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볶음 조건에 따른 발효 콩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oybean Roasted on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1 no.6, 2016년, pp.643 - 651  

유민정 ((주)오뚜기 마케팅실) ,  최남순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soybean roasted with different conditions for making chungyukjang. Roasted condition of soybean was decided by pre-test, which was on $140^{\circ}C$ for 21 min, $180^{\circ}C$ 9.5 mi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청육장의 전통적인 제조방법인 콩의 볶음공정을 기계를 이용하여 재현하여 표준화함으로써 청육장 제조의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콩의 볶음조건을 재현하고, 기계를 이용하여 콩의 볶음 온도와 볶음 시간을 달리하여 전통적인 방식의 콩 볶음 상태와 같도록 볶음 온도에 따라 콩을 볶는 시간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는 이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청국장과 같은 속성 장류의 하나로서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는 청육장의 제조 과정 중 콩의 볶음 조건을 설정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볶음 콩의 발효 방법을 표준화하고, 청육장의 제조방법을 재현함으로써 전통 장류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의 제조 측면의 장점은 무엇인가? 2008; Park 2003). Bacillus 계통의 미생물에 의해 속성으로 발효시키는 대표적인 장류인 청국장은 다른 장류에 비해 발효시간이 짧아 단기간에 제조가 가능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상승 억제 효과, 항암, 항산화, 항균효과, 항돌연변이효과, 면역증강활성, 혈전용해 및 골다공증 예방 등 다양한 효과가 알려지면서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Kim et al. 1995; Cho et al.
대두에 함유된 isoflavone의 효능은 무엇인가? 이러한 장류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이 풍부하여 쌀에서 부족한 영양성분을 섭취하는 수단이었으며, 최근에는 생리활성물질의 함유와 기능성 효과로 인해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대두에 함유된 isoflavone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와 활성을 가지며, 골다공증 예방 효과 뿐 아니라 항암활성과 항산화활성에 의한 심혈관질환 억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m et al. 2008; Park 2003).
청국장의 점질성은 어떤 성분에서 나타나는 특징인가? 청국장은 주원료인 콩을 삶아 볏짚 위에 담아 40~45°C에서 2~3일간 보온하여 발효 숙성시켜서 제조하며, 고초균 (Bacillus subtilis)등이 생산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콩 단백질이 가용성 질소 화합물인 peptone, polypeptide 등으로 전환 되어 소화흡수율이 높아진다. 또한 글루탐산과 과당으로 구성된 fructan이라는 물질이 혼합되어 끈끈한 점질성 화합물이 생성되고 구수한 맛과 고유의 방향을 갖는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우수한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황기, 키토산, 다시마 등의 기능성 소재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ieuijunseo (是議全書). End of 1800's. In: Lee HJ editor. 2004.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p 169 

  2.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365 

  3. Bang SY. 1934. Josun yorijebup (朝鮮料理製法) Hansung Publishers, Seoul, Korea. pp 81-82 

  4. Binghugak Lee (憑虛閣 李氏). 1809. Kyuhapchongseo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1992. Bojinjae Co., Kyongggido, Korea, pp 37-38 

  5. Cheigh HS, Lee JS, Lee CY.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5):570-575 

  6. Cho YJ,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Appl. Biol. Chem., 43(4):247-252 

  7.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4):356-363 

  8. Choi UK, Son DH, Ji WD, Im MH, Choi JD, Chung YG. 1998.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840-845 

  9. Choi YH, Lee JS, Bae SY, Yang KJ, Yeom KW, Jo DH, Kang OH, Baik HS. 2013. Isolation of Bacteria with Protease Activity from Cheonggukjang and Purification of Fibrinolytic Enzyme. J. Life Sci., 23(2):259-266 

  10. In JK, Lee SK, Ahn BK, Chung IM, CH Jang. 2002. Flavor Improvement of Chungkookjang by Addi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Nutr., 34(1):57-64 

  11. Jang YM. 2004. Research on Quality Improvement of Chungkookjang by Bacillus subtilis. Master's degree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 p 76 

  12. Jung YK, Lee YK, No HK, Kim SD. 2006. Effect of Chitosa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476-481 

  13. Kim DH, Yook HS, Youn KC, Cha BS, Kim JO, Byun MW. 2000.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Chungk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896-901 

  14. Kim HJ, Sohn KH, Chae SH, Kwak TK, Yim SK. 2002. Brown Color Characteristics and Antioxidizing Activity of Doenjang Extracts. Korean J. Food Cook. Sci., 18(6):644-654 

  15.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 41(5):377-383 

  16. Kim SM, Lee CJ. 2004. A study on Manufacturing of Korean Sauce Described in "Jeungbosallimgyeongje". J. East Asian Sco. Diet. Life, 14(3):175-186 

  17. Kim YT, Kim WK, Oh H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jang. Korean Soc. Appl. Microbiol., 23(1):1-5 

  18. Lee EJ, Kim JK. 2004. Characteristic Flavor Compounds of Traditional Korean Chongkukjang. Food Sci. Biotechnol., 13(5):566-571 

  19. Lee EJ, Kim JK. 2004. Characteristics of Taste Components of Chongk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Food Sci. Biotechnol., 13(5):572-575 

  20.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Food Science & Industry, 38(2):69-78 

  21. Lee KH, Kim YM, Lee YS, Moon GS. 2005. Historical Change and Bio-Functionality of Chungyu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 Paste. Korean Soybean Digest, 22(1):57-64 

  22. Lee SW. 1984. The history of Korean food and culture (韓國食品文化史) Kyomunsa, Seoul, Korea. pp 16-17 

  23. Lee, SW. Park, YW. Han, YS. Chang, PS. Lee, JM, Kim YS, Lee JH. 2009. Changes in Isoflavone Profiles during Cheongyukjang Preparation, A Traditional Banga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41(2):141-145 

  24. Lim AK, Jung HK, Hong JH, Oh JS, Kwak JH, Kim YH, Kim DI. 2008. Effects of the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302-308 

  25. Miller CY. 1959. Use of dinitrosalysi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32 

  26. Park SN. 2003.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35(3):510-518 

  27. Park TK, Jeon BS, Kim SC, Chang JK, Lee JT, Yang JW, Shim KH. 2003.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Chicory Roots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Korean J. Medical Crop Sci., 11(3):179-185 

  28. Ryu JL (柳重臨). 1766. Jeungbosal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In: Lee KJ et al. editor. 2003. Shing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2-193 

  29. Shon MY, Kwon SH, Park SK, park JR, Choi JS. 200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sh Kiwi and Radish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8(4):449-455 

  30. Shon MY, Seo KI, Lee SW, Choi SH, Sung NJ. 2000.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 and Changes in Phytoestrogen Cont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936-941 

  31. Sung NJ, Ji YA,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3):275-284 

  32. Yang JL, Lee SH, Song YS. 2003. Improving Effect of Powders of Cooked Soybean and Chongkukjang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899-905 

  33. Yeonsei University. 1975. Methods in laboratory experiments of foods. Tamgudang Publishing Co., p 365 

  34. Yoo HJ, Lee DS, Kim HB. 2004. Chungkookjang Fermentation of Mixture of Barley, Wormwood, Sea Tangle, and Soybean. Korean J. Microbiol., 40(1):49-53 

  35.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04-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