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시 여남동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산출된 가자미목 화석의 기재와 의의
The description of the Flat fish (Pleuronectiformes) Fossils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Yeonam-dong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1, 2016년, pp.1 - 10  

고주영 (서울고생태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생대 어류 화석 4개체가 포항의 마이오세 두호층에서 발견되었다. 본 화석은 뒷지느러미의 앞쪽 담기골(pterygiophore)이 연장되어 있고, 후의쇄골(postcleithrum)이 존재하며, 두 개의 인접한 혈관극 사이에 뒷지느러미 담기골 두개가 거의 일정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하미축골(hypurals)이 융합되었고, 세 번째와 네 번째 하미축골과 첫 번째 전미추체(preural centrum)가 융합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인근의 잘 발달된 판상 신경극과 낚시바늘모양의 미설골(urohyal)이 존재하고, 그 좌골부(sciatic part)가 꺾여있다. 그리고 준하미골(parahypural)이 첫 번째 전미추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이 화석은 국내 최초의 가지미목으로 동정되었다. 그간의 두호층 지질학적 연구는 천해환경의 생물들이 육상의 큰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떠내려가 저탁류에 의해 심해환경에서 퇴적되었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여태껏 천해환경 생물들만 발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호층에서 최초로 심해생물인 가자미류가 보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entities of the Cenozoic fish fossils were discovered in th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Korea. these fossils were identified as the first Pleuronectiformes in Korea based on the following-the presence of postcleithrum, the elongation of the first proximal pterygiophore of the anal fin r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점에서 가자미목 어류의 계통과 진화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신생대의 한반도 어류 화석상의 다양성을 복원하는 연구를 하는 것은 매우 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포항의 가자미목 화석을 기재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가자미목 화석을 일본의 마이오세 가자미 화석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이유는? 이번에 확보된 가자미목으로 보이는 포항의 어류 화석은 마이오세에서 산출되었다. 당시의 일본과 한반도는 지리적으로 동일한 수역을 공유했기 때문에, 한반도 가자미목 화석은 일본의 마이오세 가자미 화석상을 근거로 고찰할 수 있다.
천해환경의 생물들이 큰 홍수와 같은 사건으로 인해 심해환경에서 퇴적되었다는 연구는 두호층 화석에 있어 어떤 가능성을 나타내는가? 두호층이 원지성이 아닌 이지성 퇴적 환경이었다는 이 같은 연구결과는 천해생물 뿐 아니라 심해생물역시 함께 발견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간의 고생물학 연구에서는 천해성 생물들만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신생대 어류 화석은 얼마나 발견되었는가? 현재 한국의 신생대 어류화석에 관한 연구는 문헌상 매우 드물다. 한국고생물학회에서 그간 발견된 우리나라의 모든 거화석을 집대성한 문헌에 신생대 어류 화석은 두건 기록된 것에 그쳤다(Ya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aoka, K., 1969, Studies on the sinistral flounders found in the waters around Japan. Taxonomy, anatomyand phylogeny, The Journal of the Shimonoseki University of Fisheries, 18, 65-340. 

  2. Amaoka, K., 1972, Osteology and Relationships of the Citharid Flatfish Brachypleura novaezeelandiae, Japanese Journal of Ichthyology, 19. 

  3. Chabanaud, P., 1936, Le Neurocrne osseux des tlostens dyssymtriques aprs la mtamorphose, Masson et cie, Paris, France. 

  4. Chapleau, F., 1988, Comparative osteolo gy and intergeneric relationships of the tongue soles (Pisces; Pleuronectifo rmes; Cynoglossidae), Canadian Journal of Zoology, 66(5), 1214-1232. 

  5. Chapleau, F. and Keast, A., A phylogen etic reassessment of the monophyleti c status of the family Soleidae, with comments on the suborder Soleoidei (Pisces; Pleuronectiforme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66(12), 2797-2810. 

  6. Chapleau, F., 1993, Pleuronectiform relationships: a cladistic reassessment, Bulletin of Marine Science, 52, 516-540. 

  7. Chanet, B. and Schultz, O., 1994, Pleuronectiform fishes from the Upper Badenian (Middle Miocene) of St. Margarethen (Austria), Annalen des Naturhistorischen Museums in Wien. Serie A fur Mineralogie und Petrographie, Geologie und Palaontologie, Anthropologie und Prahistorie, 95-115. 

  8. Chanet, B. and Armoon, A., 1999, Lower Miocene flatfish (Teleostei: Pleuronectiformes) from the Mishan Formation of Iran, Neues Jahrbuch fr Geologie und Palontologie, 283-291. 

  9. Cho, M. K., 2007, Flora and fauna fossils from the Tertiary Duho Formation of the Pohang Basin, Master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73 p (in Korea) 

  10. David, L. R., 1943, Miocene fishes of southern Californ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No. 43, USA. 13-14. 

  11. Dchiai, A., 1966, Studies on the comparative morphology and ecology of the Japanese soles, Misaki Marine Biological Institute, Kyoto University, Kyoto, Japan. 

