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gruity between Self-Image and Image of a Multi-Brand Store on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 Respons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1, 2016년, pp.12 - 25  

김가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self-congruity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ngruity between multi-brand store image and consumers' self-image affect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 responses. A total of 331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1) 'Sophistication' as the cong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ark and Lee(2009)도 소비자가 패션 점포의 VMD 적합성을 보고 느끼는 긍정적 감정이 쇼핑 환경과 제품 품질 지각과 같은 인지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점포에서 느끼는 새롭거나 특별한 감정적 반응이 점포에 대한 이해나 정보에 대한 인지적 반응과 구매, 재방문 등과 같은 행동적 반응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그러나 편집숍이 보여주는 점포의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점포속성과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노력으로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측정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관계를 밝힘으로써 편집숍과 자아일치성에 관한 연구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간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 평과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따라서 자아일치성 이론을 바탕으로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을 측정하였고,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들을 참고하여, 편집숍을 이용한 일반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중심으로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6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대상자 개인의 편집숍 구매 경험에 대한 5문항,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 측정 30문항, 점포 속성 평가 측정 13문항, 소비자의 감정, 인지, 행동 반응 측정 15문항, 마지막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6문항들로 총 6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간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 평가와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단일 브랜드를 기반으로 한 점포 개성을 측정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본 연구는 편집숍을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하나의 점포의 개념으로 보았으며, 이를 점포 개성의 영역으로 자아일치성 이론을 확장한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편집숍을 중심으로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소비자의 점포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두 편집숍을 선정하여 이 두 편집숍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간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 평과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였다. 따라서 자아일치성 이론을 바탕으로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을 측정하였고,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Park and Jung(2010)은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점포 친밀성, 점포 만족에 영향을 주며 최종적으로 점포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Aaker(1997)의 개성척도를 이용하여 편집숍 점포를 하나의 컨셉을 가진 브랜드로 인지하고 점포 개성을 측정하며, 같은 방법으로 점포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를 측정하고 둘 간의 일치성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이처럼 점포 속성에 대하여 모든 연구자가 다차원적인 평가 기준을 제시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점포 선택에 있어서 다양한 점포속성이 소비자들에게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주요 차원들로 지각된 점포 속성이 소비자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편집숍을 여러 가지의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하나의 단일화된 개성을 가진 점포로 보고 점포 개성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를 측정한다. 선행연구들은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 간의 일치성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주로 연구하였으며, 단일 브랜드로 구성된 브랜드 개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Sirgy, 198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에 초점을 두고, 이들이 점포속성과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노력으로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측정이 점포 속성과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관계를 밝힘으로써 편집숍과 자아일치성에 관한 연구분야에 학문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나아가 편집숍 업계에 여러 가지 마케팅 전략에 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적절한 마케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향후 다른 패션 관련 산업에 대한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H2는 편집숍의 점포 속성이 소비자의 감정적, 인지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유의한 경로들의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점포속성평가의 ‘분위기’ 요인은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2=0.
  • 가장 근간이 되는 연구학자인 Meharabian and Russell(1974)은 점포 속성에 의한 소비자의 감정 반응으로 소비자의 행동적 반응이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Bigné and Andreu(2004) 또한 소비자의 감정이 좋을수록 긍정적인 행동 의도가 발생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반응을 감정, 인지, 행동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고, 자아일치성에 의해 불러일으켜진 감정적 반응이 인지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반응이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세웠다.
  • H5. 편집숍에 따른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 일치성, 점포 속성, 소비자 반응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1. 편집숍의 점포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점포 속성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집숍은 무엇을 뜻하는가? 편집숍은 주로 가치 중심의 소비를 지향하는 소규모의 소비자 집단을 표적 소비자로 설정하여, 그 고객 집단의 취향에 맞게 서로 다른 브랜드나 디자이너의 제품을 일정한 컨셉 하에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전문점을 뜻한다(Kim, 2008). 현재의 편집숍이란 용어는 패션 전문점(Specialty Store)이라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Achrol & Kotler, 1999).
편집숍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편집숍은 최근 몇 년 전부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성장기를 넘어 성숙기로 도약 중이다. 과거에는 고가의 해외 명품을 위주로 판매하는 하이엔드 편집숍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 대중을 타깃으로 하는 합리적 가격의 패션 캐주얼 의류 편집숍이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잡화, 스포츠웨어, 데님 등으로 세분화된 형태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어떤 패션 유통 채널의 등장으로 패션 유통 산업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는가? 최근 패션 유통 업계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다양한 패션 유통 채널의 등장이다. 편집숍, SPA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Flagship Store), 엔터테인먼트 복합 쇼핑몰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등장하였으며, TV 홈쇼핑, 온라인 스토어, 카탈로그, 모바일 쇼핑 등의 다양한무점포쇼핑채널이성장하여패션유통산업내경쟁이 보다 심화되고 있다(Kim, 2008). 패션 유통 기업과 브랜드들은유통업계의변화에발맞추어변화하려는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경쟁 기업들과는 차별화된 개성 있고 참신한 기업 혹은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 Research, 34(3), 347-356. doi:10.2307/3151897 

