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로변 수직구조물 충돌사고의 심각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Crash Severity Impact of Fixed Roadside Objects using Ordered Probit Model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8 no.6 = no.80, 2016년, pp.173 - 180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윤덕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소) ,  박재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Fixed roadside objects are a threat to drivers when their vehicles deviate from the road. Therefore, such roadside objects need to be suitably dealt with to decrease accidents. This study deter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accidents because of fixed roadside object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국외와 같이 공작물 충돌사고의 사고심각도 감소를 위한 구조물 개선이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변 공작물 사고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AASHTO(2011)는‘Roadside Design Guide’지침을 발표하여 도로변 시설물에 대한 설계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지침은 가장 실용적이고 도로에 적합하고, 이익이 되는 도로변 설계를 각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자에게 도로변 안전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도로변 안전에 대한 비용편익분석(B/C ratio), 도로변 지형 및 배수구의 특성, clear zone의 개념 및 응용, 다양한 수직구조물에 대한 설계지침(표지판, 교통신호시설, 조명, 전신주 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로 부속 시설물의 역할과 문제점은? 도로의 부속시설물인 도로표지, 신호등, 조명시설, 각종 단속 정보수집 장비 탑재 지주 등은 도로이용자들의 안전 및 도로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부속 시설물들은 설치 목적에 맞게 도로안전이나 효율상의 순기능 역할을 수행하지만, 차량이 도로 외로 이탈할 경우에는 오히려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Ogden(1997)은 전체 사망사고의 25~30%는 도로변 구조물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Armour M.
도로 부속 시설물이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로 작용되는 예는? 이러한 도로 부속 시설물들은 설치 목적에 맞게 도로안전이나 효율상의 순기능 역할을 수행하지만, 차량이 도로 외로 이탈할 경우에는 오히려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Ogden(1997)은 전체 사망사고의 25~30%는 도로변 구조물 충돌사고로 인해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Armour M. and Cinquegrana C. (1990)는 도로변물체의 충돌사고는 사고의 27% 정도 사고심각도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도로의 부속시설물은 무엇이 있는가? 도로의 부속시설물인 도로표지, 신호등, 조명시설, 각종 단속 정보수집 장비 탑재 지주 등은 도로이용자들의 안전 및 도로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도로(변)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 부속 시설물들은 설치 목적에 맞게 도로안전이나 효율상의 순기능 역할을 수행하지만, 차량이 도로 외로 이탈할 경우에는 오히려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ASHTO, (2011), Roadside Design Guide 4th Edition, pp.3-4. 

  2. Armour M and Cinquegrana C. (1990), Victorian Study of Single Vehicle Rural Accidents, Proc 15th Australian Road Research Board Conference, I5 (7), pp.79-91. 

  3. Choi S. R. N. (2011), Effects of Weather and Traffic Conditions on Accident Severity on Freeways, Hanyang University, Master of degree. 

  4. Ha O. K., OH J. T., WON J. M., SUNG N. M. (2005), The Study on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Using Ordered Probi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23 No.4, pp.47-55. 

  5. J. S. Park, J. T. Oh, S. J. Oh, Y. J. Kim, (2016), Analysis of Contributory Factors in Causing Crashes at Rural Unsignalized intersections Based on Statistical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34 No. 2, pp. 123-134. 

  6. Ju M. Y. (2000), Probit and Ordered Probit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Vol.6 No.1, pp.24-48. 

  7. Jung J. S. (2016), SPSS Statistics Regression, Datasolution. 

  8. Jung Y. I. (2015), Analysis of Highway Accident Severity by Crash Type Using 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 of degree. 

  9. Kara Maria Kockelman and Young-Jun Kweon(2002), Driver injury severity : an application of ordered probit model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pp.313-321. 

  10. K. W. Ogden (1997), Safer Roads: A Guide to Road Safety Engineering, pp.267. 

  11. Mak. King K., (1995), Safety Effects of Roadway Design Decisions-Roadsid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12, pp.16-21. 

  12. M. Holdridge, V. N. Shankar, G. F. Ulfarsson (2005), The Crash Severity Impacts of Fixed Roadside Object, Journal of Safety Research 36, pp.139-147. 

  13. Mohamed Abdel-Aty(2003), Analysis of driver injury severity levels at multiple locations using ordered probit models, Journal of Safety Research, 34, pp.597-603. 

  14. S. M. An (2015), Characteristic of the Traffic Accidents and Accident Severity by Women Driver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sis of Master's degree. 

  15. S. P. Miaou (1997), Estimating Vehicle Roadside Encroachment Frequencies by Using Accident Prediction Mode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pp. 64-71. 

  16. Y. I. Jung (2015), Analysis of Highway Accident Severity by Crash Type Using 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 Chunbuk National University, Thesis of Doctor's degre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