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ESTAP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불 취약성 평가 연구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57 - 62  

임채현 (제주국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가장 최근에 배포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인 VESTAP을 활용하여 RCP 8.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시 및 서귀포시에 대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취약성 지수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종합한 제주도 전체 읍면동의 산불 취약성 평가에 활용하였는데, 취약성이 높은 상위 10개 읍면동으로 제주시는 도서지역인 추자면과 우도면 그리고 2개의 동지역이, 서귀포시는 대정읍과 5개의 동지역이 산불에 대한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of forest fires due to climate change in Jeju using the VESTAP. The study primarily aimed at assessing the risks posed to Jeju city and Seogwipo city, and uses actual and projected date from the period of 2000's to 2040's based on RCP 8.5 scenario. Forest fire vulner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인 VESTAP을 활용하여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도 전역에 대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제주도 전역에 대한 산불 취약지역의 판단과 연대별 취약성의 경향을 판단하기 위하여 VESTAP에서 제공하는 해당 연대 및 해당 기초지자체의 기초자료를 통한 분석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시 및 서귀포시의 모든 기초자료를 종합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를 조정함으로써 상호 취약성 지수간의 비교분석이 가능한 표준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하여 배포한 VEST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주도 전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산불에 대한 취약성 평가는 보건, 산림, 물관리, 생태계, 농업, 해양 · 수산, 재난 · 재해 등 7개 분야(32개 평가항목) 중 산림분야에 해당하며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산사태에 의한 임도의 취약성 등과 함께 7개 산림분야 평가항목중 하나에 해당된다(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한 제주도의 현재와 미래(2000년대~2040년대)의 읍면동별 취약성을 평가함으로서, 취약성 기반 맞춤형 산불 보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ure 2. Defini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CP 시나리오는 무엇인가? RCP 시나리오는 인위적인 기후변화 요인 중에서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의 영향에 의한 강제력만으로 수립한 이전 SRES와는 달리,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영향까지도 포함한 고도화된 시나리오라고 할 수 있다. Table 1에서는 CO2 농도를 기준으로 SRES와 RCP 시나리오를 비교하고 있는데, CO2 농도가 적을수록 온실가스를 적극 감축하는 시나리오가 된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은 무엇을 평가할 수 있는가? 최근에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는 기초지자체 공무원들이 보다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Web 기반의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to build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VESTAP)*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14년 12월부터 배포하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은 건강, 재난 · 재해, 농업,산림, 해양 · 수산, 물관리, 생태계부문으로 구분하여 32개의 항목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다.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8조 및 동법시행령 제38조에 따라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에서 수립한 것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나라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8조 및 동법시행령 제38조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대책 및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Table 2에서와 같이 광역지자체에서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11년 배포한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 based on GIS(CCGIS)를 활용해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하였으며, 기초지자체에서는 같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2013년 배포한 Loc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gram based on GIS(LCCGIS)를 활용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FS, "2014 Statistics Annual Report of Forest Fires", Korea Forest Service, p. 90 (2015). 

  2. M. K. Sung, G. H. Lim, E. H. Choi, Y. Y. Lee, M. S. Woo and K. S. Koo, "Climate Change over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Forest Fire Occurrenc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0, No. 1, pp. 27-35 (2010). 

  3. C. H. Lim, "Plan of Jeju-safe-city due to Climate Change", JEJU Green Environment Center, p. 53 (2015). 

  4. IPCC, "Climate Change 2014 Summary for Policymarker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 3 (2014). 

  5. ME, "Climate Change Adaptation Newsletter", Ministry of Environment, Vol. 6, No. 1, p. 9 (2015). 

  6. J. Y. Kang, W. C. Jeung and B. S. Kim, "An Evaluation of Vulnerability of Jeju Island Following the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Jeju Development Institute (2014). 

  7. Y. S. Kim and S. H. Lee, "Improvemen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to Climate Change using LCCGIS",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Vol. 5, No. 2, pp. 165-178 (2014). 

  8. C. H. Kim, C. K. Song, Y. D. Hong, J. A. Yu, S. H. Ryu and G. Y. Yi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CGIS for the Estimation of Vulnerability Index over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Vol. 3, No. 1, pp. 13-2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