  2. Aaker, J. L. (1999). The malleable self: The role of self-expression in persua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6(1), 45-57. doi:10.2307/3151914 

  3. Achrol, R. S., & Kotler, P. (1999). Marketing in the network economy. Journal of Marketing, 63, 146-163. doi:10.2307/1252108 

  4. Albers, S., Krafft, M., & Mantrala, M. (2010). Special section on enhancing sales force produ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7(1), 44-45. 

  5. Bagozzi, R. P., Belschak, F., & Verbeke, W. (2010). The role of emotional wisdom in salespersons'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customers. Psychology & Marketing, 27(11), 1001-1031. doi:10.1002/mar.20370 

  6. Bigne, J. E., & Andreu, L. (2004). Emotions in segmentation: An empirical study.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3), 682-696. doi:10.1016/j.annals.2003.12.018 

  7. Choe, W. S., & Kwon, J. G. (2009).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that store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congruency gets to customer attitude.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7(2), 125-144. 

  8. Choi, B. B. (2008). Effects of new consumer lifestyle on evolution of fashion multi-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9. Fournier, S. (1998). Consumer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4(4), 343-373. doi:10.1086/209515 

  10. Ham, M. J. (2014, June 25). 에이랜드, 명동점 숨겨진 비밀은? [A-Land, What's the hidden secret in the store of Myungdong?] Fashionbiz. Retrieved September 12, 2014,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40595 

  11. Hirschman, E. C. (1978). A descriptive theory of retail market structure. Journal of Retailing, 54(4), 29-48. 

  12. Hong, K. H. (2002). The influence of shopping motives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fashion stor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2), 216-226. 

  13. Jeong, H. S., & Kim, Y. S. (2003). The effects of consumer's store image and brand image, and instore emotions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8(3), 1-28. 

  14. Ji, S. G., & Lee, H. J. (2006). In-stor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ciew, 9(3), 43-69. 

  15. Jones, M. A., & Reynolds, K. E. (2005). The role of retailer interest on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82(2), 115-126. doi:10.1016/j.jretai.2005.05.001 

  16. Kim, H. S. (2011). Study on store identity based on the consumer segmentation analysis of imported apparel brand-Focused on the traditional casual brand in domestic department sto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17. Kim, H. S. (2013, March 12). 백화점 편집매장, 만물상처럼 바뀌네 [Department store change as the general market]. Economy dongA.com. Retrieved April 2, 2014, from http://economy.donga.com/3/all/20130312/53626509/3 

  18. Kim, J. Y., & Lee, E. Y. (2004).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product quality, price on store patronage for apparel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2-21. 

  19. Kim, N.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shop in fusion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20. Kim, S. Y. (2010). Classifications of Korean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their strategic dire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1. Kim, T. H. (2008, October 13). 패션유통시장의 新트렌드 [New trend of fashion retailing]. Korea Investors Service. Retrieved September 12, 2014, from http://www.kisrating.com/research/totalsearch.asp 

  22. Ko, A. R., & Jin, B. (1995).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s,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use of information sources for outlet store patronag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1), 104-114. 

  23. Korea Fashion Association. (2012, May 23). 편집숍 열풍, 슈즈 멀티숍이 이끈다 [Fever of multi-brand store, is led by shoes stores]. KFA. Retrieved March 5, 2014, from http://www.koreafashion.org/_Html/information/fa_news_view.asp?cataIdx104&boardIdfsNews&clientIdx11270&num5980&pageNum564&SrchItem&SrchWord 

  24. Kwon, S. K., Chang, D. R., & Kim, T. S. (2010). A study on the identity of integrated brand of high-teen fashion multishop: Focusing on the case of 'Cool Casual' development in Lotte Department Sto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5), 91-102. 

