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구대 암각화의 주기적인 침수와 구성암석의 풍화 특성
Periodic Immersion of the Bangudae Petroglyphs and Rock Weathering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5 no.3 = no.138, 2010년, pp.342 - 359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박경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구대 암각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동에 위치하며,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1965년 사연댐 건설 이후 연중 수개월 정도 침수되면서 수분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암각화가 훼손되는 것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었다. 본 연구는 반구대 암각화 기반암의 수분등치선도를 작성하여 절리나 박락(剝落) 분포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반구대 암각화의 함수율은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높았다. 이것은 침수된 기간의 길이와 관계된 것이다. 그리고 절리 밀도가 높은 암각화의 상부도 함수율이 높았다. 암석 내 흡수율이 증가하면 투수계수와 공극률이 증가하므로 함수율은 증가한다. 침수로 인해 암석 내에 공극들이 주기적으로 물로 포화되는 반구대 암각화는 수분에 의한 풍화로 훼손이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ngudae Petroglyphs locate at Bangudong, Daegok-ri, Eonyang-eup, Ulju-gun, Ulsan and was designated as the No. 285 national treasure since 1995. After the construction of Sayeon-dam in 1965, there were many controversies of the rock weathering problems by the periodic immersion for approximate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구대 암각화는 국보 제 몇 호 인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동에 위치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는 선사인의 생활상을 유추해볼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암각화로 평가되어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고고학, 인류학, 지리학, 해양학, 미술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 걸쳐 유용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시기는 구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Hwang and Yoon (2000)은 Holocene 해진극상기인 6,000~7,000년 BP 경 암각화 제작이 시작되었고 청동기시대가 시작될 즈음 더 이상 만들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분이 암석을 풍화시키는 과정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수분은 암석을 풍화시켜 석조문화재를 파괴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암석에 형성된 절리를 따라 침투한 수분은 동결되면 부피가 팽창하여 절리를 확장시키고 나아가 암석을 파괴한다. 또한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는 암석의 구성광물과 반응하여 다양한 풍화잔류물을 형성하면서 물리적, 화학적 풍화작용을 일으켜 암석을 훼손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공되는 무기산과 공극은 조류, 선태류, 지의류 또는 고등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면서 생물학적 풍화작용이 가속된다(Choi et al., 2001; Lee et al.
반구대 암각화의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이유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동에 위치하고 있는 반구대 암각화는 선사인의 생활상을 유추해볼 수 있는 세계적 수준의 암각화로 평가되어 1995년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고고학, 인류학, 지리학, 해양학, 미술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에 걸쳐 유용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시기는 구석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Hwang and Yoon (2000)은 Holocene 해진극상기인 6,000~7,000년 BP 경 암각화 제작이 시작되었고 청동기시대가 시작될 즈음 더 이상 만들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i, S. W., Lee, C. H., and Suh, M., 2001, Occurrences,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scheme of Dojeonri standing sculptured Buddha statues in the Sancheong,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3), 393-406 (in Korean). 

  2. Do. J. Y., 2003, Rock characteristics of Bangudae petroglyphs, Ulsan Metropolitan City, 95-108 (in korean). 

  3. Hwang, S. and Yoon, S. O., 1995, Bangudaerockgraving-picture and environmental change in the Ulsan-Bay on the period of late- Postglacial,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9(1), 1-18 (in Korean). 

  4. Hwang, S. and Yoon, S. O., 2000, The change of physical environment during Holocene and human life of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aehwa River in Prehistoric times in Ul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Hanguk Kogo-Hakbo, 43, 67-112 (in Korean). 

  5. Jo, H. J., 2009, Review of Water Supply Capacity by Water Level Control of Sayeon Da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조홍제, 2009, 사연댐 수위 조절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검토, 국토해양부). 

  6. Joag, A. P. and Lele, V. S., 1981, Statistical prediction formula for compressive strength of a rock, Rock Mechanics, 13, 215-220. 

  7. Kim, Y. S. and Park, S. H., 199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s(In Taegu, Kyungpook area),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3, 17-28 (in Korean). 

  8. Kim, Y. S., Lee, S. B., and Jung, S. G., 1995,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sedimentary rock soil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1(4), 66-74 (in Korean). 

  9. Kim, Y. S., Heo, N. Y., Jeong, W. S., Rui, D. H., and Lee, J. H., 2002, Physical and chemical variation of sedimentary rocks due to weathering,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3(2), 49-60 (in Korean). 

  10. Lama, R. D. and Vutukuri, V. S., 1978,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Trans. Tech. Publications., 4, 317-350. 

  11. Lee, C. H., Lee, M. S., Suh, M., and Choi. S. W, 2003,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botap Pagoda in the Bulguksa Templ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9(3), 319-335 (in Korean). 

  12. Lee, S. H., 2003, The phenomena of the damages and geological conservation plan on the petroglyphs in the country, The Study of Korean Petroglyph, 4, 71-91 (in Korean). 

  13. Lee, S. H. and Kim, S. J., 2004,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rocks affected by periodical submerging,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7(1), 23-35 (in Korean). 

  14. Nesbitt, H. W. and Yong, G. 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or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715-717. 

  15. Park, K. G., 2005, A study of Weathering of the Granite Stone Buddhist image-Focusing on the Stone Buddha statue of the Gulbulsa site,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16. Parker, A., 1970, An index of weathering for silicate rocks, Geological Magazin, 501-504. 

  17. Shin, B. W., Lee, B. J., and Song, S. H., 1994a, A study on the absorptional properties in rock specime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al technology, 13(1), 129-139 (in Korean). 

  18. Shin, B. W., Shin, J. H., and Lee, B. J., 1994b,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bsorption properties by rock streng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9(4), 112-118 (in Korean). 

  19. Shin, B. W., Lee, B. J., Bae, W. S., and Shin, D. J, 1998, A study of characteristic of sedimentary rock with weathering,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12(1), 387-395 (in Korean). 

  20. Shim, D. S., Park, B. S., and Lee, J. H., 2000, A study on correlations among physical properties of rock, Korea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 51-64 (in Korean). 

  21. Song, M. Y. and Hwang, I. S., 1993,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arth crust material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2) : Comparison between elastic velocity and point-load of core specimen of sedimentary rock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3(1), 21-37 (in Korean). 

  22. Ulsan Metropolitan City, 2003, Damage Diagnosis on the Bangudae Petroglyph and Its Conversation Scheme,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광역시, 2003,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연구, 울산광역시). 

  23. Yun, J. B., 2000,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perties of Rocks, Master Thesis, Chongju University, Korea (in Korean). 

  24. http://www.kores.or.kr/ 

  25. http://seokjae.com/kr/cgi/read.cgi?boardstone&nnew2&y_number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