhl, 2005; Distefano et al., 2009).
중둔근의 기능은 무엇인가? 중둔근은 신체에서 섬유별 기능의 차이가 있는 대표적인 근육이다. 또한선 자세의 자세유지와 보행에서 전방으로 다리 뻗기, 보폭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Krebs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Philadelphia. Springer. 2008. 

  2. Al-Hayani A. The functional anatomy of hip abductors. Folia Morphologica. 2009; 68(2):98-103. 

  3. Bolgla LA, Uhl TA.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hip rehabilitation exercises in a group of healthy subject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5;35(8):487-494. 

  4. Carroll TJ, Herbert RD, Munn J, et al.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strength training: evidence and possible mechanism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6;101(5):1514-1522. 

  5. Distefano LJ, Blackburn JT, Marshall SW.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9;39(7):532-540. 

  6. Earl JE. Gluteus medius activity during three variations of isometric single-leg stance.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2005;14(1):1-11. 

  7. Enoka RM. Muscle strength and its development. New perspectives. Sports Medicine. 1988;6(3):146-168. 

  8. Gottschalk F, Kourosh S, Leveau B. The functional anatomy of tensor fasciae latae and gluteus medius and minimus. Journal of Anatomy. 1989;166:179-189. 

  9. Hellebrandt FA. Cross-education;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effects of unimanual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51;4(2):136-144. 

  10. Hermens H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et al.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00;10(5):361-374. 

  11. Hoffman J, Ratamess N, Klatt M. Do bilateral power deficits influence direction-specific movement patterns? Research in Sports Medicine. 2007;15(2):125-132. 

  12. Hortobagyi T, Taylor JL, Petersen NT, et al. Changes in segmental and motor cortical output with contralateral muscle contractions and altered sensory inputs in humans. Journal of Neurophysiology. 2003;90:2451-2459. 

  13. Kannus P, Alosa D, Cook L, et al. Effect of one-legged exercise on the strength, power and endurance of the contralateral leg.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using isometric and concentric isokinetic train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92;64(2):117-126. 

  14. Keiner M, Sander A, Wirth K. et al. Long-term strength training effects on change-of-direction sprint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2014;28(1):223-231. 

  15.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16. Kofotolis ND, Kellis E. Cross-training effects of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programme on knee musculature. Physical Therapy in Sport. 2007;8(3):109-116. 

  17. Krebs DE, Robbins CE, Lavine L, et al. Hip biomechanics during gait.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1998;28(1):51-59. 

  18. Kristeva R, Cheyne D, Deecke L. Neuromagnetic fields accompanying unilateral and bilateral voluntary movements: topography and analysis of cortical sources.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1991;81(4):284-298. 

  19. Lagerquist O, Zehr EP, Docherty D. Increased spinal reflex excitability is not associated with neural plasticity underlying the cross-education effect.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6;100(1):83-90. 

  20. Lee M, Caroll TJ. Cross education: Possible mechanisms for the contra 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Sports Medicine. 2007;37(1):1-14. 

  21. Mascal CL, Landel R, Powers C. Management of patellofemoral pain targeting hip, pelvis, and trunk muscle function: 2 case reports. Journal of Orthopaedic & Sports Physical Therapy. 2003;3(11):647-660. 

  22. Munn J, Herbert RD, Gandevia SC.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4;96(5):1861-1866. 

  23. Myers T. Anatomy trains, 3rd ed.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14. 

  24.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Saint Louis. Mosby Inc. 2002. 

  25. Nadler SF, Malanga GA, Bartoli LA, et al. Hip muscle imbalance and low back pain in athletes: Influence of core strengthe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2;34(1):9-16. 

  26. Page P, Frank CC, Lardner R. Assessment and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human Kinetics: The Janda approach. Champaign. Human Kinetics. 2010. 

  27. Park IS, Han DW. The effects of self-induced and therapist-assisted lower-limb PNF pattern training on the activation of contralateral muscle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2;24(11):1123-1126. 

  28. Sheppard JM, Young WB. Agility literature review: classifications, training and testing. Journal of Sports Science. 2006;24(9):919-932. 

  29. Shima N, Ishida K, Katayama K, et al. Cross education of muscular strength during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2;86(4):287-294. 

  30. Sorderberg GL, Dostal WF.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ree parts of the gluteus medius muscle during functional activities. Physical Therapy Journals. 1978;58(6):691-696. 

  31. Wannier T, Bastiaanse C, Colombo G, et al. Arm to leg coordination in humans during walking, creeping and swimming activitie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01;141(3):375-379. 

  32. Yoo B, Park H, Heo K, et al. The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in lower-limb PNF pattern training on the activation of contralateral muscle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3;25(10):1335-1338. 

  33. Zhou S. Chronic neural adaptations to unilateral exercise: mechanisms of cross educa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2000;28(4):177-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