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와 중국 우주발사체에 적용된 미국의 비확산정책 연구
Study of the U.S. Missile Non-proliferation Policy Applied on Space Launch Vehicles of India and China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0 no.4, 2016년, pp.59 - 66  

최남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초록

1950-1960년 대 인도와 중국은 미국, 서방국가, 그리고 구소련에게서 받은 로켓 기술을 바탕으로 발사체 개발을 수월하게 이룰 수 있었다. MTCR이 출범한 1987년 이후, 1990년 대 초를 제외하고는 양국이 MTCR 체제 밖에 있었으며, 미국과의 주요 우주분야 협력 이력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며 인도는 미국과 우주협력 관계로 진입하고 미국의 비 상용 위성을 인도발사체를 이용한 발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반면 미국은 중국과의 우주발사체 협력은 물론 우주협력에 회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도와 중국 발사체에 적용된 미국의 미사일 비확산정책을 살펴보고 적용된 정책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a and China are capable of developing indigenous space launch vehicles, with the rocket technology transferred from the U.S., Western countries, and the Soviet Union, in the 1950s and 1960s. Barring the early 1990s, both countries are absent in the missile nonproliferation regime, and have no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TCR 회원 가입은 전 회원국의 승인이 있어야 가능하다. 21세기 들어서며 양국에 다르게 적용된 미국의 정책의 차이점을 이끈 배경에 대한 이 연구의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이에 1993년 8월 클린턴 정부는 또 중국과 파키스탄 기관에 제재를 가하였다. 미사일을 수출한 중국 기관에 대해 제재를 가하였다. 미국의 고속 컴퓨터, 미사일 부품, 위성 부품을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금하였고, 중국 발사체로 미국 위성의 발사를 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미사일비확산정책이 인도 발사체 및 중국발사체의 개발과 운영과정 중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정책적용의 유사점, 차이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교훈을 얻고자하였다.
  • 인도와 중국의 발사체 개발과 운용에 적용된 미국의 미사일비확산정책의 진화를 살펴보았다. MTCR 출범 전 양국은 미국을 비롯해 서방국가, 그리고 구소련의 기술적 지원으로 발사체 개발을 수월하게 이룰 수 있었고 MTCR이 출범한 1987년 이후 1990년 대 초를 제외하고는 양국이 MTCR 체계 밖에 있었으며 미국과의 우주분야 협력 및 국방 분야의 협력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확산이란? 비확산이란 대량살상무기 또는 이를 운반할 수 있는 미사일의 전 세계적 확산을 막기 위해 이들의 보유를 최소한의 국가에 한정하는 것을 말한다. 비확산정책은 보유국의 생산기술 및 품목의 수출을 통제하도록 하여 신규국가가 이들에 관한 개발을 더디게 하는 방향으로 구현되며, 비확산정책을 공유하는 국가들은 다자간 체제를 결성함으로써 이들의 전 지구적 확산을 제약하고 있다.
인도와 중국 발사체의 다른점은? 인도와 중국 발사체는 1950~1960년 대 미국 및 구소련 양국이 과학기술을 진작시키며 각 진영의 영향력을 넓히고자 발사체 및 단거리 로켓기술을 신흥국에 이전하여 그 혜택을 보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14]. 그러나 다른 점은 인도는 발사체 SLV-3 를 먼저 개발하고 그 기술을 탄도미사일 Agni에 접목시킨 반면, 중국은 미사일을 먼저 개발하고 그 기술을 발사 체에 적용하였다. 두 국가가 발사체와 미사일 중 먼저 개발하기 시작한 로켓은 다르지만 양 국은 발사체와 탄도미사일 간 기술 공유를 했다는 점에서는 같다.
다자간 비확산체제는 무엇이 있는가? 비확산정책은 보유국의 생산기술 및 품목의 수출을 통제하도록 하여 신규국가가 이들에 관한 개발을 더디게 하는 방향으로 구현되며, 비확산정책을 공유하는 국가들은 다자간 체제를 결성함으로써 이들의 전 지구적 확산을 제약하고 있다. 다자간 비확산체제는 핵공급자그룹(Nuclear Suppliers Group), 오스트리아그룹(Australia Group), 바세나르체제(Wassenaar Arrangement), 미사일기술 통제체제(MTCR;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가 있다. 핵공급자그룹은 핵무기, 오스트리아 그룹은 생화학무기, 바세나르체제는 대량살상무기 관련 이중용도 기술과 고급 전통무기, 미사일통제체제는 이들을 운반할 수 있는 미사일기술을 각각 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U.S. Government, National Space Transportation Policy, November, 2013. 

  2. N. Choe, "Unites States' Asia Pacific Rebalance in the Space : The Emphasis on Space Security,"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Vol. 13, No.1, pp. 43-50, June, 2015. 

  3. G. Milhollin, "India's Missiles-With a Little Help From Our Friends,"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Vol. 45, No. 9, pp. 31-35, November, 1989. 

  4. D. Mistry, Containing Missile Prolifer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United State America, pp. 160-191, 2003. 

  5. W. Q. Bowen, The Politics of Ballistic Missile Nonproliferation, Macmillan Press Ltd, Great Britain, pp. 13-142, 2000. 

  6. V. Zaborsky "Missile Proliferation Risks of International Space Cooperation," World Affairs, Vol. 156, No. 4, pp. 185-195, Spring 2003. 

  7. P. Custers,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U.S.-India Nuclear Deal," Monthly Review, Vol. 61, Issue 4, September, 2009. 

  8. U.S. Department of State, U.S.-India Joint Statement, July, 2009. 

  9. B. Gopalaswamy, "Indo-U.S. Space Cooperation: Aiming Higher," Center for Strategic & International Studies, Vol. 1 Issue 2, August, 2011. 

  10. V. Samson, "Indi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n Space: Partners, Competitors, Combatants? A Perspective From the United States," Secure World Foundation, pp. 422-439, November, 2011. 

  11. P. Parameswaran, "India Finally Joins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The Diplomat, June, 2016. 

  12. D. Feng, "Chinese aerospace industry celebrate 60 years of ling march," China Space Report, October, 2016. 

  13. W. Bowen, "U.S. Policy on Ballistic Missile Proliferation: The MTCR's First Decade(1987-1997)," The Nonproliferation Review, pp. 21-39, Fall, 1997. 

  14. N. Choe, "U.S. Missile Nonproliferation Policy and India's Space Launch Vehicle," 2016 Society for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Spring Conference, May, 2016. 

  15. A. Sharma, "The U.S-India Strategic Partnership: An Overview of Defense and Nuclear Courtship," Georgetow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Jul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