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험과 계산을 통한 에폭시 계열 내화도료의 열분해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an Epoxy-based Intumescent Coating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31 - 36  

김양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에폭시 계열 내화 도료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중량분석수치해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에폭시 계열 내화 도료의 질량 감소 양상을 수치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계산 모델이 소개되었으며, 계산 모델은 내화 도료의 여러 열분해과정을 단순화하여 4 단계의 순차적인 열분해 형태로 만들었다. 반응 속도는 Arrhenious 형태로 모델 되었고, 열중량분석을 통해 획득된 열분해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사하기 위하여 화학 반응 매개변수들이 최적화되었다. 실험 결과 두 단계(two-step)와 세 단계(three-step)의 급격한 질량 감소가 질소와 공기 분위기에서 각각 나타났다. 또한 도료가 공기 분위기에 노출되었을 때 산소의 참여로 발생하는 복합적인 화학 반응들이 내화도료의 안정화를 도와 $200{\sim}500^{\circ}C$ 범위에서 질량 감소율을 낮추었다. 수치해석 결과는 실험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잘 일치하였으며 수치 모델에 포함되지 않은 $800^{\circ}C$ 이후를 제외하면 3% 미만의 오차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decomposition of an epoxy-based intumescent paint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numerical simulation. A mathematical and numerical model is introduced to describe mass loss profiles of the epoxy-based intumescent coating induc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옥외 방폭되는 여러 구조물 등에 많이 사용되는 에폭시 계열 내화 도료의 열분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중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질량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수치해석을 제시/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Jimenez(9) 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열중량 분석(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을 통해 에폭시계열 내화도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하여 성분 및 조성비의 정보 없이 수치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열중량분석값을 이용하여 수치 코드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코드의 예측 가능 범위를 알아보겠다.
  • 열중량분석값을 이용하여 수치 코드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코드의 예측 가능 범위를 알아보겠다. 소개되는 수치 해석 방법을 통해 화학 반응매개변수를 정확히 예측 가능하여 내화 도료의 성능을 계산 하는 수치 코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내화 도료의 열분해는 각기 다른 온도에서 발생하는 성공적인 열분해 과정들을 가정하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생성 가스를 이용하여 모델이 될 수 있다. 반응에 참여하는 화학물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초기 내화 도료를 임의의 A라 가정을 한다.
  • 내화 도료의 열분해는 각기 다른 온도에서 발생하는 성공적인 열분해 과정들을 가정하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생성 가스를 이용하여 모델이 될 수 있다. 반응에 참여하는 화학물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초기 내화 도료를 임의의 A라 가정을 한다. 열중량분석을 통해 밝혀진 총 5개의 열분해 과정 중 영향이 가장 미미한 세 번째를 제외한 4단계의 열분해(k1, k2, k3, k4)를 가정한다.
  • 반응에 참여하는 화학물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초기 내화 도료를 임의의 A라 가정을 한다. 열중량분석을 통해 밝혀진 총 5개의 열분해 과정 중 영향이 가장 미미한 세 번째를 제외한 4단계의 열분해(k1, k2, k3, k4)를 가정한다. 이 열분해들이 순차적으로 일어난 후 남은 잔존물을 E라고 하면 내화도료의 열분해 과정을 Figure 2와 같이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에서 사용된 셀윈-윌리암스사에서 상용화 시킨 에폭시 계열의 내화 도료는? 본 연구에서는 셀윈-윌리암스(Sherwin-Williams)사에서 상용화 시킨 에폭시 계열의 내화 도료 FXM90O2가 시료로 사용되었으며 Figure 1은 사용된 시료와 용기를 보여준다. 성분으로는 에폭시(23.
표준화재시험이 실제 여러 화재 상황을 고려할 수 없는 이유는? 이러한 내화도료의 성능은 현재 표준화재시험을 통해 평가가 되고 있다(1). 표준화재시험은 고정된 온도-시간 관계에 따라 화재 조건이 부여되기 때문에 내화도료의 물성치 변화나 실제의 여러 화재 상황을 고려할 수 없으며 이는 앞으로 표준시험이 발전되어야 할 부분 중 하나이다. 실험을 통해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내화 도료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 해석 코드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왔지만(2-6), Di Blasi(6)가 지적한 바와 같이 정확한 화학 반응 매개변수들이 수치해석 코드의 개발과 함께 진행되지 않으면 코드 개발에 큰 어움이 존재한다.
내화도료가 일상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이유는? 내화도료는 건물, 원자력 발전소, 선박, 철도 차량 등 상대적으로 높은 화재 안정성 확보가 필요한 곳부터 일반 건물의 철골재나 복합 재료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곳까지 폭넓게 적용이 되고 있다. 이는 물질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 우수한 적용성 그리고 적용 후 성능에 대한 만족도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EN. EN 13381-8:2010,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ontribution to the Fire Resistance of Structural Members. Part 8. Applied Passive Protection Products to Steel Member", London: BSI (2010). 

  2. D. E. Cagliostro, S. R. Riccitello, K. L. Clar and A. B. Shimizu, "Intumescent Coating Modelling", Journal of Fire and Flammability, Vol. 6, pp. 205-220 (1975). 

  3. F. Zhang, J. Zhang and Y. Wang, "Modeling Study on the Combustion of Intumescent Fire-retardant Polypropylene", Polymer Letter, Vol. 1, No. 3, pp. 157-165 (2007). 

  4. F. Zhang, J. Zhang and Y. Wang, "Modeling Study on the Combustion of Intumescent Fire-retardant Polypropylene", Polymer Letter, Vol. 1, No. 3, pp. 157-165 (2007). 

  5. C. Di Blasi and C. Branca, "Mathematical Model for the Nonsteady Decomposition of Intumescent Coatings", AICHEJ, Vol. 47, No. 10, pp. 2359-2370 (2001). 

  6. C. Di Blasi, "Modeling the Effects of High Radiative Fluxes on Intumescent Material Decomposition", J. Anal. Appl. Pyrolysis, Vol. 8, pp. 721-737 (2004). 

  7. S. M. Neininger, J. E. J. Staggs, A. R. Horrocks and N. J. Hill, "A Study of the Global Kinetics of Thermal Degradation of a Fibre-intumescent Mixture",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77, pp. 187-194 (2002). 

  8. E. Kandare, B. K. Kandola and J. E. J. Staggs, "Global Kinetics of Thermal Degradation of Flame-retarded Epoxy Resin Formulation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2, pp. 1778-1789 (2007). 

  9. M. Jimenez, S. Duquesne and S. Bourbigot, "Kinetic Analysis of the Thermal Degradation of an Epoxy-based Intumescent Coating",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Vol. 94, pp. 404-409 (2009). 

  10. Sherwin-Williams, http://www.sherwin-williams.com. 

  11. J. A. Conesa, A. Marcilla, J. A. Caballero and R. Font, "Comments on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Different Methods for Kinetic Analysis of Thermogravimetric Data",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Vol. 58-59, pp. 617-63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