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여행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Using Open Government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7 no.1, 2016년, pp.15 - 21  

심범수 (R&D strategy & planning office, KHNP central research institute) ,  이한준 (Center for Defense Acquisition, Kore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  유동희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는 창조경제라는 패러다임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여러 종류의 대국민 서비스를 구축하는 등 공공데이터 활용을 통한 가치창출에 역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행에 관한 공공데이터와 사용자 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여행 정보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례기반추론(CBR)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맞춤형 정보 추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 중심의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여행 시스템들과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으며, 턴키(Turn-key) 방식의 콘텐츠 제공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공공데이터의 성공적인 활용 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flag of creative economy, Korea government is now releasing public data in order to develop or provide a range of serv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to recommend a trip itinerary based on integr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and personal tourist data.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데이터 개방이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는 자료 또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고, 제공받은 공공데이터를 영리적, 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데이터 개방의 목적은 공공데이터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 및 재이용 하도록 허락하고,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6].
  • 본 논문에서는 CBR 방식을 활용하여 기상 정보와 여행 정보를 사용자 중심으로 추천하는 맞춤형 여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네비게이션 앱을 통해 융합된 여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를 추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본 시스템의 문제점 등을 질문한 서술형 답변에서는 제공된 정보의 유용성 제고 및 사용자 편의성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맞춤형 정보 제공시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확보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
  • 본 절에서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앱 중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과 유사하며 이미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앱인 ‘대한민국 구석구석’과 ‘원기날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정부에서 개방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현재까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기상 및 관광 등 각 분야별 앱 활용 수준은 공급자가 제공하는 일차 정보를 확인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어 정보제공 측면에서 공급자 중심이었다[5].
  • 하지만 향후에는 각 분야별 사용자 맞춤형 융합 정보를 분석·가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턴키(Turn-key) 방식의 앱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라 전망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외출이나 여행 시, 공간 정보와 날씨 정보 그리고 나만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정보요구 충족도를 제고시키려는 관점에서 제안되었다. 본 논문의 시스템을 활용하면 사용자는 여행지 및 여행지별 기상 정보를 제공받고, 축적된 사용자 정보를 토대로 해당 날씨와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여행지를 추천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 또한, 이러한 정보에 실시간 날씨 변동 정보를 적용하여 추천지를 변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사용자 중심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추천받은 정보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 개방의 목적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 개방이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는 자료 또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고, 제공받은 공공데이터를 영리적, 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공데이터 개방의 목적은 공공데이터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 및 재이용 하도록 허락하고,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며, 궁극적으로 국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6].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 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되어 부호·문자·도형·색채·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으로 표현된 모든 종류의 자료 또는 정보’로 정의된다[1]. 즉,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해외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미국과 영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데이터를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 연계되는 대용량의 데이터 관리 관점에서 정부의 대민서비스를 더욱 증대시키고자 공공데이터의 활용을 정책적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2]. 미국의 ‘Data.gov’와 영국의 ‘Data.gov.uk’가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 꼽을 수 있다. 국가의 데이터를 국민에게 공개·개방하여 더욱더 투명한 정부를 구현하고 데이터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에 힘쓰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ct No.11956, 30. Jul, 2013. http://elaw.klri.re.kr/eng_mobile/viewer.do?hseq30365&typepart&key4 

  2. C. Kim, "A Study for Transaction Processing Supporting Scalability in the Cloud",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7, No. 4, pp. 873-879, 2012.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927751 

  3. J. Cho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System for the Activation of Public Data Usage", Korea Association for Information Law, Vol. 16, No. 1, pp. 237-266. 2012. http://kafil.or.kr/wp-content/uploads/2012/07/08.-%EC%B5%9C%EC%A7%84%EC%9B%90.pdf 

  4. I. Song, "A Study on the Plans for Effective Use of Public Data: From the Perspectives of Benefit, Opportunity, Cost, and Risk",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 16, No. 4, pp. 131-139, 2015. 

  5. H. Seo and S. Myeong, "Policy Alternatives for User-oriented Public Data Utilization-Focusing on ICT Managers' Perception in Private Sector",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3, pp. 61-86, 2014. http://www.dbpia.co.kr/Article/NODE02508348 

  6. Open Data Korea Forum, Provision of Public Data and Creation of Jobs, 2013. http://opendatakoreaforum.kr 

  7. W. Park, "Cases of Public Data Use for Construction of Creative Economy Foundation", Trend & Insight, Korea Communications Agency, Vol. 72, pp. 30-43, 2014. http://kcaresearch.kr/upload/webzine/pdf/2_2014030610055969.pdf 

  8. J. Kim, "Understanding of Public Data use and its Forein Cases", Korea Local Informatio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Local Info. Issue 6, 2014. https://www.klid.or.kr/section/file/file.php?seq3744 

  9. F. Ricci and H. Werthner, "Case Base Querying for Travel Plann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Technology & Tourism, Vol. 4, No. 3-4, pp. 215-226. 2001. http://dx.doi.org/10.3727/109830501108751001 

  10. H. Kwon and K. Hong, "Personalization of LBS using Recommender System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1, No. 6, pp. 1-11, 2010.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569140 

  11. J. Nielsen, Why You Only Need to Test With 5 Users, 2000. https://www.nngroup.com/articles/why-you-only-need-totest-with-5-us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