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피압의 작용에 따른 점토 지반의 용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두 종류의 원통형 일차원 대형 컬럼 장치(높이 : 1,100mm, 직경 250mm)를 제작하여 점토 지반의 압밀 거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압의 크기는 5.5kPa로 하부지반에서부터 작용하도록 하였으며, 압밀 실험 종료 후 점토층의 깊이에 따른 염분의 농도와 비배수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배수 전단강도 및 염분 분포는 점토층 하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부로 갈수록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피압이 작용할 경우 점토층 내에 용탈현상이 발생하여 지반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시간에 따른 간극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에서 간극율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erformed consolidation tests on soft ground with and without artesian pressure condition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leaching effects using two types of one-dimensional column equipment(height : 1,100mm, outer diameter : 250mm). Artesian pressure of 5.5kPa was applied to the bottom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압에 의해 점토지반에서 발생하는 용탈 현상이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향침투 제어가 가능한 원통형 대형 압밀 장비를 제작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피압의 작용 유 · 무에 따른 점토층의 염분 변화, 비배수 전단강도의 변화 및 간극비 변화 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피압의 작용 유·무에 따른 실험의 오차를 최소화 하고자 각 조건 별로 실험 장비를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탈 현상이란? , 2006), 이로 인해 하부 점토 지반 내에 용탈(leaching) 현상이 발생하여 다양한 지반공학적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용탈 현상이란 강우나 지하수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담수 등으로 인해 지반 내의 염분이 빠져나가는 현상으로, 용탈 현상이 발생할 경우 양이온 방출로 인해 점토 입자간의 화학적 구조가 취약해져 비배수전단강도, 압밀 침하, 투수계수, 민감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Bjerrum, 1967; Torrance, 1974; Woo et al., 1977; Ohtsubo et al.
비배수 전단강도 및 염분 분포가 점토층 하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는 것은 무엇의 결과인가? 실험 결과 비배수 전단강도 및 염분 분포는 점토층 하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부로 갈수록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피압이 작용할 경우 점토층 내에 용탈현상이 발생하여 지반이 구조적으로 취약해져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시간에 따른 간극비 변화를 살펴본 결과, 피압이 작용하는 지반에서 간극율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부산점토의 특징은? 대한민국 남동단에 위치한 부산은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이자, 제1의 무역항으로 급격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산업용지 및 주거용지의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부지의 확보를 위해 매립 또는 연약 지반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부산 낙동강 하구 일원에 분포하고 있는 부산점토는 대심도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약지반이다. 기존 연구자들이 수행한 지반 조사결과에 따르면 부산 낙동강 하구 대심도 점토층 하부에 피압대수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Baek, 2002; Heo, 2003;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chie, G. E. (1942), The electrical resistance log as an aid in determining some reservoir characteristic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Mining, Metallurgical, and Petroleum Engineers, Vol.146, No.1, pp.54-62. 

  2. Baek, S. H. (2002), Characterisation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Pusan Clays by Insitu Tests, PhD's thesis, pp.1-165(in Korean). 

  3. Bjerrum, L. (1967), Engineering geology of Norwegian normally-consolidated marine clays as related to settlements of buildings, Geotechnique, Vol.17, No.2, pp.83-118. 

  4. Campanella, R. and Weemees, I. (1990), Development and use of an electrical resistivity cone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studie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27, No.5, pp.557-567. 

  5. Chung, S. G., Giao, P. H., Nagaraj, T. S. and Kwag, J. M. (2002), Characterization of Estuarine Marine Clays for Coastal Reclamation in Pusan, Korea, Marine Georesources and Geotechnology, Vol.20, No.4, pp.237-254. 

  6. Han, Y. C. and Yu, G. Y. (1999), A Study of Artesian Characteristics in Yangsan/Mulgeum Site, KGS Fall '99 National Conference, pp.123-130 (in Korean). 

  7. He, P., Ohtsubo, M., Abe, H., Higashi, T. and Kanayama, M. (2014), Quick Clay Development and Cation Composition of Pore Water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Ariake Bay Area,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sciences, Vol.5, No.6, pp.595-606. 

  8. Heo, D. Y. (2003), A Study o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Clay Deposited at the Busan New Port Site, Dong-A University, PhD's thesis, pp.8-198 (in Korean). 

  9. Jackson, P., Smith, D. T. and Stanford, P. (1978), Resistivityporosityparticle shape relationships for marine sands, Geophysics, Vol.43, No.6, pp.1250-1268. 

  10. Kim, H. T., Cho, J. H., Yoo, J. Y., Ro, J. K. and Kim, S. W. (2002), Self-Weight Consolidation Settlement of Soft-Grounds on the Artesian Pressure After the Penetration of Vertical Drain, KGS Fall '02 National Conference, pp.597-604 (in Korean). 

  11. Kim, T. H., Yu, J. M., Lee, M. J., Bae, K. H. and Jung, D. S. (2006), A Design Case Study Considering the Artesian Pressure in Hwa Jeon Site of Nakdong Delta Area,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Soil Mechanics & Foundation Engineering, pp.311-319 (in Korean). 

  12. Kim, Y. T. and Do, T. H. (2010), Effect of Leaching on the Compressibility of Busan Clay,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4, No.4, pp.291-297. 

  13. Nagase H., Shimizu K., Hiro-oka A., Tanoue Y. and Saitoh Y. (2006), Earthquake-induced residual deformation of Ariake clay deposits with leaching,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No.26, pp.209-220. 

  14. Ohtsubo, M., Egashira, K. and Takayama, M. (1996), Mineralogy and Chemistry,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Marine Clays in Ariake Bay, Japan: Comparison of Quick and Nonquick Clay Sediments, Journal og Marine Georesources & Geotechnology, Vol.14, No.3, pp.263-282. 

  15. Ryu. C. K. (2003),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locene Marine Clayey Sediments in the Estuary of Nagdong River, Pusan University, Master's thesis, pp.1-230 (in Korean). 

  16. Ryu, C. K., Kang, S. R, Chung, S. G. and Jeon, Y. M. (2011),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Environmental Change in the Northern Marginal Area of the Nakdong River Del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47, No.3, pp.213-233 (in Korean). 

  17. Salem, H. S. and Chilingarian, G. V. (1999), The cementation factor of Archie's equation for shaly sandstone reservoirs,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 Vol.23, No.2, pp.83-93. 

  18. Torrance, K. J. (1974), A laboratory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Leaching on the Compressibility and Shear Strength of Norwegian Marine Clays, Norwegian Geotechnique, Vol.24, No.2, pp.155-173. 

  19. Woo, S. M., Moh, Z. C. and Burmungsup, T. (1977), Effects of Soil Structure on Compressibility of an Artificially Sedimented Clay, Proceeding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Soft Clay, pp.311-3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