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6 no.1, 2016년, pp.93 - 101  

김혜진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  남지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s, and OHIPs(oral Health Impact Profiles) of 20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20년에는 결혼이주여성이 31만2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면서[11] 다문화가정에서 출생하는 아동의 증가 또한 간과 할 수 없는 문제이다. 강 등[12]은 개인의 구강건강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아동기의 올바른 구강보건관리 습관 및 보건지식을 형성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고 이에 다문화가정 여성은 2세들의 구강건강은 물론 자신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에 본 연구에서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구강 건강증진행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을 알아보고 서로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다문화가정 여성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포항지역 다문화가정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부 지역 다문화가정 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를 활용하여 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결혼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낳을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2%를 차지한다. 한국남성과 외국 여성과의 국제결혼은 그 양적인 증가만큼 다양한 문제점 등을 낳고 있는데 이는 국제결혼이 단지 국적이 다른 두 사람의 결합뿐 아니라 생활관습과 가치관이 다른 두 나라의 문화가 결합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경제적 약자인 여성들은 주로 한국사회로 이주해 오는 입장이므로 한국 남성들에 비해 더 많은 갈등을 겪게 된다[1].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우리 사회의 문화에 적응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 동안 국내의 여러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삶의 질은 매우 낮은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다[2].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우리 사회의 문화에 적응하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가족 내에서의 생활방식 및 가치, 가정폭력 및 학대, 경제적 어려움과 한국어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음식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등으로 대별 된다[3]. 또한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문화적 적응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각종 다양한 생활사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그로 인해 파생되는 우울증이나 여타의 정신건강의 문제에 노출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남성과 결혼하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임[4]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상태와 권 등[5]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상태, 임[6]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이들은 제한 된 언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남편의 상습적 폭행과 학대, 사회적 편견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 무기력감에 시달려 정신건강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보고되었다[7]. 삶의 질은 질병이나 건강의 이상상태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개인적 반응을 나타내며[8], 이러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여러 요인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신체적 건강상태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et al.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c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2009; 15: 261-9. 

  2. Kim SJ. The research report for improving life quality of multi-cultural spouse[Mastr's thesis]. Ulsan: Univ. of Ulsan, 2010. 

  3. Kang DJ. A study on the family life of multi culture family in rural area[Mastr's thesis]. Daegu: Univ. of Daegu, 2009. 

  4. Im EH. Exploratory study on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immigrant women[Mastr's thesis]. Seoul: Univ. of Hanyoung, 2008. 

  5. Kwon GY, Park KW.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o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ives. Korea Social Research Center 2007; 12: 187-99. 

  6. Im H. The impact factors on mental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 34: 217-38. 

  7. Hwag YH. A study on the oral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08. 

  8. Shin HC. Defintion of health related qualiy of life. J Korea Acad Fam Med 1998; 19(11): 1008-15. 

  9. Kim JH.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Surveyed against some of youngnam area resident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 of Keimyung, 2007. 

  10. Yun HK, Lee SH, Choi G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Oral Health Status in Populati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J Korea Acad Industrial cooperation Soc 2012; 13: 678-84. 

  11. Seol DH, Suh MH, Lee SS, Kim MA. A Study of the medium-to long-term prospects and measures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on the focus of the population pro in Korean society[intermet]. [cited 2010 Now4]. Available from: http://www.mogerf.go.kr. 

  12. Kang JK, Lee SM. Original Article: Relationship between 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ttempts to improve oral health. J Korean Acad Dent Health 2010; 34: 354-61. 

  13. Park JH, Kwon HK, Kim BL, Choi CH, Choi YH. A survey on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resident in free asylum.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2; 26: 555-65. 

  14. Kim SH, Lim SA, Park SJ, Kim KD. Assessment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4; 28: 559-69. 

  15. Nuttall NM, Steele JG, PineCM, White D, Pitts NB. The impact of oral health on people in the UK in 1998. Br Dent J. 2001; 190: 121-6. 

  16. Heydecke G, Locker D, Awad MA, Lund JP, Feine JS. Oral and gene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conventional and implant dentur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 31: 61-168. 

  17. Locker D, Slade GD: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 J Can Dent Assoc 1993; 59: 830-3, 837-8, 844. 

  18. Kelly M, Nuttall NM, Brandnock G et al. Self-reported impact of dental disease among scottish. Dental Health Survey-oral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1998. London: The stationery office 2000. 

  19. Berretin-Felix G, Nary Filho H, Padovani CR, Machado WM. A longitudinal study of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mandibu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Clin Oral Implants Res. 2008; 19: 704-8. 

  20.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 1997; 25: 284-90.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the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Internet]. [cited 20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