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ing Evaluation Factors for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1 = no.114, 2016년, pp.201 - 212  

박미영 (부천대 실내건축디자인과) ,  소준영 (부천대 실내건축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literature study aimed to derive the evaluation factors for the survey of housing satisfaction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To attain the objectiv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housing satisfaction for normal people and thos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추후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조사 시의 평가 요소와 세부 항목 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조사, 검증하여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한 중요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는 후속 연구의 선행연구로, 신체장애인의 주거 공간 계획 시의 참고자료와 국내 장애인주택 정책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신체장애인의 주거복지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와 같은 신체장애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기준과 그 근거를 통해 일반 주거만족도와 차별화되는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요소를 도출하여 주거만족도 조사와 이를 검증하는 후속연구를 위한 1차적인 문헌중심의 연구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요소’를 도출하는 연구이므로, 장애인 편의시설의 객관적인 평가 지표를 개발, 이를 점수화하여 건축물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설치 지침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이하 BF인증제도)에서의 평가 기준을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 상위기준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평가 요소에 대한 연구로,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조사를 위한 평가 요소 및 세부 항목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주거만족도와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모두 본질적으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고,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기본 전제를 통해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조사를 위한 평가요소 및 세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거만족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 중, 주로 물리적 배경으로서의 주택의 성격에 분석의 초점을 두는 맥락적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진 선행연구에서 연구들을 기준으로 주거만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에 따라 주택 외부에서의 요소와 구성적 접근 방법인 소득, 직업, 학력, 주택소유형태 등의 거주자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교육요소, 주변 상가 및 입지 등과 관련된 근린주구 요인, 임대료, 투자가치 등의 경제적 요인 등은 본 연구의 일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상위·하위요소 및 세부항목 등에서 제외하였다.
  • 앞서 에서와 같이 신체장애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의 하위 요소는 국내·외 법규 및 제도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항목들과, 국내 선행연구에서의 개조 요구도 및 개조 항목 등을 비교, 분석하여 도출하고자 한다.
  • 앞서 일반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선행연구에서의 상위요소는 주택 내·외부를 포함하는 물리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등으로 본 항에서는 이에 대한 하위요소와 세부 항목 등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분류된 영향 요인들을 종합하여 보면 크게 주택 내․외부를 포괄하는 물리적 요인과 사회·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 같이 이를 일반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의 상위요소로 분류하고자 한다.
  • 이에, 일반 주거만족도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의 경우 하위분류와 그에 따른 세부 항목을 최종 주거만족도 평가요소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이란 무엇인가? 장애인은 1999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제 2조에서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하며,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신체적 장애는 크게 외부장애와 내부 장애로 나뉘는데, 외부장애는 외부 신체기관의 장애를 뜻하는 것으로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 청각, 언어장애 등으로 분류되며, 내부장애는 신장장애, 심장장애로 분류된다.
지체장애는 어떠한 증상을 보이는가? 이 중 지체장애는 소아마비, 척수손상, 사지절단, 관절염, 신경근 골격계 등의 손상으로 인한 하지나 상지 혹은 상하지, 편마비 등의 증상을 보인다. 뇌병변장애는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로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해 생기는 장애로 대부분 반신에 마비가 오는 반신불수(편마비)가 오며, 사지마비나 하지마비가 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2009년도 장애인 주거 실태 조사 결과, 장애인 가구의 주거 상태는 어떠한 것으로 조사되었는가?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47.4%로 가장 높았고, 아파트(37.3%), 연립주택(8.8%), 다세대 주택(3.9%) 순 이었으며, 일반가구(56.4%)에 비해 자가 비율(59.5%)이 높으나, 주거비 부담이 큰 월세 비중(19.2%)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주거면적의 경우, 일반가구(69.3m2)보다 작은 67.5m2이며, 무주택기간이 10년 이상인 가구 비중은 일반가구(49.0%)에 비해 현저히 높은 71.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사용방수는 3.68개로 일반가구와 동일하나, 평균 주거 면적이 더 협소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설치를 희망하는 편의시설로는 손잡이, 단차제거, 미끄럼방지 바닥재, 응급비상벨 순으로 조사되었고, 지체․뇌병변 장애를 가진 신체장애인의 경우 안전손잡이를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주택 내 편의시설 개선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부담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10.6%인데 반해 부담하기 어렵다는 응답은 89.4%로 대부분 편의시설 개선비용을 부담스러워 하고 있었으며, 주택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조사의 경우 만족하지못하다고 응답한 장애인 가구는 32.3%로 일반가구 26.1%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2. 윤홍장, 지체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휠체어 사용자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한양대 석사논문, 2002 

  3.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요약 보도자료 

  4. 박옥희 저, 장애인복지론, 2001 

  5. 국토해양부 주거복지기획과 보도자료, 2010.7.21 

  6. 김은희, 서치호, 공동주택 주거만족도의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이론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2008.2 

  7. 김유일,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양대 박사논문, 1988 

  8. 신희용, 주거만족도 및 투자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004 

  9. 윤호,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 부동산정책연구 제8집 제2호, 2007 

  10. 이주택,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94 

  11. 김종신, 아파트 주택산업의 시장조사와 마케팅 시사점-(주)SK 주택과 대구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생산성 논문집 제11권 2호, 한국생산성본부, 1997 

  12. 이원준, 도시저층집합주거의주거환경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1998 

  13. 김유일, 주거만족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수도권 아파트 가구를 중심으로, 한양대 박사논문, 1988 

  14. 정성용, 주거환경개선지구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대구대 사회과학연구소, 1999 

  15. 하성규, 실버타운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Vol.25 2007 

  16. 최은실, 수요계층별특성에 맞는 원룸주택 계획 지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 및 신촌지역 원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논문, 2001 

  17. 김종호 외1,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영향요인 분석 : 청주시 공공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Vol.8 No.4, 2004.12 

  18.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대한건축학회, Vol.24 No.5, 2008 

  19. 정희교, 농촌 노인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12 

  20. 유시은, 용도지역별 도시형생활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3 

  21. 고병호, 도시형 생활주택 주거만족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운대 석사논문, 2014 

  22. 한충남,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한 주거만족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 석사논문, 2015 

  23. 김경숙, 아파트브랜드와 소비자 주거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6 

  24. 한수진,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1999 

  25. 소준영, 신체장애인의 주거환경 개조에 관한연구-인천시 주거 개조 사례 27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19 No.2, 2010.4 

  26.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시행지침, 건설교통부 제2007-001호, 2007.4.5 

  27. 보건복지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보장에 관한 법률 제1조 

  28. 안성준, 장애인 주거환경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015.2 

  29. 미국 장애인 편의시설 상세표준도, 한국맹인복지연합회, 1999.6 

  30. 이호성, 무장애 주택 설계에 관한 국내외 국가표준의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 Vol.16 No.1, 2010.2 

  31. 김규식,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우송대 석사논문, 2011 

  32. 다카하시 기헤, 일본 복지마을 실현을 위한 고령자.장애인을 위한 건축설계 매뉴얼, 도서출판 자유공간, 2004.11 

  33. 최향일, 이동성 장애인의 주택 사용실태와 개조요구, 가톨릭 석사논문, 2001 

  34. 이소영,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3 No.5, 2012 

  35. 김규식,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우송대 석사논문, 2011 

  36. 박금영 외,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지체장애인 주거개조 실태 분석,대한건축학회, Vol.27 No.1, 2007 

  37. 박주열, 중증장애인의 주거생활실태와 주거개선 욕구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 석사논문, 2006 

  38. 박인석?강인호?강부성, 주거만족도에 의한 주거환경의 개선 우선순위 분석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99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