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 인근 트렌치 퇴적물 내 규조의 환경 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Diatom in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Ulsa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7 no.1, 2016년, pp.11 - 20  

박영숙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과) ,  류춘길 (한국지질환경연구소) ,  조미순 (국립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 반구대 암각화 부근에 분포하는 퇴적층을 대상으로 사연댐 건설 전과 후의 퇴적환경을 알아보기 위해서 규조를 연구하였다. 사연댐 건설 이전의 하부 퇴적층으로 부터는 규조가 산출되지 않았으며, 사연댐 건설 이후의 퇴적층(두께 228 cm)으로부터 규조가 감정되었다. 규조는 총 27속 75종이 산출 되었으며 개체수 농도의 범위가 $0.2{\times}10^5-5.8{\times}10^5g^{-1}$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 산출된 규조 종의 산출분포에 의해서 사연댐 건설 후 퇴적된 퇴적물로부터 4개의 군집대를 설정하였다; 규조 군집대 I: 228-150 cm, 규조 군집대 II: 150-122 cm, 규조 군집대 III: 122-62 cm, 규조 군집대 IV: 62-0 cm. 또한, 환경지시종에 따라 부영양화, 산성도, $Cl^-$ 값 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영양화와 $Cl^-$ 값에 대한 결과는 74 cm 층준을 기준으로 하부 층준에서는 부영양화의 정도가 중간-높음으로 $Cl^-$ 값은 낮게 나타났으며, 상부 층준에서는 부영양화가 낮음, $Cl^-$ 값이 높음으로 나타났다. 산성화의 정도는 122 cm 층준의 하부에서는 중성-알칼리성을 띠며 상부에서는 산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영양염류의 경우, 175 cm 층준에서는 TP값이 높고, 62 cm 층준에서는 TN값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toms were studied from the trench sediments around Bangudae petroglyph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Sayeon dam in Ulsan. There were no diatoms produced from the sediments before the dam construction while the diatoms were produ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Vos and Gerrets, 2005).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대곡천 유역에서 채취한 퇴적물을 대상으로 규조를 분석하여 사연댐의 건설이전과 이후, 약 50년 동안의 퇴적환경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8× 105 g −1 로 나타났다. 규조의 보존상태는 평균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이 연구에서 총 27속 75종이 동정되었으며 규조 군집의 종의 다양성과 개체의 풍부성은 구간에 따라서 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상분지를 주로 구성하는 암석의 종류는 무엇인가? 반구대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곡천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중생대 백악기의 경상분지 내에 분포한다. 경상분지를 주로 구성하는 암석들은 역암, 사암, 이암 및 셰일이며, 이들은 강, 호수 등의 육성퇴적환경에서 퇴적되었다. 또한, 대곡천 일대의 퇴적암에는 사층리, 연흔, 건열 등의 퇴적구조가 다수 관찰되어 얕은 수심에 놓여 있음을 지시해 준다(임 종덕 외, 2012).
규조류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고고학 발굴 현장에서는 주로 유기질 미화석 및 식물 규산체 연구가 주로 진행이 되고 있으며, 규조 화석은 매우 드물게 연구되었다(조화룡, 1986; 이영길 외, 1994, 1995; 황상 일, 1998; 황상일 외, 1997; 류은영 외, 2005; 박영숙 외 2006, 2007). 규조류는 단세포 식물성 플랑크톤으로서 습한 토양, 호수, 강, 해양 등 모든 수성환경에서 부유성 혹은 저서성으로 서식하는 가장 중요한 일차생산자이다(심재형, 2003). 또한, 규조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퇴적층 속에 포함되어 있는 규조의 군집 조성을 연구함으로써 고환경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Kashima, 2003; Freund et al.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의 대구층의 특징은 무엇인가? 반구대암각화가 조각된 암석은 열변질 작용을 받아서 혼펠스화된 암갈색 셰일이 주를 이루고(이찬희 외 2012), 주변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의 대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층은 하부와 상부가 암상을 달리하고 있으며, 하부층은 암흑색, 녹회색 및 암회색의 사암, 실트스톤, 사질실트스톤, 사질 셰일 및 셰일 등이 발달되어 있으며, 상부층은 자색의 사질실트스톤, 실트스톤, 사질 셰일, 셰일 등이 우세하며, 호층을 이루고 있다(이윤종과 이인기, 1972). 연구 단면은 사연댐 완공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 으며, 사연댐 완공 이전인 하부 층준은 주로 함자갈이질 모래 또는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고 사연댐 완공 이후인 중-상부 층준은 실트질 모래와 모래질 실트 퇴적층이 교호하는 특성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k, Y.S., Kim, M.J., Lee, J.D. and Goo, J.J., 2006, Paleoenvironments of the Quaternary sediments from the Seokrim-Dong, Seosan, based on diatom assembl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4), 549-559. 

  2. Bak, Y.S., Lee, J.D., Yang, D.Y, Nahm, W.H. and Yi, S., 2007, Diatom assemblage from the Quaternary sediment in the Buryang-Myeon, Gimje, and its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3(1), 105-113. 

  3. Beyene, A., Awoke, A. and Triest, L. 2014. Validation of a quantitative method for estimating the indicator power of diatoms for ecoregional river water quality assessment. Ecological indicators. 37, 58-66. 