  12. Hubbs, C. L., 1945,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Citharidae, a family of flatfishes. No. 63.,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Michigan, USA. 

  13. Hensley, D. A. and Ahlstrom, E. H., 1984, Pleuronectiformes: relationships, Ontogeny and systematics of fishes. Vol. 1.,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Special Publication No. 1, USA. 670-687. 

  14. Inoue, M. and Uyeno, T., 1968, Occurren ce of two Paleogene fish fossils at Oy ubari coal mine in central Hokkaido,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11(3), 319-326. 

  15. Kim, B. K., 1965, The stratigraphic and paleontologic studies on the Tertiary(Miocene) of the Pohang area, Korea, Journ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cience and Technical Series, 15, 32-121 (in Korean). 

  16. Kwak, S.C., 2009, A Palaeontological Study of Squillidae (Stomatopoda) from the Miocene Duho Formation, Korea, Master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26 p (in Korea). 

  17. Kim, D.H. and Lee, S.J., 2011, Fossil scallops from the Hagjeon Formation and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235-244 (in Korean). 

  18. Kim, K.H., 2012, Tertiary fossil scallops from the Duho Formation, Pohang Basin, Korea, Master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31 p (in Korea). 

  19. Kim, J.M., 2013, Diverse fossil-bearing hemipelagic deposits in the Middle Miocene Duho Formation, Pohang City, Gyeongsangbukdo, Korea : Occurrences, taphofacies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Master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80 p (in Korea). 

  20. Niino, H., 1951, Description of some fossil fishes and prawns from Japan, Journal of the Tokyo University of Fisheries, 38(1), 49-58. 

  21. Norman, J. R., 1966, A Systematic Monograph of the Flatfishes (Heterosomata). Johnson Reprint Corporation, NY, USA. 

  22. Nazarkin, M. V., 1997, A new late Miocene flounder from Agnevo Svita, Sakhalin Island. Journal of Ichthyology, 37(8), 547-553. 

  23. Nazarkin, M. V., 2002, Large Flatfishes from the Miocene of the Agnev Formation of the Sakhalin Island, Journal of Ichthyology, 42, 7-18. 

  24. Ohe, F., 1990, Faunal Change of the Miocene Marine Fish in Japen, Monograph of the Mizunami Fossil Museum, 7, 25-59. 

  25. Ohe, F., and M. Kawase., 1995, Clidoderma chitaensis, a new fossil at sh, from the Miocene Yamami Formation, Chita Peninsula, Aichi, central Japan, Bulletin of the Mizunami Fossil Museum, 22, 1-7. 

  26. Sakamoto, K., 1984, Interrelationships of the family Pleuronectidae (Pisces: Pleuronectiformers). Memoirs of the Faculty of Fisheries-Hokkaido University, Hokkaido, Japan, 215 p. 

  27. Sakamoto K. and Uyeno T., 1989a, A New Middle Miocene Righteye Flounder Hippoglossoides naritai from Tokoro, Hokkaido, Japan,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Geology & paleontology, 15(2), 71-79. 

  28. Sakamoto K. and Uyeno T., 1991, Hippoglossoides kumaishi, a New Miocene Righteye Founder from Oshima Peninsula, Hokkaido,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17, 165-172. 

  29. Sakamoto K. and Uyeno T., 1992, Saitamapsetta nomurai gen. et sp. nov., a Righteye Founder from a Middle Bed in Saitama Prefecture,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18, 101-112. 

  30. Sakamoto K. and Uyeno T., 1993a, Paralichthys yamanai, a Middle Miocene Lefteye Flatfish from Tottori,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19, 1-9. 

  31. Sakamoto K. and Uyeno T., 1993b, A New Middle Miocene Righteye Flatfish, Microstomus tochigiensis, from Tochigi,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19, 105-113. 

  32. Sakamoto K., Uyeno T. and Otsu T., 2001, Clidoderma yamagataensis, a New Middle Miocene Righteye Flatfish, from Yamagata Prefecture,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27, 1-6. 

  33. Um, S.H., Lee, D.W. and Bak, B.S., 1964,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ohang sheet (scale.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Seoul, Korea, 38 p (in Korean). 

  34. Uyeno T., Sakamoto K. and Fujii S., 1990, Three Fish Fossils from the Neogene Strata at Himi City, Toyama Prefecture, Central Japan, Bulletin of National Science Museum, 18, 155-165. 

  35.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I,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 187-214 (in Korean). 

  36. Yun, H.S., 1986,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 in the Pohang Basin, Part I,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10, 99-116 (in Korean). 

  37. Yoon, S., 1992, Geology of the Tertiary Pohang Yangnam and Pohang Basin, Korea, Bulletin of Mizunami Fossil Museum, 19, 12-31. 

  38. Yang, S.Y., 2013, Megafossils of Korea. Academybook, Seoul, Korea, 448 p (in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