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사육자 작업환경 및 작업복과 보호구 착용 실태 분석
Research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f Korean Native Cattle Raising Farmer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7 no.4, 2016년, pp.891 - 906  

김인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경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채혜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동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효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working site environment of Korean native cattle raising farmers and their actual condition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s part of preventing disasters during agricultural work. To this end, 160 Korean cattle raising farmers were surveyed and a site visit was 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로 착용하는 작업복에 대한 기능성, 안전성 등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는 10개 문항으로 5점 척도(1.
  • 본 연구는 한우 사육자의 농작업 재해예방의 일환으로 농작업 환경 및 개인보호구 착용관련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한우 환경의 유해ㆍ위험 요인 조사결과, 첫째, 미세먼지 및 유기분진, 소와의 접촉 위험, 가축 분뇨 및 세균 및 바이러스, 유해가스 등으로 나타나 다른 축종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 2014a, 2014b). 이 연구에서는 축산 농작업 현장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위험ㆍ유해 요인과의 인과분석을 통해 개인보호구별 요구되는 필요성능을 제안하였으며 개인보호구 개발을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축산 농업인의 전용 작업복 이외에 축산 작업자용 보호장화 등의 다양한 개인보호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Kim et al.
  • 따라서 한우 사육환경에 대한 위험ㆍ유해 요인 및 안전 실태 파악 등의 실제적 조사연구가 우선되어야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우 사육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축산작업 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사육 환경 및 보호구 착용실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는 한우 사육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개인보호구 개발을 위한 정보제공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축산업계에서 한우의 위상은?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축산 농업인과 경제동물의 공동복지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한우는 국내 축산업 가운데 대표적인 축종으로 가장 많은 사육 농가와 한우와 관련된 연관 산업의 파급 효과 또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국내 한우 사육 두수와 사육 농가 수는 지속적으로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나, 2011년 들어 50두수 미만의 중소규모 농가는 감소한 반면에 100두수 이상 전업농가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그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소 관련 축산업을 하는 농업인이 걸릴 수 있는 직업병은 무엇인가? 그러나 축산업 발전과 달리 1차 생산자인 농업인은 가축의 돌발적인 행동에 의한 접촉사고, 사료취급 및 청소 작업시 유기분진 흡입, 가축분뇨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중독, 농기계 사고 등의 다양한 위험ㆍ유해 요소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게 현실이다. 축산업 가운데 소 관련 사육환경은 가축과 관련한 사고, 유기분진 및 유해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에 의한 인수공통감염병 등의 주요 직업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Korea Dairy & Beef Farmers Association 2009), 사육자의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원인 조사 결과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적합한 개인보호구 착용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Song & Lim 2015). 또한 최근 축산업 종사자의 노동 인력 감소와 심각한 고령화는 농작업 안전재해에 더욱 취약해질 가능성이 높다(Park et al.
농업인에게 축산업을 하면서 생길 수 있는 사고는? 그러나 축산업 발전과 달리 1차 생산자인 농업인은 가축의 돌발적인 행동에 의한 접촉사고, 사료취급 및 청소 작업시 유기분진 흡입, 가축분뇨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중독, 농기계 사고 등의 다양한 위험ㆍ유해 요소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게 현실이다. 축산업 가운데 소 관련 사육환경은 가축과 관련한 사고, 유기분진 및 유해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에 의한 인수공통감염병 등의 주요 직업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Korea Dairy & Beef Farmers Association 2009), 사육자의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원인 조사 결과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적합한 개인보호구 착용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Song & Lim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wang KS, Kim HC, Chae HS, Lee KS(2009) The development of winter working clothes for stock farming worke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4), 515-522 

  2. Hwang KS, Lee KS(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disposable pesticide protective clothing using biodegradable PLA. Soc Living Environ Syst Korea 19(3), 430-438 

  3. Hwang YM, Kim KR, Lee KS, Chae HS(2013) An inves tigation of actual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og raising farm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roceeding of Th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p101 

  4. Kim I, Chae HS, Lee KS, Kim KR(2015) A framework and evaluation index design for establishing agricultural work safety and health farm certification system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6(4), 749-760 

  5. Kim I, Kim KR, Hwang YM, Chae HS, Kim S(2014a) Required performan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swaine farmers. Proceeding of the Korea J Community Living Sci, p7 

  6. Kim I, Lee KS, Seo MT, Chae HS, Kim KS, Choi DP(2016) The development and ergonomic evaluation of work clothes for stock farming worker. Conference of the Ergon Soc Korea, No.18 

  7. Kim KR, Kim I, Lee KS, Chae HS, Kim S(2014b) A survey on the present state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s among swine farmers. J Envion Health Sci 40(5), 413-424 

  8. Kim KR, Park JH, Lee KS, Kang TS, Kang KH(2006) Work-related injuries in dairy farm in Gyeonggi province. J Korean Soc Occop Environ Hyg 16(3), 202-210 

  9. Korea Dairy & Beef Farmers Association(2009) Safety work of 365 days for dairy farmers I. Monthly Dairy Beef Farmers 29(4), 114-130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2013) Lean workplace certification standards.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cited 2016 October 24] 

  11. Lee JH, Lee YH, Lee KS, Lee SJ(2008) Musculoskeletal disorders related to ergonomic risk factors for dairy & beef farmers. Proceeding of The Korea Soc Occup Environ Medicine, pp406-407 

  12. Lee KS, Park KS, Kim CH, Kim KR, Kim H, Chae HS(2009)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SAFETY SUPERVISION ON FARM WORK AND LIFE ENVIRONMENT OF FARmer. J Ergon Soc Korea 28(4), 77-82 

  13. Nunnally JC(1976)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Inc. 

  14. Moon J, Jean E(2012) Wearing conditions of protective clothing and protective gear for FMD prevention. J Korean Soc Cloth Text 36(1), 46-55 

  15. Park KS, Kim CH, Lee KS, Kim KR, Kim HC(2009)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safety supervision on farm work and life environment of farmer. J Ergon Soc Korea 28(4), 77-82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2008) Institute of animal science. ergonomic tool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agricultural work. Available from http://lib.rda.go.kr[cited 2016 October 24]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2004) Ranch accident prevention guidelines for health dairy. Available from http://lib.rda.go.kr[cited 2016 October 24]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2015)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poultry farmers. Available from http://lib.rda.go.kr[cited 2016 October 24]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2014)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swine farmers. Available from http://lib.rda.go.kr[cited 2016 October 24] 

  20. Seo MT, Kim I, Chae HS, Kim KS, Choi DP, Lee KS(2016)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protective boots for swine farmers. Conference of the Ergon Soc Korea, No.18 

  21. Song C, Lim HK(2015) Abilities of safety managers for preventing the accident of dairy workers. Proceeding of J Ergon Soc Korea, pp237-240 

  22. Statistics Korea(KOSTAT)(2014)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urvey.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6 October 24] 

  23. Statistics Korea(KOSTAT)(2015) Cattle trends survey 20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6 October 24] 

  24. Statistics Korea (KOSTAT)(2016) Cattle trends survey 20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6 October 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