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손상 건축 구조물에서 내화설계 이론을 활용한 소방관 안전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관에 의한 실시간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의 제안을 중심으로 -
Study for the Method to Secure the Safety of Fire-fighters in the Building Damaged by a Fire by Using Fire-resistant Design Theories - Mainly about Suggesting the Process and the Method for a Real-time Safety Evaluation by a Fire-fighter -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1, 2016년, pp.86 - 95  

권영배 (대구광역시 강서소방서) ,  권인규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는 건축구조물을 손상시키고, 궁극에는 붕괴될 수 있어 재실자 및 소방관의 생명을 위협한다. 따라서 화재 시에 구조물 내부의 재실자 및 소방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조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화재현장에서 화재손상 건축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구조물 안전성 평가, 소방활동 안전구역 설정, 붕괴 우려시 소방관 철수 결정 등에 관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평가 절차 및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내화설계 및 화재저항성평가 이론 등을 활용하여 화재손상 건축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안전성평가에 관한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러한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은 화재초기부터 실시간 화재건물 내부 상황을 가장 잘 파악 가능한 소방관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되어 소방관이 활용가능한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ight-bearing building materials are substantially weakened under high temperatures, and this is evident through the collapse of structures once engulfed by fire. Currently, there is no scientific or technological process of evaluating the real-time structural stability of a building whcih is eng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하여 내화구조 및 내화설계의 정의와 내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건축 구조재료로 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강재, 목재에 한정하여 그에 대한 열적특성을 고찰하므로 열 손상 건축 구조물에 대한 구조안전성 판단 및 소방관의 안전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 방법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구조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강재 및 목재에 대한 열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콘크리트는 다른 어떤 구조재료보다 내화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 따라서 건축 구조물 붕괴로부터 소방관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화재 발생 시점에서 부터 소방관에 의한 실시간적이고 실질적인 안전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성평가 절차 및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이에 건축 구조재료별 열적 특성 변화 및 내화구조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의 안전 확보에 활용 가능한 공학적 이론 및 기술을 살펴보고, 건물 내부의 화재 상황을 가장 잘 아는 소방관 스스로가 활용 가능한 화재저항성 평가절차와 신속한 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그러나 화재 초기부터 화재 실제 상황을 반영한 실시간 화재저항성 평가 체계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화재 초기부터 실시간으로 건물 내부 화재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소방관에 의한 열 손상 건축구조물에 대한 구조안전성 판단절차 및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강재 보의 화재에 의한 건축구조물 위험성평가는 Figure 1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였으며, 화재 현장에서의 신속한 평가를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 엑셀프로그램을 활용한 부재특성 입력시트와 계산결과는 Figure 2 및 Figure 3과 같다. 고정하중(16 kN/m)은 강재 보의 자중 및 150 mm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 바닥에 마감 처리한 폭 4m의 슬래브가 4~8 m 보에 등분포 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 값이다. 적재하중(10~16 kN/m)은 바닥 슬래브에 250~400 kg/m2의 등분포 하중이 보에 등분포 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 값이다.
  • 먼저 강재 보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강재보를 가정하였다.
  • 목재 기중의 화재저항성 평가를 위하여 사용한 기둥부재는 내화성능을 가지고 있는 집성목재 보로서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 목재 보의 화재저항성 평가에 사용된 목재는 두께에 따라 30 min~1 h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지고 있는 집성목재(GLT) 보로서 다음과 같이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화설계 및 화재저항성평가 이론 등을 적용하여 소방관 스스로가 활용할 수 있는 화재손상 건축 구조물에 대한 실시간 안전성평가에 관한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등분포 하중을 받는 단순보와 편심하중이 발생하지 않는 단순 기둥 부재를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화재에 의한 건물붕괴 양상을 보면 기둥 및 보 뿐만 아니라 지붕과 벽체의 붕괴와 접합부 모멘트 저항능력 상실에 의한 붕괴 등 다양하며 하중의 종류 또한 다양하다.
  • 고정하중(16 kN/m)은 강재 보의 자중 및 150 mm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바닥 바닥에 마감 처리한 폭 4m의 슬래브가 4~8 m 보에 등분포 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 값이다. 적재하중(10~16 kN/m)은 바닥 슬래브에 250~400 kg/m2의 등분포 하중이 보에 등분포 하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 값이다. Figure 4와 같이 화재항복온도는 4 m 스팬에서는 하중 변화에 관계없이 800 ℃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스팬이 커지고 하중이 증가할수록 하중비가 증가하여 고온평가에 부재 항복온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화설계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내화구조란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저항하여 구조물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는 구조로서, 재실자의 생명과 재산 보호 및 소방관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건축물 주요구조부가 구조적 한계에 도달하지 않는 구조이며, 내화설계란 주요구조부를 화재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내화성능을 확보하고, 부재가 열에 취약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단면보강 또는 내화피복재 시공 등으로 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설계 절차이다. 내화설계 방법에는 시방적 내화설계와 성능적(공학적) 내화설계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법정내화구조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즉, 기둥 단면이 작을수록 폭렬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세한 균열 및 모서리부분의 취약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내부로의 열 유입이 빨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기둥의 지름이 25 cm 이상이면 3h 이상의 내화성능을 가지는 법정내화구조로 규정하고 있으나, 연구에 따르면 지름 25 cm 기둥의 내화시간이 3h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법정내화구조 내화성능 시간의 수정 및 세분화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18). 따라서 화재에 노출된 기둥 중에서도 단면이 작은 기둥에 대한 화재저항성 평가가 화재현장 건축구조물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내화구조란 무엇인가?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구조적으로 일정시간 열에 견디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화구조로 설계하도록 되어 있다. 내화구조란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저항하여 구조물 고유의 기능을 유지하는 구조로서, 재실자의 생명과 재산 보호 및 소방관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건축물 주요구조부가 구조적 한계에 도달하지 않는 구조이며, 내화설계란 주요구조부를 화재로부터 견딜 수 있도록 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내화성능을 확보하고, 부재가 열에 취약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단면보강 또는 내화피복재 시공 등으로 열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설계 절차이다. 내화설계 방법에는 시방적 내화설계와 성능적(공학적) 내화설계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ww.wikipedia.org (International Online Encyclopedia). 

