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의 인지·신체기능, 문제행동 및 이용중단 이유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Problematic Behaviors of Elders using Dementia Daycare Service and Reasons for Stopping Daycar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1, 2016년, pp.61 - 72  

김화순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elders who attended dementia daycare centers, and to identify reasons why they stopped using the center. Methods: Participants were 176 elders, 60 years or over, att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결과와 치매가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도구적)일상생활활동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하여 치매노인들의 인지기능저하와 신체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지표인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g [MMSE-DS]), 일상생활활동(Activity of Daily Living [ADL])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및 치매 문제행동 등에 초점을 맞추어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치매노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매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한 치매노인들의 특성, 치매주간보호서비스 종료사유 및 이용 기간과 관련 있는 특성들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기록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치매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한 치매노인의 특성, 문제행동 변화, 치매주간보호서비스 이용 기간과 관련이 있는 특성 및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을 종료하게 된 이유 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인천시 소재 4개 치매주간보호서비스 센터의 3∼5년 동안의 기록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치매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한 치매 노인의 특성, 문제 행동 변화 및 이용을 중단한 사유 및 이용 기간과 관련이 있는 특성들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치매는 완치가 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 진행속도를 늦추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주간보호서비스의 이용은 초기 치매노인의 증상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결론적으로, 많은 치매노인들이 인지기능 저하가 상당히 진행되고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에 독립성이 거의 없어지는 시점에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주간보호서비스의 핵심 기능이 경증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각종 인지재활프로그램과 신체기능 향상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인지 기능 저하와 신체기능 저하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치매 주간보호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치매 초기에 인지기능 저하가 크지 않은 시점에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권장할 필요가 있다.
  • 이러한 결과는 치매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등록을 한 시점에 치매 노인들의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은 매우 의존적이어서 독립적인 사회활동이 대체로 어려웠음을 의미하는데 반해,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하기와 같이 기초적인 일상생활활동 능력은 대부분 가능한 상태에서 치매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하였음을 나타낸다. 치매주간보호센터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치매노인의 인지지능 뿐만 아니라 신체기능 저하를 지연시키고, 최대한 오랜 기간 동안 가족들과 함께 가정에서 지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달성과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신체기능 저하가 크지 않은 초기에 이용을 적극 권장하여 각종 재활프로그램을 제공받을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간보호서비스는 치매노인의 건강에 어떤 효과주는가? 주간보호서비스는 치매노인에게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과 작업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재활 프로그램들은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을 유지하고 인지기능과 신체기능 저하의 진행 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7]. 더불어 가족들의 부양 부담을 덜어 주며[4,8-12] 가족들의 수발 비용측면에서도 요양원 이용 등과 비교할 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14].
한국의 치매 노인 숫자 전망은 어떻게 되는가?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와 함께 한국의 치매 노인 숫자는 201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8.8%에서 2020년에는 9.7%까지 증가할 전망이다[1,2]. 치매 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저하로 최근에 발생한 일에 대한 단기 기억이 어렵고, 주변 환경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늘 해 오던 일상생활 패턴이 바뀌거나 환경이 바뀌면 이상행동이나 다양한 심리증상을 보일 수 있다[3].
치매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한 치매 노인의 특성, 문제 행동 변화 및 이용을 중단한 사유 및 이용 기간과 관련이 있는 특성들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에서 ADL의 점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ADL은 옷 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이동하기, 화장실 사용하기, 대소변 조절의 7항목의 3점 척도로 점수의 범위는 7∼21점이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활동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Won 등[20]의 한국형 개발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alpha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rend in population and aging index by age hierarchy [Internet]. Seoul: Korean Statistics; 2012 [cited 2015 November 17]. Available from: http://kosis.kr/customStatis/customStatis_01List.jsp. 

  2.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s [Internet].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Cited 2015 November 17].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List.jsp?menuId41&topSelectB00003&pmenuId3&pmenuId15. 

  3. The Korean Geriatric Society. Textbook of geriatric medicine. Seoul: Panmuneducation; 2015. p. 579-587. 

  4. Kim SY. Suggestions of political alternatives: Factors affecting on the QOL of the demented elderly caregivers. Social Welfare Policy. 2003;17:77-105. 

  5. Sim HM, Chung SH.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behavior and emotion of dementia elderl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1;13(4):591-600. 

