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 - Dietary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7, 2006년, pp.866 - 873  

김혜경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진희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아동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상태를 파악하여 보건소의 영양 및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울산시 북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아 429명(52.6%), 여아 386명(47.4%)이었으며, 연령은 $3{\sim}7$세로 4세 240명(29.4%), 5세 294명(36.1%), 6세 163명(20.0%)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3세와 7세는 각각 14.0%와 0.5%로 적었다. 부모의 직업으로는 지역의 특성상 생산직 근로자(38.7%)와 사무직(33.9%)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 정도에서 아버지는 전문대 졸업(51.6%)이 가장 많았고, 어머니는 고등학교 졸업이 58.0%로 가장 많았다. 월평균 소득은 $200{\sim}300$만원 미만이 42.0%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이 $100{\sim}200$만원 미만으로 20.6%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아동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08.0cm와 18.7kg으로 한국소아협회의 연령별 체위기준인 111.0cm, 19.0kg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PIBW에 근거한 저체중은 14.6%, 정상체중은 54.4%, 과체중 및 비만은 31.0%로 나타났다. 아동들의 일상적인 식습관을 나타내는 식습관점수는 전체 평균 22.0점(30점 만점)으로 남아 22.0점, 여아 21.9점으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항목별 점수에서 가장 높은 점수는 '아침을 매일 규칙적으로 먹는다'였고, 가장 낮은 점수는 '당근, 시금치등 녹황색 채소의 섭취'로 나타났다. 식행동에서는 전체 아동의 69.1%가 편식을 하였으며, 편식식품으로는 채소류가 51.2%, 다음이 육류 및 생선류로 나타났다. 간식섭취 실태에서는 피자나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의 섭취빈도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탄산음료, 튀김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식점수는 교육실시 이전의 전체 평균은 7.7점(10점 만점)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고 영양교육을 4주간 실시 후에는 전체 평균점수가 8.9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역시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미취학 아동들은 저체중과 과체중 및 비만의 문제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고, 식습관에서 편식이 많았으며, 간식의 섭취비율이 클 뿐만 아니라 종류에서도 인스턴트 및 패스트푸드 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건전한 식습관으로 아동의 영양상태 개선과 소아비만의 예방 및 올바른 식사예절의 정착을 위한 정기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rrent dietary habits, health related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and body indices,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for designing and monitor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1,200 pre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현재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상태를 파악하여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영양 및 건강증진 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영양교육의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영양관리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이 올바른 식습관 형성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정으로의 파급효과로 인해 가족 전체의 올바른 식생활 실천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생활습관의 변화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미취학 아동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상태를 파악하여 보건소의 영양 및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영양교육 자료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울산시 북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에 다니는 아동 1,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남아 429명 (52.
  •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영양관리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아동들이 올바른 식습관 형성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가정으로의 파급효과로 인해 가족 전체의 올바른 식생활 실천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생활습관의 변화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NH, Joung HJ, Cho SH, Choi YS. 2000. A survey of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of children in preschool nursery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578-585 

  2. Park HS, Ahn SH.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Korean J Nutr 36: 298-305 

  3. Sin EK, Lee YK. 2005.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Korean J Food Culture 20: 1-14 

  4. Cho SH. 1998. Proceedings of the KSCN. Korean Society Community Nutrition Workshop. p 1-21 

  5. Lee YM, Oh YJ. 2005. Par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 the school meal service program (SMSP) in kindergart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654 -667 

  6. Lee SK, Lee EW, Lee CW, Bae SY. 1991. Planning and administering children snack in Korean institute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11: 43-69 

  7. Choi KS, Jung HH. 1994. Study on the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s in Pusan a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2: 75-91 

  8. Park GA, Lee JH. 2001. Child 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for infants, toddlers & young children. J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5: 51-65 

  9. Chang NS, Woo YJ, Lee JM. 1998.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07-118 

  10. Joung HJ, Lee NH, Choi YS, Cho SH. 2000. Baseline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for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at child care centers in Korea (I). Korean J Nutr 33: 890- 900 

  11. Jung MR, Lee YM, Lee KW.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8: 99-113 

  12. Kim SK, Lee MJ, Seo MH, Kim YK, Song SJ, Han JS. 2000. Analysis of current care service of day-care centers and overall measure. Women Special Committe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13.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 83-92 

  14. Yu KH. 2005. A study on the iron nutritional status with biochemical parameter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8: 533-543 

  15. Choi MJ, Jung YS. 2006. The status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preschool children in Kyungjoo.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3-13 

  16. Kim HK, Kim JH, Kang YW. 2005. Food habit and snack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oster No 36 

  17. You SY, Kim HK. 2003. Food habits and health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adults in the Ul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889-900 

  18. Sin EK, Lee YK. 2005.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08-1017 

  19. Shin KO, Yoo YY, Park HS. 2005.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8: 455-464 

  20. Choi MJ, Yoon JS. 2003.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n the physical growth indic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3-14 

  21. Kim HK,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88-1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