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라시대 교량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 유구의 지질공학적 특성에 근거한 산지 추정 연구
A Study on Provenance of the Stone Relics of WoljungGyo Bridge built in Silla Kingdom based on Geological Properties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5 no.4, 2016년, pp.79 - 88  

이광우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조삼덕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초록

경주시에서는 신라시대에 건설된 교량 월정교에 대한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월정교는 760년에 건설되어 고려시대인 1280년에 중수한 기록이 남아있다. 따라서 월정교는 적어도 520년 이상 교량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원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월정교는 양측 교대의 일부와 4개의 교각기초 그리고 한 단 내지 두 단의 교각석이 남아있었다. 월정교 복원공사에 앞서, 복원에 사용할 석재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하여, 월정교에 사용된 석재유구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정교석재 유구에 대한 암석학적 조사와 경주시 일원 지질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월정교 건설 당시 사용된 석재로는 경주일원의 대표적인 화강암인 남산화강암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주 남산의 동측사면 하부에 위치한 통일전과 탑곡 일원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토르나 핵석이 월정교 축조에 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erelict bridge called WoljungGyo is being restored in Gyeongju, the capital city of ancient Silla. WoljungGyo was originally built in 760AD, and later rebuilt in 1280AD during the Goryeo Kingdom. The bridge lasted in working condition for at least 520 years. The bridge was uncovered to the rem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화재의 축조에 사용된 석재 등의 유구는 직접적인 타격이나 시편채취를 통한 실험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석재 유구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석재의 산지를 추정하는 과정과 방법을 월정교 복원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향후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른 문화재의 복원사업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화재의 복원은 잔존하는 유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월정교의 복원에 필요한 석재의 수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월정교에 축조에 사용된 석재의 원산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월정교 복원에 필요한 석재의 수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즉, 월정교 복원에 필요한 석재는 가급적 기존 석재와 동일한 암석학적 특성을 가지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남아있는 석재 유구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 야외 조사시 휴대용 대자율 측정기(SM-20 Susceptibility Meter)를 이용하여 월정교 부재에서 측정한 전암대자율값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자율은 암석별로 적어도 5회 이상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였으며, 한 노두에서도 아주 낮은 값을 보이는 것들은 암석의 풍화에 따라 대자율 값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재측정 또는 함께 측정한 자료들과 비교하여 선별하였음을 밝힌다.
  • 월정교 구성부재는 대략 남산화강암을 86% 정도 사용하였기 때문에, 남산화강암에 대한 야외조사를 통해 석재의 산지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산화강암의 전암대자율 분포와 암석기재적 관찰, 그리고 절리패턴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월정교 복원에 필요한 석재의 수급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즉, 월정교 복원에 필요한 석재는 가급적 기존 석재와 동일한 암석학적 특성을 가지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남아있는 석재 유구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경주 일원 화강암류의 암석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통일신라시대 월정교 축조시 사용된 석재의 산지를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가 외세의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좋은 이유는? 경주는 지리적으로 동서남에 산이 있는 분지지역에 위치해 있어 외세의 공격에 대해 방어하기가 좋을 뿐 아니라 수량이 풍부하여 신석기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여 왔다. 이곳에 도읍을 정한 신라는 월성을 왕성의 중심으로 삼고 월성을 바로 끼고 도는 남천의 서남단에 월정교를 건설했다.
월정교가 세워진 시기는? 이곳에 도읍을 정한 신라는 월성을 왕성의 중심으로 삼고 월성을 바로 끼고 도는 남천의 서남단에 월정교를 건설했다. 월정교가 세워진 시기는 신라의 전제왕권이 정점에 이르렀던 경덕왕 19년(서기 760년) 이다. 따라서 월정교는 월성과 함께 신라 전제왕권의 권위를 과시하고 중앙의 통치라는 명제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려는 의도하에 당시로는 크고 웅장하게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의 유적을 성격에 따라 5개로 나누면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2000년 11월 신라 천년의 고도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 었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유적의 성격에 따라 경주 남산지구, 월성지구, 대릉원지구, 황룡사지구, 산성지구 등 5개의 역사유적지구로 구분된다. 월정교는 월성지구에 접해 있고, 대릉원 지구와 황룡사지구가 인접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ng, K. H. (1975), "Cretaceous stratigraphy of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11, pp.1-23. 

  2. Cho, K. M. (2004),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udy on granite landforms and source areas of stone-built cultural properties : Case studies on Gyeongju and Iksan areas,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64p. 

  3. Gyeongju-si (1986),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design of Woljunggyo bridge site, Gyeongju, Korea, 397p. 

  4. Hwang, B. H. (2004), Petrology, isotope and petrogenesi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09p. 

  5. Kim, C. S. and Kim, G. S. (1997), "Petrogenesis of the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Geosciences Journal, Vol.1, pp.99-107. 

  6. Kim, J. S., Kim, K. K., Jwa, Y. J. and Lee, J. D. (2004), "Petrographical study for the enclave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Journal Petrol. Soc. Korea, Vol. 13, pp.1-15. 

  7. Kim, J. S., Son, M., Kim, J. S. and Kim, J. M. (2005), "40Ar/39Ar ages of the Tertiary dike swarm and volcanic rocks, S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ol.14, pp.93-107. 

  8. Koh. J. S. (2001), Mineralogical, geochemical and Sr-Nd isotope characteristics of the Namsan A-type and Gyeongju I-type granitic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73p. 

  9. Lee, J. I., Lee, M. J., Doo, K. T., Lee, M. S. and Nagao, K. (1997), "K-Ar age determination of the granitic plutons in Ulsan-Kyeongju a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18, pp.379-386. 

  10. NRICH (1988), Excavation investigation of Woljunggyo bridge sit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310p. 

  11. NUCH (2006), General plan and working design for restoration of Woljunggyo bridge, Gyeongju-si.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370p. 

  12. NUCH (2007), Details plan and preliminary design for restoration of Woljunggyo bridge, Gyeongju-si.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280p. 

  13. NUCH (2010), Action plan and feasibility study for restoration of Woljunggyo bridge, Gyeongju-si.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14. Son, M. (1998),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Miocene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Structural and paleomagnetic approaches, Ph. 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33p. 

  15. Tateiwa, I. (1929), Geologic Atlas of Korea, No. 10, Kyongju, Youngchon, Taegu, Waegwan Sheets. Geol. Surv. Chosen(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