  6. Oh BH, Kim YK, Shin YS, Kim JH.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3;42(4):514-519. 

  7. Ji HR, Choi SH, Cho MS. The effects of a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social behavior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3;5(2):205-217. 

  8. Song MY, Choe GG. Buffering effects community-based service on primary care-giver's burden for senile dementia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 27(4):987-1014. 

  9. Lee SJ, Park HR, Kim NC. Life satisfaction and burden for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day care centers and in their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5;7(1):37-46. 

  10. Lee HJ. The effect of caregiver's burden for the dementia elderly by the use of daycar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6;26(2):329-346. 

  11. Gaugler JE, Kane RL, Kane RA, Clay T, Newcomer R. Caregiv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gnitively impaired older people: Utilizing dynamic predictors of change. Gerontologist. 2003;43(2):221-229. http://dx.doi.org/10.1093/geront/43.2.219 

  12. Kosloski K, Montgomery RJ. The impact of respite use on nursing home placement. Gerontologist. 1995;35(1):67-74. http://dx.doi.org/10.1093/geront/35.1.67 

  13. Park C. Analysing the costs by types of family caregiving for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4;24(4):1-17. 

  14. Park CJ. The cost-effectiveness of day care services for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2005;28:317-340. 

  15. Jang JS, Lee JS, Kim SK, Jeon BJ. The change in spaced retrieval training (SRT) combined with errorless lear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dementia suffer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12;20(4):43-55. 

  16. McCann JJ, Hebert LE, Li Y, Wolinsky FD, Gilley DW, Aggarwal NT, et al. The effect of adult day care services on time to nursing home placement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Gerontologist. 2005;45(6):754-763. http://dx.doi.org/10.1093/geront/45.6.754 

  17. Wattmo C, Wallin AK, Londos E, Minthon L. Risk factors for nursing home placement in Alzheimer's disease: A longitudinal study of cognition, ADL, service utilization, and cholinesterase inhibitor treatment. Gerontologist. 2011;51(1): 17-27. http://dx.doi.org/10.1093/geront/gnq050 

  18. Lee HH.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ed seniles in day care center and demented senile-impatients in nursing facility by analysing several indexes such as the performance status of daily activitie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2008. 

  19.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tandardization of dementia diagnosis scale.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December. Report No.: 11-1351000-000589-01. 

  20. Won CW, Rho YG, Sunwoo D, Lee Y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2;6(4):273-280. 

  21. Ga H, Won CW. Medical guideline for Geriatric hospitals. Seoul: Koonja; 2013. p. 215-216. 

  22. Jin JY, Kang JS. A comparative study of cognitive funct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for the demented elderly in health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 21(3):339-348. 

  23. Wilson RS, MaCann JJ, Li Y, Aggarwal NT, Gilley DW, Evans DA. Nursing home placement, day care use, and cognitive decline in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7;164(6):910-915. http://dx.doi.org/10.1176/ajp.2007.164.6.910 

  24. Cohen-Mansfield J, Creedon MA, Malone T, Parpura-Gill A, Dakheel-Ali M, Heasly C. Dressing of cognitively impaired nursing home residents: Descriptive and analysis. Gerontologist. 2006;46(1):89-96. http://dx.doi.org/10.1093/geront/46.1.89 

  25. Gaugler JE, Yu F, Krichbaum K, Wyman JF. Predictors of nursing home admission for persons with dementia. Medical Care. 2009;47(2):191-198. http://dx.doi.org/10.1097/MLR.0b013e31818457ce 

  26. Ahn SY. Care for dementia person. Seoul: Pacific Books; 2011. 

  27. Lovheim H, Sandman PO, Karlsson S, Gustafson Y.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relation to level of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08;20(4):777-789. http://dx.doi.org/10.1017/S1041610208006777 

  28. Devanand DP, Jacobs DM, Tang MX, Del Castillo-Castaneda C, Sano M, Marder K, et al. The course of psychopathologic features in mild to moderate Alzheimer diseas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7;54(3):257-263. http://dx.doi.org/10.1001/archpsyc.1997.01830150083012 

  29. Ono T, Tamai A, Takeuchi D, Tamai Y, Hasegawa Y. Longitudinal study of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physical status of day care service users with dementia: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day care use.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4;14(1):138-145. http://dx.doi.org/10.1111/ggi.120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