  2. Notification of Ministry of Korea Land.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 2014-200, "Law and Code of Fire-Resistant Structure". 

  3. I. K. Kwon, "Principles of Structure Fire Protection", ISBN 9788942518722, 2014. 

  4. KS (Korea Industrial Standards) F 2257, "Fire-resistant Test Method of Structural Members". 

  5. KS (Korea Industrial Standards) F 1611, "Standards of Fire-resistant Capacity for Structural Members". 

  6. S. S. Kim and K. P. Park, "Fire Damages and Deteriorations of Concrete Structures",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3 (2011). 

  7. I. K. Kwon,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for H-section Beams Made of Ordinary Strength Steels by Analytic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2, pp. 76-81 (2014). 

  8. I. K. Kwon, "Study of Structural Stability for H-section Beams Made of Fire Resistant Steels (FR 490) at High Temperatures by Analytical Metho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8, No. 5, pp. 52-57 (2014). 

  9. Standards New Zealand (NZS) 3404, "Steel Structures Standard - Materials, Fabrication, and Construction". 

  10. Standards New Zealand (NZS) 3603, "Specification for the Manufacture of Glue Laminated Timber". 

  11. H. S. Choi,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istance Forces and the Failure Temperatures of H-Shaped steel Compressive Members by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5, No. 2, pp. 131-139 (2013). 

  12. I. K. Kwon, "Experimental Study on Making Datebase for Fire Resistant Steel at High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5, pp. 1-7 (2013). 

  13. Bleich, "Buckling Strength of Metal Structures", McGrow-Hill, New-York (1952). 

  14. S. P. Timoshenko and J. M. Gere, "Theory of Elastic Stability", McGraw-Hill Book Co. Inc, New-York (1961). 

  15. S. D. Kang, S. J. Park and S. D. Kim, "Analytical Methods to Evaluate Local Buckling of H-Columns in Fir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1, pp. 1-4 (2007). 

  16. I. H. Yeo, "Estimation of Residual Strength and Analysis of Fire Resistant Performance Affection Elements for Fire Damaged Reinforced Concrete Column", Journal of KOSHAM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6, pp. 83-89 (2013). 

  17. K. S. Cho, I. H. Yeo, B. Y. Cho, H. Y. Kim and B. Y. Min,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Size and Depth of Concrete Cove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5, No. 1, pp. 78-84 (2011). 

  18. J. S. Park, "An Experimental Study on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of Fire Resistance for RC and SRC Columns", Journal of KOSHAM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6, pp. 73-7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