  25. Lee, H. J., & Park, E. J. (2000). Effects of the purchasing situation in store on apparel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hopping motivat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3), 349-359. 

  26. Lee, J. E. (1999). A study of the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tore attributes on store choice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Lee, J. S. (2008). A study on the store patronizing behaviors of the customers of domestic imported fashion multi-sho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8. Lee, K. Y., Baek, J. H., & Park, K. D. (2010). Effects of consumers' experience of brand shop on brand equit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8(2), 83-104. 

  29. Lee, S. H., & Jo, S. (2007). The effects of multi-shop's store image on the store loyalty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 (1), 51-61. 

  30. Lim, N. R. (2012, July). 21세기의 디자인, 소비자, 유통 구조를 변화시킨 편집매장 [Multi-brand store that changed the design, consumer,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 the 21st century]. Designhouse. Retrieved July 12, 2014, from http://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2/60301?per_page46&sch_txt 

  31. Lyu, M. S. (2013).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ore attributes of duty free stor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3(3), 19-37. 

  32. Martineau, P. (1958). The personality of the retail store. Harvard Business Review, 36(1), 47-55. 

  33. Mehrabian, A., & Russell, J. 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dge, MA: The Mit Press. 

  34. Na, Y. K., & Oh, W. G. (2010). A study on fashion store attributes and brand equity according to lifestyle and brand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3), 97-114. 

  35.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36. Oh, H., Fiore, A. M., & Jeoung, M. (2007). Measuring experience economy concepts: Tourism applic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6(2), 119-132. 

  37. Oh, J. (2009). The study of luxury fashion multi-label store's marketing strategies-focusing on women's luxury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8. Park, E. J., & So, G., S. (2000). Effects of affective factors on apparel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3), 361-372. 

  39. Park, H. Y., & Jung, G. O.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tore attribute and store personality on store sele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hopping value and prior knowledge.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5(1), 139-166. 

  40. Park, J. O., & Lee, E. K. (2005).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on in-store shopp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8), 1196-1206. 

  41. Park, M. (2000). The effects of brand personality, self-image and perceived brand quality on brand attitude: Case of net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2. Park, M., & Lee, S. E. (2009). The effect of VMD image appropriateness on consumers' affective, cognitive, and cognitive responses-Testing models based on the emotion-cognition theory and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3), 459-471. 

  43. Peter, J. P., & Olson, J. C. (1996).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4th ed.). Chicago, IL: Irwin. 

  44. Richins, M. L. (2011). Materialism, transformation expectations, and spending: Implications for credit use. Journal of Public Policy & Marketing, 30(2), 141-156. doi:10.1509/jppm.30.2.141 

  45. Russell, J. A., & Pratt, G. (1980). A description of affective quality attributed to environ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2), 311-322. doi:10.1037/0022-3514.38.2.311 

  46. Shim, S., &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I. Shopping orientations, store attributes, information sourc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lothing &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48-57. 

  47. Shin, H. J. (2011, December). 패션산업 동향 [Fashion industry trends].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Retrieved October 26, 2013, from http://www.kofoti.or.kr/bbs/data/111212_data_22.pdf 

  48. Shin, J. K., & Kong, H. K. (2005). The effects of store image on private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s-Comparison of national distributors with local distributors in Pusan-.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5(2), 49-69. 

  49. Shin, J. K., Park, M. S., Oh, M. O., & Heo, J.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e attribute and store personality of SPA brand on store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21(2), 23-44. 

  50.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3), 287-300. 

  51. Sirgy, M. J., Grewal, D., & Mangleburg, T. (2000). Retail environment, self-congruity, and retail patronage: An integrative model and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2), 127-138. doi:10.1016/S0148-2963(99)00009-0 

  52. Yi, W. H., Kim, S. O., Lee, S. Y., & Youn, M. G. (2012). Study on the effects of shop choice properties on brand attitudes: Focus on six major coffee shop brands.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10(3), 51-61. 

  53. Yi, Y., & La, S. (2002). Brand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brand equity mode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users. Korean Marketing Review, 17(3), 1-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