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이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수업 실행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in Teaching Practice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6년, pp.98 - 110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  장병기 (춘천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The participants were n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practical training at an elementary school and took classes related to techno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 초등교사들이 실습에서 겪는 여러움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은 실습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윤혜경(2004)에 따르면 예비 초등교사들은 과학지식 및 개념과 관련된 어려움과 실험 실습 관련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 역시 앞서 윤혜경(2004)이 보고한 바와 같이,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수업을 하면서 ‘학생수준에 대한 이해’, ‘교사 자신의 불충분한 내용지식’, ‘실험지도, 안전 및 과학실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TPACK은 무엇인가? 그 전문성과 관련하여 제안된 개념이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ech- 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이하 TPACK)이다. TPACK은 Shulman(1987)의 교수내용지식(pedago- 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을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확장하여 구성한 것이다(Mishra & Koehler, 2006). TPACK은 PCK와 마찬가지로 내용지식(CK), 교수지식(PK), 테크놀로지지식(TK)의 교집합을 나타내며(Khehler & Mishra, 2008), 교사 내에서 이 세 지식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TPACK을 형성하게 된다.
교과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성에 관련해 제안된 개념은? 이러한 교육이 현장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과교육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 전문성과 관련하여 제안된 개념이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ech- 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이하 TPACK)이다. TPACK은 Shulman(1987)의 교수내용지식(pedago- gical content knowledge: 이하 PCK)을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확장하여 구성한 것이다(Mishra & Koehler,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경희(2009).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80-591. 

  2. 강훈식, 김은경, 최숙영, 노태희(2010). 교육실습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61-274. 

  3. 강훈식, 유지연, 김경순, 이정순, 노태희(2009).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50-462.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실행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부(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 지침-해설서(교육과정 자료 2000.12). 서울: 교육부. 

  6.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9). 서울: 교육부. 

  7. 나지연, 송진웅(2014). 테크놀로지 도입에 대한 과학교육학 연구동향의 분석 및 과학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PCK)을 위한 시사점. 교사교육연구, 53(3), 511-524. 

  8.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9. 배성아, 안정희(2014).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393-417. 

  10.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11.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12. 윤혜경, 심재규, 박승재(1997). 물리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실습 과정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89-299. 

  13.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2013).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14.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15. 최무영(200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서울: 책갈피. 

  16. Angeli, C. & Valanides, N. (2009).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Computers & Education, 52(1), 154-168. 

  17. Bergmann, J. & Sams, A. (2012).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18. Jimoyiannis, A. (2010).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science knowledge 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uters & Education, 55, 1259-1269. 

  19. Koehler, M. J. & Mishra, P. (2008). Introducing TPCK. 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Ed.),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for Educators (pp. 3-29). NY: Routledge. 

  20. McCrory, R. (2008). Science, technology, and teaching: The topic-specific challenges of TPCK in science. 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 (Ed.),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 for Educators (pp. 193-206). NY: Routledge. 

  21.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 teachers'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 1017-1054. 

  22. Niess, M. L. (2009). Mathematics teacher TPACK standards and revising teacher preparation. From http://math.unipa.it/-grim/21_project/Niess445-449.pdf 

  2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2010). Fre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Retrieved April 28, 2015, from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24.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5. Schmidt, D. A., Baran, E., Thompson, A. D., Mishra, P., Koehler, M. J. & Shin, T. S. (2009).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2(2), 123-149. 

  26.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27. Solomon, G. & Schrum, L. (2007). Web 2.0: New tools, new schools. 엄우용, 최명숙, 박은실 역(2009). 웹 2.0과 교육.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