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상태 분석
Analysis of the Nutrition Education Realities and Nutritional Status in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6, 2016년, pp.1070 - 1078  

허미숙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  최선영 (경상대학교 유아교육과.교육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on education realities and nutrition statu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by analyzing the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quotient (NQ), and the level of maintaining dietary guidelines. The subjects were 173 children from grades 1 to 6, enroll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진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고, 바람직한 식행동을 실천하도록 어린이들을 지도하고 교육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은 무엇이 있으며 그 영향은 무엇인가?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의 이용 증가, 결식과 외식 빈도 증가, 불규칙한 영양섭취, 편식 등의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은 영양불균형 및 체중과다, 비만 등의 영양문제가 나타나,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므로(Lobstein 등 2015), 이 시기에 영양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 어린이 및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저소득층 어린의 평생 영양개선 및 신체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학교 관계자와 지역사회의 파트너 사이의 적극적이고 협조적인 소통을 후원하면서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Edelstein & Sharlin 2009).
만 6세부터 12세에 해당하는 어린이에게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만 6세부터 12세에 해당하는 어린이는 신체적·정신적 성장의 기초를 마련하는 중요한 시기로 성장·발육을 위해 적절한 영양공급과 운동·휴식이 필요하다. 유아기에 습득한 바람직한 식생활태도는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되며, 평생의 건강을 마련하는 기틀이 되기 때문에 식생활에 대한 체계적인 영양교육은 반드시 이 시기에 이루어져야 한다(Kim & Lee 2015).
아동의 영양상태 평가롸 적절한 교육과 관리하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의 이용 증가, 결식과 외식 빈도 증가, 불규칙한 영양섭취, 편식 등의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은 영양불균형 및 체중과다, 비만 등의 영양문제가 나타나, 어린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므로(Lobstein 등 2015), 이 시기에 영양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미국의 경우, 어린이 및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저소득층 어린의 평생 영양개선 및 신체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학교 관계자와 지역사회의 파트너 사이의 적극적이고 협조적인 소통을 후원하면서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다(Edelstein & Sharlin 2009).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 어린이의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어린이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어린이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를 제공하고 있다(Choi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o MN, Cho SK, Park Kyong. 2015.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48:335-343 

  2. Boo MN. 2012. Analysis of the children'nutrition quotient and the degree of keeping the dietary guidelines with regard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Jeju. MS Thesis, Yeungnam Univ. Daegu. Korea 

  3. Choi HM, Kim KW, Kim CI, Kim HS, Son JM, Choi KS, Hyun TS. 2013. Community Nutrition. pp.298-305. Power Book. Seoul 

  4. Edelstein S, Sharlin J. 2009. Life Cycle Nutrition. pp. 128-136.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Sudbury Massachusetts 

  5. Huang YC, Kim HY. 2014.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of chinese children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7:342-350 

  6. Jung SM. 2010. Practice levels of dietary guidelin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their preferences for vegetables and eating habits. MS Thesis, Wonkwang Univ. Jeonbuk. Korea 

  7.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Kwak TK, Cho YH. 2012.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45:372-389 

  8.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Park J, Kang MH. 2012.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45:390-399 

  9.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180-190 

  10. Kim NH, Lee IS. 2015.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by Nutrition Quotient (NQ)-Gyeongiu-.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73-86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ited 2013 October 02] 

  12. Lee JS. 2009. Attitude toward the dining with families and degree of practice for dietary guidelin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MS Thesis, Wonkwang Univ. Jeonbuk. Korea 

  13. Lee SJ, Kim YN. 2013.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46:440-446 

  14. Lobstein T, Jackson LR, Mopdie ML, Hall KD, Gortmaker SL, Swinbum BA, James WP, Wang Y, Mcpherson K. 2015.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Part of a bigger picture. Lancet 385:2510-2520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201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cited 2014 December 31] 

  16. Nam KY, Kim YM, Lee GE, Lee YN, Joung HJ. 2006.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172-179 

  17. Ryu SY. 2011.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children in Gyeongnam community children centers. MS Thesis, Gyeongsang Nati. Univ. Jinju. Korea 

  18. Suk YH. 2008. Comparative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food behavior and nutrition intake levels at school lunch in elementary school by different economic status. MS Thesis, Chung Ang Univ. Seoul. Korea 

  19. Yoo JS, Choi YS. 2013.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46:427-439 

  20. You GI. 2009.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 and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between children from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and normal families. MS Thesis, Wonkwang Univ. Jeonbuk.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