  4. Freund, H., Gerdes, G., Strief, H., Dellwig, O., and Watermann, F., 2004. The indicative meaning of diatoms, pollen and botanical macro fossils for the reconstruction of palaeoenvironments and sea-level fluctuations along the coast of Lower Saxony; Germany, Quaternary International, 112, 71-87. 

  5. Harrison, P.J. and Turpin, D.H., 1982. The manipulations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to select species from natural phytoplankton community. In Marine Mesocosm. 275-289. 

  6. Hwang, S.I., 1998, The Holocen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ea-Level Change at Ils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3(2), 143-163. 

  7. Hwang, S.I., Yoon, S.O. and Jo, W.R., 1997, The change of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n Dodaecheon River Basin during the Middle Holocen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2(4), 403-420. 

  8. Jo, W.R., 1986,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Plain in the Man-Kyong River Sid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8, 19-35. 

  9. Kashima, K., 2003, The quantitative reconstruction of salinity changes using diatom assemblages in inland saline lakes in the central part of Turkey during the Late Quaternary, Quaternary International, 105, 13-19. 

  10. Kato, M., Tanimura, Y., and Fukusawa, H., 2004. Survival strategy of diatom species living on now-depositing non-glacial varves, Quaternary International, 123-125, 21-26. 

  11. Kelly, M.G. and Whitton, B.A. 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7, 433-444. 

  12. Lapointe, M., 2000. Modern diatom assemblages in surface sediments from the marine estuary and the gulf of St. Lawrence, Quebec Canada. Marine Micropaleontology, 40, 43-65. 

  13. Lee, C.H., Chun, Y.G., Jo, Y.H. and Suh, M.,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and deterioration degree for Bangudae Petroglyphs in Ulsa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2), 153-164. 

  14. Lee, S.H. and Cho, H.J., 2013,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change due to water level control of sayeon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1), 1069-1078. 

  15. Lee, Y.G., Park, Y.A. and Choi, J.Y., 1994, Sedimentary facies and micropaleotological study of the tidal sediment in the Northwestern Part of Namyang Bay,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0(1), 26-40. 

  16. Lee, Y.G., Park, Y.A. and Choi, J.Y., 1995, Sedimentary facies and micropaleontological study of tidal sediments off the Mankyung-Dongjin River estuary, west coast of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30(2), 77-90. 

  17. Lee, Y.J. and Lee, I.K., 1972, Explo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Eon Yang Sheet. Geological Survey of Korea, 1-20. 

  18. Lim, J.D., Kong, D.Y., Kim, T.H., Jeong, S.H. and Yu, Y.W., 2012, Geological heritage around of Daegokcheon Petroglyphs group, Uls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87 p. 

  19. Lius, A.T., Teixeira, P. Almeida,S.F.P., Ector, L., Matos, J.X and da Silva, E.A.F. 2009. Impact of acid mine drainage (AMD) on water quality, stream sediments and periphytic diatom communities in the surrounding streams of Aljusttrel mining area (Portugal).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00, 147-167. 

  20. Lobo, E.A., Callegaro, V.L.M., Hermany, G., Bes, D., Wetel, C.A. and Oliveira, M.A., 2004. Use of epilithic diatoms as biondicators from lotic systems in southern Brazil, with special emphasis on eutrophication. Acta limnol. Bras., 16(1), 25-40. 

  21. Mitbavkar, S. and Anil, A.C., 2002. Diatoms of the microphytobenthic community: population structure in a tropical intertidal sand flat. Mar. Biol., 140, 41-57. 

  22. Negro, A.I., De Hoyos, C. and Aldasoro, J.J. 2003. Diatom and desmid relationships with the environment in mountain lakes and mires of NW Spain. Hydrobiologia. 505, 1-13. 

  23. Ojala, A.E.K., Heinsalu, A., Saarnisto, M., and Tiljander, M., 2005, Annually laminated sediments date the drainage of the Ancylus Lake and early Holocene shoreline displacement in central Finland, Quaternary International, 130, 63-73. 

  24. Ryu, E., Nahm, W-H., Yang, D-Y., and Kim, J-Y., 2005, Diatom Floras of a Western Coastal Wetland in Korea: Implication for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41(2), 227-239. 

  25. Scherer, R.P., 1994.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bsolute abundance of diatoms and other silt-sized sedimentary particles. Journal of Paleolimnology, 12(2), 171-180. 

  26. Shim, J.H., 2003, Plankto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348 p. 

  27. Strenger-Kovacs, C., Lengyel, E., Crossetti, L.O., Uveges, V. and Padisak, J. 2013. Diatom ecological guilds as indicators of temporally changing stressors and distribances in the small Torna-stream, Hungary. Ecological Indicators. 24, 138-147. 

  28. Tien, C.J., 2004, Some aspects of water quality ina polluted lowland river in relation to the intracellular chemical levels in planktonic and epilithic diatoms Chien-Jung Tien, Water Research 38, 1779-1790. 

  29. Vos, P.C. and Gerrets, D.A., 2005, Archaeology: a major tool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oastal evolution of Westergo (northern Netherlands), Quaternary International, 133-134, 61-75. 

  30. Yabe, H., Yasui, S., Urabe, A., and Takahama N., 2004, Holocene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ferred from the diatom records of the Echigo Plain, central Japan, Quaternary International, 115-116, 117-130. 

  31. Werner, D., 1977. The biology of diatoms. Botanical Monographs. 13, 498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