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오트윗 사용자의 이동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이동과 해외 이동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Geotweet Users: A Comparative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ovem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169 - 180  

백의영 (광운대학교 시공간데이터분석연구실) ,  조재희 (광운대학교 정보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 간 이동이 발생한 지오트윗 사용자를 이동거리평균과 이동거리표준편차에 따라 그룹화하여, 국가 간 이동과 자국 내 이동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발견하고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데이터마트를 구축 후 국가 간 이동과 자국 내 이동이 발생한 지오트윗을 분리하였고, 해버사인공식을 이용해 사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국가 간 이동 집단에서는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며 생활방식이 비슷한 국가 사이에서 많이 이동하였고, 자국 내 이동에서는 인프라가 잘 구축된 선진국 위주의 국가에서 많은 이동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별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공통된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사용자의 이동거리 특성에 따라 그룹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21개국은 국가별 경제력이나 나이, 직업 등에서 차이가 커 많은 제반 사항이 고려되어야 정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에는 현실적인 사항을 추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and domestic travels and to seek ou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y grouping the geotweets users who moved abroad, according to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moving distances. Geotweets which caused foreign and d...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트위터 사용국가 246개 중 90% 이상의 비율이 나타나는 20개 국(US, TR, BR, JP, MY, ID, TH, MX, GB, PH, ES, RU, AR, IT, CA, KW, FR, CL, CO, AU)에 우리나라 (KR)를 포함하여 사용자 이동에 관한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지오트윗 사용자가 적어지는 추세에 놓여 많은 국가의 사용자에 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공통된 특징을 도출하는 것에 높은 활용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국가 간 이동이 발생한 트윗은 1,108,778건이고, 자국 내 이동만 나타난 트윗은 10,184,940건으로 집계되었다. 둘 간의 이동에 관한 차이를 비교해 각 그룹 내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는 인간의 이동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인간이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지오트윗 사용자 그룹별 이동에 관한 특성을 밝혀 인간의 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트윗을 사용하는 주요 21개국에서 발생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간의 행태 및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지오트윗에 관한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미국 비행기 승객수를 이용하여 비교 검증하였고, 21개국에서 445,276명의 지오트윗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태블로(Tableau 2020.
  • 기존 연구자들이 분석에 이용한 도구는 달랐으나, 결론은 단순 통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많이 이동한 경로를 살펴본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별 이동거리 계산을 통해 기존 연구를 발전시키고 공통된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사용자의 이동거리 특성에 따라 그룹화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자들은 지오트윗 사용자가 이동한 물리적 공간을 국내로 제한한 연구가 다수였다.
  • 지오트윗을 통해 트위터 사용자의 이동에 관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의 행태를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에 전 세계 지오트윗 사용자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지오트윗 사용 자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국가 간이동성에 관한 지오트윗 사용자의 특징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 이에 전 세계 지오트윗 사용자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지오트윗 사용 자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국가 간이동성에 관한 지오트윗 사용자의 특징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 지오트윗 사용자를 이용하여 21개국 내에서 이동한 사용자 간의 이동 링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출발국과 도착국 간의 이동이 발생한 사용자는 Fig.
  • 지오트윗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두 가지 연구 문제에 답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오트윗 사용자는 그룹화될 수있는가? 그룹화될 수 있다면, 국가 간 이동과 자국 내 이동에서 나타나는 두 그룹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음으로 ‘이들의 이동 특성에 관한 의의는 무엇인가?’에 대해 답을 찾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오트윗의 기능은 무엇인가? 지오트윗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트윗량 또는 인구수를 정량화할 수 있다. 지오트윗을 이용한 다수의 선행연구에 서는 지오트윗 사용자를 센서스 보조 데이터로 활용할수 있고 사용자의 행태 및 인구밀도, 인구분포 등을 파악 하여 새로운 비즈니스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3-6].
지오트윗 사용 자의 특성을 고찰하게 한 근거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들의 연구에서는 전 세계 지오트윗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도시 또는 동 단위의 협소한 공간에서 나타난 현상만을 밝히고 있다. 지오트윗을 통해 트위터 사용자의 이동에 관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의 행태를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에 전 세계 지오트윗 사용자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앞선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지오트윗 사용자 활용 범위를 어떻게 판단하였는가? 지오트윗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트윗량 또는 인구수를 정량화할 수 있다. 지오트윗을 이용한 다수의 선행연구에 서는 지오트윗 사용자를 센서스 보조 데이터로 활용할수 있고 사용자의 행태 및 인구밀도, 인구분포 등을 파악 하여 새로운 비즈니스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3-6]. 그러나 이들의 연구에서는 전 세계 지오트윗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도시 또는 동 단위의 협소한 공간에서 나타난 현상만을 밝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D. Kim, T. Y. Seong & M. H. Lee. (2015). Impacts of Inauguration of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on Population Migration Network in Neighboring Areas : Focused on Population Migration in Chungche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7(5), 283-302. 

