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공원 조성에 의한 주변 주거지의 변화 분석 - 서울시 재생 가로공원과 복원하천 수변공원 사례 연구 -
The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ea Changes by the Provision of Urban Linear Parks - Case Studies of the Regenerated Street Parks and the Uncovered Stream Parks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6, 2016년, pp.45 - 55  

이주은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  양우현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of residential area around the linear par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lue of linear park at the view of residents and disco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inear park and the residential area around it. To investigate this goal, the researcher 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형공원 조성 이후 주변 주거지의 특성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선형공원과 주변 주거지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선형공원의 가치와 주거지와 연계되는 주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선형공원 활용과 주변 주거지의 개발과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자원 절약성(resource Saving)은 지구환경과 지속가능한 도시의 구현을 위한 요소로 에너지, 온도, 환경부하 등의 지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공원의 조성이 주변 주거지에 가져온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언급한 네 가지 요소들을 기준으로 주변 주거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조성 이후 주거환경에서의 성과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형공원이 주변 주거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공원의 조성 전· 후를 비교하여 주변 주거지 변화를 도시조직, 건축물, 지가, 이용자 행태의 관점에서 조사·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도시 공간에서 선형공원의 가치를 이해하고 주변 주거지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선형공원의 조성 이후 주변 주거지의 정량적·정성적 변화를 도시 조직, 건축물, 지가, 이용자 행태라는 4가지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 그 동안의 선형공원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선형공원 자체의 특징에 국한한 것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선형공원과 주변 지역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도시 내에 새롭게 조성된 선형공원이 주변 주거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즉, 도시의 선형공원 조성 효과를 도시 공간으로서의 가치와 주변 주거지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파악해보고자 한다.
  • 또한, 선형공원의 가치와 도시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거지와 선형공원의 영향관계를 정량적·정성적 요인에 의하여 분석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형공원 조성 이후 주변 주거지의 특성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선형공원과 주변 주거지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선형공원의 가치와 주거지와 연계되는 주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앞으로의 선형공원 활용과 주변 주거지의 개발과 관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이에 도시 내에 새롭게 조성된 선형공원이 주변 주거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즉, 도시의 선형공원 조성 효과를 도시 공간으로서의 가치와 주변 주거지의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관점에서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도시 자원으로서 선형공원 활용 방안과 주변 주거지의 개발과 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형공원이란? 선형공원은 시민들의 일상공간이자 도시와 유기적 관계를 가진 도시공원으로서 형태적으로 이용자 시각에서 선형으로 인식되는 규모를 가진 공원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선형공원은 폭과 길이의 비가 1:10 이상이며 형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공간체험의 연속성과 도시와의 근접성이라는 핵심 특성을 갖는다(Kim & Park, 2013).
선형공원의 유형은? 선형공원은 일반적인 면적공원에 비해 다양한 행태들이 이뤄지며 Karl(2011)은 선형 공원에서 일어나는 행태에 따라 선형공원의 유형을 여과(fiter), 빠른 전달(conduit), 프로그램 잠식(program fiter), 경로(channel), 무대(stage), 받침대(pedestal), 덤블(thicket)로 7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선형 공원의 유형은 활용 자원에 따라 수변 공간 활용형과 폐선부지 등의 교통기반시설 활용형, 그 외 기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선형공원을 미래 도시의 경쟁력으로 볼 수 있는 선형공원의 역할은? 선형공원은 미래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을 확보해 줄수 있는 대안이다. 선형공원은 도시 내 시설, 다양한 녹지 공간, 상점, 주거지 등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분산되어 있던 공간들을 연결한다. 또한 보행자 중심의 거리로서 도시 생활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만들며 도시의 그린웨이로서 도시민들에게 공원을 효과적으로 서비스하고 건강 증진, 사회적 교류의 장소, 생태환경의 향상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sociation of New Urban Housing Technology (2006). A promenade of the city. Tokyo: Kajima Institute Publishing Co. 

  2. Current affairs dictionary (2016). Gentrification. Retrieved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6481&cid43667&categoryId43667 

  3. Daum potal (2016). The road view services. Retrieved from http://map.daum.net/ 

  4. Kang, C. D., & Cervero, R. (2009). From elevated freeway to linear park: land price impacts of Seoul, Korea's CGC Project. Urban Studies, 46(13), 2771-2794. 

  5. Karl, K. (2012). Thin parks/thick edges: Towards a linear park typology for (post) infrastructural sites.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6(2), 70-81. 

  6. Kevin, L. (1981). A theory of good city from. Massachusetts: The M.I.T Press. 

  7. Kim, J. C., & Park, K. H. (2013). Functionality and accessibility of urban linear parks-comparative case study with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89-106. 

  8. Kim, J. H. (2009). Linear park design for Keongchun scrapped railw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J. K. (2004). Architecture with natural environment. Seoul: Spacetime 

  10. Kim, J. Y. (2015).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6), 133-146. 

  11. Kim, K. H., & Moon, G. H. (2006). Greenway. Seoul: Random House. 

  12. Oh, S. H., & Jin, H. Y. (2012). Urban design for vibrant commercial streets: Value of spatial linkage between building and street. Seoul: Auri. 

  13. Pae, J. H. (2007). Potentials of unused railroad sites. SPACE, 478, 74-77. 

  14. Park, H. K. (2011). Study on the us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in Gwangju greenway par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5. Park, K. H & Kim, J. C., & Lee, T. E(2014). Peoplecentered City implementation by making liner park.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olicy Brief. 448, 1-8. 

  16. Onnara real esrate information portal (2015).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Retrieved from http://www.onnara.go.kr/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Aerial photo services. http://aerogis.seoul.go.kr/app/mainfrm/agis.do 

  18. Shin, S. Y. (2008). Indicators and evaluations of the quality of resicential environments in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9. Timothy, B. (2000). Green urbanism. Washington, D. C: Island Press. 

  20. Yang, S. Y., & Yoo, S. Y. (2016). Behavior patterns in an urban linear park, reusing the abandoned railroadfocused on Gyeongui-line forest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7(1), 10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