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혜택, 기회, 비용, 그리고 위험요소 관점에서
A Study on the Plans for Effective Use of Public Data: From the Perspectives of Benefit, Opportunity, Cost, and Risk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6 no.4, 2015년, pp.131 - 139  

송인국 (Dept. of Management, Dank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는 경제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주요 추진 동력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공공데이터를 적극 제공하여 분석결과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신규산업을 창의적으로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면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의 개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개방의 실익에는 다소 회의적이다. 하지만, 상호이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민간 활용 중심의 데이터 개방을 더욱 가속화 시킬 계획이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에 대해 기관이 인식하는 혜택, 기회, 비용 및 위험 요소들의 상호 가중치를 파악하였다,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요소의 가중치 변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공공데이터 개방 및 공유에 대한 기관의 인식과 대안을 ANP의 BOCR 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데이터 보유 기관과 외부 이해관계자의 우선순위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혜택, 기회, 비용, 위험의 세부적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가지 요소별 관점에서 이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공공데이터 활용을 추진하기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데이터 개방 및 제공을 고심하고 있는 공공기관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참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책입안자 및 관계자들이 데이터 개방에 대한 기관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자료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quest for the advent of new engine toward economic growth, the issue regarding public-owned data disclosure has been increasing. The Korean governments are forced to open public-owned data and to utilize them in solving the various social problems and in promoting the welfare for the pe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주춤하고 있는 경제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주요 추진 동력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공공데이터를 적극 제공하여 분석결과를 활용하게 유도함으로써, 국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신규산업을 창의적으로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공데이터가 지닌 잠재적 가치, 개방의 가치와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 및 공감대 형성이 부족하여 공공기관이 개방에 다소 소극적 측면이 존재하는 것을 부인하기 힘들다.
  • 더불어 기관의 외부 관련자로 부처의 정책입안자, 관련 업체 및 학계 인사 25명에 대해서도 설문을 실행하여 실행주체인 기관과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네트워크 내 클러스터 간의 영향 관계에 따라, 클러스터 내 의사결정요소들 간의 쌍대비교가 이루어진다. 또한 클러스터 간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기 위해 클러스터 수준에서의 쌍대비교를 수행하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 분석 및 공개 주체에 따른 방안별로 혜택, 기회, 비용, 위험 요인들이 상호간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한 연구 설계가 제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에 대해 기관이 인식하는 혜택, 기회, 비용 및 위험 요소들의 상호 가중치를 파악하고,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에 따라 네 가지 요소의 가중치 변화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공공기관이 업무수행의 결과물로 생성 및 수집한 다양한 전자화된 형태의 정보가 공공데이터이다.
정부3.0이란 무엇인가? 정부3.0이란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유하며, 부처 칸막이를 없애 소통하고 협력함으로써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 운영 방침이다.[4]
공공기관들이 공공데이터 제공에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통계적 결과와 정부정책에 압박을 받고 있는 많은 공공기관들은 공공데이터 제공에 대해 내부적으로 고심하고 있다. 왜냐하면 2007년에도 ‘국가지식정보 활용’이라는 정부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했던 사례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의 개방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개방의 실익에 대해서도 다소 회의적이다. 즉 기관들은 공공데이터 공개에 따른 최근 트렌드를 인식하고 있지만, 활용의 실익과 추진방법에 대한 의사결정에 직면하여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Lee, H. and Nam, Y. "A Study on Revitalizing the Use of Korean Public Data : Focused on Linked Open Data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 31, No. 4, 2014, pp. 249-266. 

  2. Open Data Portal, www.data.go.kr 

  3. OECD, Government at a glance 2015. 

  4. Government 3.0, www.gov30.go.kr 

  5.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Davis, F. 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Vol. 27, No. 3, 2003, pp. 425-478. 

  6. Saaty, R. W. and Saaty, T. L., Decision Making in Complex Environment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r Decision Making and The Analytic Network Process(ANP) for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Super Decisions. 2003. http://dx.doi.org/10.4018/978-1-59140-702-7.ch018 

  7. Saaty, T.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s, Pittsburgh, PA, 1996. http://dx.doi.org/10.4018/978-1-59140-702-7.ch018 

  8. Hamalainen, R. P. and Stepplinen, T. O.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in Energy Polish Planing", Socio-Economic Planing Sciences, Vol. 20, 1986, pp. 99-405. 

  9. Hong, Y. "A study on the invigorating strategies for open government data", Journal of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5, No. 4, 2014, pp. 769-7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