  2. D. S. Kim, J. H. Jang & D. H. Lee. (2009). Analysis of Population Movement by Region, Journal of the Korea Development Economics, 15(1), 133-152. 

  3. J. Kulshrestha, F. Kooti, A. Nikravesh & P. K. Gummadi. (2012). Geographic Dissection of the Twitter Network. ICWSM 2012, 202-209. 

  4. M. Lenormand, B. Goncalves, A. Tugores & J. J. Ramasco. (2015). Human diffusion and city influenc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12(109), 20150473. DOI : 10.1098/rsif.2015.0473 

  5. I. Y. Hong. (2015).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Geotweets.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5(2), 93-101. 

  6. Y. K. Cha. (2018).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gh-density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Data: The Case of Tweet Data in Seoul.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2(2), 257-267. 

  7. Blanford, J. I., Huang, Z., Savelyev, A. & MacEachren, A. M. (2015). Geo-located tweets. Enhancing mobility maps and capturing cross-border movement. PloS one, 10(6). DOI : 10.1371/journal.pone.0129202 

  8. Zagheni, E., Garimella, V. R. K., Weber, I. & State, B. (2014). Inferring international and internal migration patterns from twitter data. In Proceedings of the 2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439-444. 

  9. Khan, S. F., Bergmann, N., Jurdak, R., Kusy, B. & Cameron, M. (2017). Mobility in cities: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ity models using Geo-tagged tweets in Australia. In 2017 IEE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alysis (ICBDA), 816-822. DOI : 10.1109/ICBDA.2017.8078751. 

  10. Hawelka, B., Sitko, I., Beinat, E., Sobolevsky, S., Kazakopoulos, P. & Ratti, C. (2014). Geo-located Twitter as proxy for global mobility patterns.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41(3), 260-271. 

  11. Huang, Y., Li, Y. & Shan, J. (2018). Spatial-temporal event detection from geo-tagged tweets.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7(4), 150. DOI : 10.3390/ijgi7040150. 

  12. Cvetojevic, S. & Hochmair, H. H. (2018). Analyzing the spread of tweets in response to Paris attack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71, 14-26. DOI : 10.1016/j.compenvurbsys.2018.03.010. 

  13. J. H. Cho & I. J. Seo. (2016). Comparing the Spatial Mobility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15(3), 211-221. DOI : 10.9716/KITS.2016.15.3.211 

  14. Lenormand, M., Goncalves, B., Tugores, A. & Ramasco, J. J. (2015). Human diffusion and city influenc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12(109), 473. DOI : 10.1098/rsif.2015.0473. 

  15. Soliman, A., Yin, J., Soltani, K., Padmanabhan, A. & Wang, S. (2015). Where Chicagoans tweet the most: Semantic analysis of preferential return locations of Twitter users, In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ACM SIGSPATIAL Workshop on Smart Cities and Urban Analytics. ACM, 55-58. DOI : 10.1145/2835022.2835032. 

  16. Leetaru, K., Wang, S., Cao, G., Padmanabhan, A. & Shook, E. (2013). Mapping the global Twitter heartbeat: The geography of Twitter. First Monday, 18(5). 

  17. C. Y. Ku. (2018). Spatial Characteristics of High-density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Data: The Case of Tweet Data in Seoul.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2(2), 257-267. 

  18. Li, L., Goodchild, M. F. & Xu, B. (2013). Spatial, temporal, and socioeconomic patterns in the use of Twitter and Flickr.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40(2), 61-77. DOI : 10.1080/15230406.2013.777139. 

  19. BTS. (Accessed 13 June 2019) Air Passenger Travel Arrivals in the United States from Selected Foreign Countries. https://www.bts.gov/content/air-passenger-travel-arrivals-united-states-selected-foreign-countries-thousands-passengers 

  20. J. H. Oh.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Aerospace Body Inspec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Korea. Conference of Aerospace Medical, 45-46. 

  21. J. H. Cho & I. J. Seo. (2017). Investigation of Twitter Users' Activity Radius and Home Region in the City: The Case of Las Vega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2(2), 505-513. DOI : 10.7840/kics.2017.42.2.505 

  22. M. G. Kim. (2016). A Study on Twitter User's Residential Location Inference for Twitter Mining,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