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관리자가 인지한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 실태에 관한 업종별 비교: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효과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1, 2016년, pp.29 - 40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이복임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in effectiveness of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Methods: Subject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 효과의 관계를 업종별로 비교하기 위한 횡단적 비교조사연구(cross-sectional comparative study)이다.
  • 본 연구는 사업장의 업종별로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운영 효과 등을 비교함으로써 사업장 특성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사업장은 총 168개소로 제조 · 건설업이 76개소(4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사업장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현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업종별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기획 및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사업장 업종별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 효과에 대한 비교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업종별 차이를 비교한 기존 국내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업종별 건강증진 요구도, 필요도, 수행도, 장애도 및 운영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 건강증진에 대한 정의 중 어디에서 제시된 정의가 가장 널리 알려졌는가? 근로자 건강증진에 대한 정의는 유럽연합의 룩셈부르크선언(1997)에서 제시된 정의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룩셈부르크선언에 의하면 사업장 건강증진이란 근로자의 건강과 복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업주, 근로자 및 사회가 하나로 결합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근무환경 및 업무조건 개선, 능동적 참여 촉진, 자기개발 장려 등으로 구성된다(European Network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2007).
룩셈부르크 선언에 의한 사업장 건강증진이란? 근로자 건강증진에 대한 정의는 유럽연합의 룩셈부르크선언(1997)에서 제시된 정의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룩셈부르크선언에 의하면 사업장 건강증진이란 근로자의 건강과 복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업주, 근로자 및 사회가 하나로 결합하여 노력하는 것으로, 근무환경 및 업무조건 개선, 능동적 참여 촉진, 자기개발 장려 등으로 구성된다(European Network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2007). 우리나라는 고용노동부 고시인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지침’에서 작업 관련성 질환 예방활동을 포함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최상의 상태로 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보건업의 보건관리자는 보건관리 자로서의 경력이 짧고 타 업무를 겸직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는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가? 또한 본 연구에서 보여주듯이 보건업의 보건관리자는 보건관리 자로서의 경력이 짧고 타 업무를 겸직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근로자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집행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업장 자체적 해결이 어려우며 관련 기관, 기존자원, 사업주의 긴밀한 협력체계로 극복해 나가야 한다(Ennals, 2002). 보건업 근로자의 요구에 맞게 호흡기보호 및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실제 수행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 구축,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하여 근로자, 사업주, 전문가 및 정부의 공조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llew, B. (2008). Primary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Australia through interventions in the workplace setting: A rapid review. An Evidence Check rapid review brokered by the Sax Institute(http://www.saxinstitute.org.au) for the Chronic Disease Prevention Unit. Victor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2. Chapman, L. S. (2012). Meta-evaluation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economic return studies: 2012 update.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6 (4), TAHP1-TAHP12. http://dx.doi.org/10.4278/ajhp.26.4.tahp 

  3. Ennals, R. (2002). Partnership for sustainable healthy workplaces.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6 (4), 423-428. http://dx.doi.org/10.1093/annhyg/mef061. 

  4. Epstein, P. M., Burns, C., & Conlon, H. A. (2010). Substance abuse among registered nurses. AAOHN journal, 58 (12), 513-516. http://dx.doi.org/10.1177/216507991005801203 

  5.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2012). Motivation for employers to carry out workplace health promotion.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6. European Network for Workplace Health Promotion. (2007). The Luxembourg Declaration on workplace health promotion in the European Union. Belgium: Author. 

  7. Fine, A., Ward, M., Burr, M., Tudor-Smith, C., & Kingdon, A. (2004). Health promotion in small workplaces-a feasibility study. Health Education Journal, 63 (4), 334-346. http://dx.doi.org/10.1177/001789690406300405 

  8. Jung, H. S., Kim, S. Y., Lee, B., Ha, Y. M., Kim, M. J., et al. (2014). Model and strategies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Uls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9. Kim, E. J., & Park, J. S. (2009). Comparison of health problems, conditions, &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isky environment among various industria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1), 71-83. 

  10. Kim, E. K., Kim, B. G., Park, J. T., Kim, H. R., & Koo, J. W. (2007).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 (1), 56-64. 

  11. Kim, S. L., Kim, Y. I., Lee, S. Y., Jung, H. S., Kim, Y. H., & Song, Y. S. (2006a). Factors influencing workers' ne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4), 530-541. 

  12. Kim, Y. H. (2010). Strategies for facilitating workplace health promotion.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13. Kim, Y. I., Jung, H. S., Lee, S. Y., Kim, S. L., Kim, S. Y., & Lee, K. J. (2006b). A survey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their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2), 195-209. 

  14. Lee, B. (2009). Gender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232-241. 

  15. Lee, B., Jung, H. S., Yi, Y. J., Kang, H. T., & Kim, E. Y. (2012). Effect analysis of subsidies for labor and management-directe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6. Lee, S. S. (2012).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by intervention groups on cerebral and cardiovascular diseases risk factors-Targeting male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ized workpl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7. Martin, A., Sanderson, K., & Cocker, F. (2009).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in the workplace on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al Health, 35 (1), 7-18. http://dx.doi.org/10.5271/sjweh.1295.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5). Survey on labor conditions by type of employment. Sejong: Author.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Gwacheon: Author. 

  20. Oh, Y. A., Lee, M. S., & Rhee, K. Y. (2002).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workers' job conditions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4 (3), 301-314. 

  21. Rhee, K. Y., Oh, J. Y., & Song, M. K. (2006). Economic analysis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program-Focus on development of guidelines.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2. Song, J. Y. (2010). A study on the effects from 'workplace health promotion movement' to improve worker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23. Spector, P. E., Zhou, Z. E., & Che, X. X. (2014). Nurse exposure to physical and nonphysical violence, bullying, and sexual harassment: a quantitat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 (1), 72-8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3.01.010. 

  24. Steenstra I., Anema J., van Tulder M., Bongers P., de Vet H., & van Mechelen W. (2006). Economic evaluation of a multistage return to work program for workers on sick-leave due to low back pain.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6 (4), 557-578. http://dx.doi.org/10.1007/s10926_006_9053_0 

  25. Stone, P. W., Clarke, S. P., Cimiotti, J., & Correa-de-Araujo, R. (2004). Nurses' working conditions: Implications for infectious diseas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10 (11), 1984-1989. http://dx.doi.org/10.3201/eid1011.040253. 

  26. Tones, K., & Tilford, S. (2001).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equity (3rd ed.). Cheltenham: Nelson Thornes. 

  27. WHO Expert Committee. (1985).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work-related diseas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